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장
2. 인천민주화운동기념공간 조성 후보지 시민의견조사
▍
설문조사 종합결과m
인천민주화운동기념공간 조성 후보지에 대한 시민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총 3차례의 설문조 사를 실시하고 그 내용을 종합함. 1순위는 옛시민회관쉼터(‘틈’ 문화창작지대 포함)로 동일하게 나타남.
2순위는 부평공원으로 동일하게 나타남.
3순위는 1차·2차 설문조사에서 인천 터미널 근처 공원으로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3차 설문 조사에서는 인하대 옆 공터로 나타남.
4순위는 1차·2차 설문조사에서 공무원연금인천지구매장으로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3차 설문 조사에서는 월미공원으로 나타남.
조사 차수 1차 2차 3차
조사기간 2020.08.03.~2020.08.06 (4일간)
2020.08.14.~2020.08.23 (10일간)
2020.08.24.~2020.08.27 (4일간)
응답자 건립추진위원회 참여
시민단체 대표
건립추진위원회 참여 시민단체 회원
인천시 ON-LINE협치위원단
응답인원 42명 170명 567명
응답결과
1순위 옛시민회관쉼터
(‘틈’문화창작지대 포함)
옛시민회관쉼터 (‘틈’문화창작지대 포함)
옛시민회관쉼터 (‘틈’문화창작지대 포함)
2순위 부평공원 부평공원 부평공원
3순위 인천 터미널 근처 공원 인천 터미널 근처 공원 인하대 옆 공터
4순위 공무원연금인천지구매장 공무원연금인천지구매장 월미공원
<표 39> 인천민주화운동기념공간 조성 후보지 관련 1-3차 설문조사 종합결과
(1) 1차 시민의견 설문조사
m
설문기간 2020.08.03.~2020.08.06.(4일간)
m
설문방식 온라인 설문, 5점 척도 방식
m
설문대상 건립추진위원회 참여 시민단체 대표
m
응답인원 42명
m
설문내용 후보지 선정기준 우선순위, 선정기준에 따른 조성부지 적절도
m
설문결과 인천민주화운동기념공간 조성 후보지 선정시 고려해야 할 기준의 우선순위를 설문한 결과 1순위 상징성, 2순위 접근성, 3순위 확장성, 4순위 주변연계활용성 순으로 나타남.
순위 선정기준
1 상징성
2 접근성
3 확장성
4 주변연계활용성
<표 40> 후보지 선정시 고려해야 할 기준 순위(1차 설문결과)
인천민주화운동기념공간 부지 9곳의 장소, 위치, 의의를 제시하고 각 부지에 대해 후보지 선정기준 적합도를 5점척도로 설문한 결과 1순위 옛시민회관쉼터(16.3), 2순위 부평공원 (13.7), 3순위 인천터미널 근처 공원(12.7) 4순위 공무원연금인천지구매장(12.3) 순서로 나타남.
다음으로 중앙공원(제8지구 일부 및 제9지구)(12.0), 인하대 옆 공터(11.9), (구)구월농산 물도매시장(11.2), 월미공원(11.1), 비룡쉼터(9.6) 순으로 나타남.
응답
순위 부지 상징성
(5점)
접근성 (5점)
확장성 (5점)
주변연계 활용성
(5점)
평균값 (20점)
1 옛시민회관쉼터
(‘틈’ 문화창작지대 포함) 4.4 4.3 3.8 3.8 16.3
2 부평공원 3.1 3.4 3.6 3.6 13.7
3 인천터미널 근처 공원 2.4 3.8 3.2 3.3 12.7
4 공무원연금인천지구매장 3 3.6 2.8 2.9 12.3
5 중앙공원
(제8지구 일부 및 제9지구) 2.4 3.2 3.2 3.2 12
6 인하대 옆 공터 3 2.8 3.1 3 11.9
7 (구)구월농산물도매시장 2 3.3 3 2.8 11.2
8 월미공원 2.8 2.6 2.8 2.9 11.1
9 비룡쉼터 2.1 2.3 2.6 2.6 9.6
<표 41> 인천민주화운동기념공간 적정부지 순위(1차 설문결과)
[그림 137] 인천민주화운동기념공간 적정부지 순위(1차 설문결과)
(2) 2차 시민의견 설문조사
m
설문기간 2020.08.14.~2020.08.23.(10일간)
m
설문방식 온라인 설문, 5점 척도 방식
m
설문대상 건립추진위원회 참여 시민단체 회원
m
응답인원 170명
m
설문내용 후보지 선정기준 우선순위, 선정기준에 따른 조성부지 적절도
m
설문결과 인천민주화운동기념공간 조성 후보지 선정시 고려해야 할 기준의 우선순위를 설문한 결과 1순위 상징성, 2순위 접근성, 3순위 확장성, 4순위 주변연계활용성 순으로 나타남.
