•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이주여성 긴급지원센터 1577-1366센터 운영

Q14. 다음은 부산광역시 아동 ․여성폭력방지 피해자보호 사업개요입니다. 사업의 필요성을 1~5까지 표시해주세요. (사업의 필요성이 가장 낮으면 ‘1’, 사업의 필요성이 가장 높으면

‘5’로 봅니다.)

25) 이주여성 쉼터 운영

입소자에 대한 양육비,교육비 지원 및 학업지원 확 대

1

1.0 1.0

보호시설의 필요성을 많이 느낌 2 2.1 2.1

부산지역 피해자 수용기관이 더 많이 생겨야함 1 1.0 1.0 새로운 시스템 도입에 앞서 현재 시행되는 제도의

내실화와 기관,단체에 대한 지원강화 필요 1 1.0 1.0 성폭력특별수사대 수사관들의 인권교육 및 성폭력

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이 필요함 1 1.0 1.0 아동과 장애인을 분리하여 특성화된 전담기구 또는

전담기관필요, 전담검사제도 인력확충 1 1.0 1.0 여성,아동,장애인 등 피해자의 특성에 따른 지원체

계 방법에 차이가 있어야하고 전문인력 필요함 1 1.0 1.0 여성장애인 대상 가정폭력발생시 연계할 시설, 지

원체계,인력 부족함, 실질적인 예방교육도 되어야 함

1

1.0 1.0 영국과 같이 아동의 문제를 생애주기별 복지개입에

입각하여 해결할 수 있는 전문기관으로 컨트롤타워 와 같은 정부기관 필요

1

1.0 1.0 장기시설의 허가완화와 시설확대, 생활시설 근무자

의 근로조건 개선 1 1.0 1.0

장애인 가정폭력피해자 보호시설부족, 여성 노숙쉼

터의 실질적 보호시설 필요 1 1.0 1.0

장애인 긴급피난처와 같은 피신처 필요, 이곳에서

중장기 입소 시스템도 필요 1 1.0 1.0

장애인 성폭력 피해자 보호시설의 확충 1 1.0 1.0 장애인 성폭력 피해자 보호시설의 확충과 지원확대

필요 1 1.0 1.0

적극적인 지원과 자원봉사자를 비롯한 많은 인력

개발필요 3 3.1 3.1

친족피해자의 시설입소 만료 후 거주지 마련과 자

립지원 필요 1 1.0 1.0

피해자 및 가족들에 대한 경제적 지원 확대, 보호시

설 인력확대, 운영비 인건비 분리지원 및 예산확대 1 1.0 1.0 피해자 자율선택에 의한 학교 전학 시스템 개선이

시급함(특히 실업고의 경우) 1 1.0 1.0

피해자 진술의 2차적 성폭력 피해가 여전히 많음 1 1.0 1.0

피해자보호시설 확충 1 1.0 1.0

피해자의 선택권 증진, 다양화 1 1.0 1.0

피해자의 신고와 함께 법률조력인,상담소지원을 받

을 수 있도록 함 1 1.0 1.0

피해자진술증거채택, 법원판사의 성민지적 교육 매

우필요, 경찰,검사,판사의 전담제 꼭 필요 1 1.0 1.0 현재 지원되는 서비스에 대해서만이라도 제대로 시

행되도록 예산확보가 필요함 1 1.0 1.0

97

100.0 100.0

부산지역 아동성폭력 피해자 지원방안에 관한 전문가 의견조사, 2013

SQ1 응답자 성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남성 1 5 5.2 5.2

여성 2 89 91.8 91.8

무응답 9 3 3.1 3.1

97

100.0 100.0

SQ2 응답자 연령

==> 데이터와 아래 재분류 변수 참조

SQ2_re 응답자 연령(재분류)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20대 1 17 17.5 17.5

30대 2 22 22.7 22.7

40대 3 31 32.0 32.0

50대 4 19 19.6 19.6

무응답 9 8 8.2 8.2

97

100.0 100.0

SQ3 소속기관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상담소 1 31 32.0 32.0

보호시설 2 10 10.3 10.3

긴급지원센터 3 36 37.1 37.1

협력체계 4 8 8.2 8.2

기타 5 12 12.4 12.4

97

100.0 100.0

SQ3_e 소속기관: 기타

==> 데이터 참조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