순위 선정기준
1 상징성
2 접근성
3 확장성
4 주변연계활용성
<표 42> 후보지 선정시 고려해야 할 기준 순위(2차 설문결과)
인천민주화운동기념공간 부지 10곳의 장소, 위치, 의의를 제시하고 각 부지에 대해 후보지 선정기준 적합도를 5점척도로 설문한 결과 1순위 옛시민회관쉼터(14.4), 2순위 부평공원 (11.9), 3순위 인천터미널 근처 공원(11.8), 4순위 공무원연금인천지구매장(11.4) 순서로 나타남.
다음으로 중앙공원(제8지구 일부 및 제9지구)(11.3), 인하대 옆 공터(10.9), (구)구월농산 물도매시장(10.9), 월미공원(10.6), 북부근로자복지회관(10.6), 비룡쉼터(9.7) 순으로 나타
응답
순위 부지 상징성
(5점)
접근성 (5점)
확장성 (5점)
주변연계 활용성
(5점)
평균값 (20점)
1 옛시민회관쉼터
(‘틈’ 문화창작지대 포함) 3.9 3.7 3.3 3.5 14.4
2 부평공원 2.7 3 3.1 3.1 11.9
3 인천터미널 근처 공원 2.5 3.4 2.9 3 11.8
4 공무원연금인천지구매장 2.8 3 2.7 2.9 11.4
5 중앙공원
(제8지구 일부 및 제9지구) 2.5 2.9 2.9 2.9 11.3
6 (구)구월농산물도매시장 2.3 2.9 2.8 2.9 10.9
6 인하대 옆 공터 2.8 2.6 2.8 2.8 10.9
7 북부근로자복지회관
(민주노총인천지역본부) 2.7 2.6 2.6 2.7 10.6
7 월미공원 2.6 2.5 2.7 2.8 10.6
8 비룡쉼터 2.3 2.4 2.5 2.5 9.7
<표 43> 인천민주화운동기념공간 적정부지 순위(2차 설문결과)
[그림 138] 인천민주화운동기념공간 적정부지 순위(2차 설문결과)
(3) 3차 시민의견 설문조사
m
설문기간 2020.08.24.~2020.08.27.(4일간)
m
설문방식 온라인 설문, 선호도 조사
m
설문대상 인천시 ON-LINE 협치위원단
m
응답인원 567명
m
설문내용 인천민주화운동기념공간 조성 부지 선호도
m
설문결과 인천민주화운동기념공간 부지 10곳의 장소, 위치, 의의를 제시하고 1, 2, 3순위를 선택하도 록 설문한 결과 1순위 옛시민회관쉼터(37.5%), 2순위 부평공원(10.9%), 3순위 인하대 옆 공터(10.3%), 4순위 월미공원(10.1%)순서로 나타남.
다음으로 중앙공원 일부(7.6%), 공무원연금인천지구매장(6.3%), 인천터미널 근처공원 (6.2%), (구)구월농산물도매시장(3.9%), 북부근로자복지회관(3.7%), 비룡쉼터(3.4%) 순 으로 나타남.
응답순위 부지 빈도(%)
1 옛시민회관쉼터
(‘틈’ 문화창작지대 포함) 37.5
2 부평공원 10.9
3 인하대 옆 공터 10.3
4 월미공원 10.1
5 중앙공원
(제8지구 일부 및 제9지구) 7.6
6 공무원연금인천지구매장 6.3
<표 44> 인천민주화운동기념공간 조성 부지 선호도(3차 설문결과)
[그림 139] 인천민주화운동기념공간 조성 부지 선호도(3차 설문결과)
인천민주화운동기념공간 조성부지 관련 간담회 의견 (2020.09.16.)
Ÿ 1안 : 설문조사에서 1순위로 응답된 옛시민회관쉼터(‘틈’문화창작지대포함)에 기념공간 조성을 강력 요청(조성가능방안 검토 및 행정재검토요청)
Ÿ 2안 : 1안이 불가능할 경우 ‘인하대 옆 공터’에 기념공간조성을 요청 Ÿ 현 조사대상지 내에서는 리모델링에 대한 요구 없음
Ÿ 기 검토한 시유지 이외에 10개 군·구내의 조성가능부지 별도조사 요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