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코디네이션 트레이닝을 통한 기술체력의 변화

1)민첩성

축구경기에서 민첩성은 경기의 승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체력요소이다

(Greg Gatz, 2009). 축구선수는 공을 이용한 페인팅 모션과 현란한 발기술로 상대 수비수들을 속이고 빠르고 정확하게 방향전환을 할 수 있는 조정력 또 한 요구 된다고 보고하였다(Thomas Reeilly, 200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축구선수들의 민첩성을 평가하기 위해 직선과 지그 재그로 구성되어있는 일리노이 테스트를 적용하여 평가를 진행하였다.

측정결과 트레이닝 전, 18.33±0.51에서 트레이닝 후, 17.77±0.41로 유의한 수준 을 나타냈으나 일반운동 참여자들에서는 유의한 수준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이준 (2013) ‘초등학교 축구선수와 일반학생의 기초체력 및 신체조성 비교 연구’에서 일반 초등 학생에 비해 초등학교 축구선수가 민첩성, 순발력, 평형성이 더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는 연구결과와 동일하였다. 이용수와 하민수(2001)는 민첩성은 14~15세의 청소년기에 가 장 활발하게 발달한다고 보고함에 따라 일반적인 트레이닝과 코디네이션 트레이닝을 적 절한 시기에 훈련시키는 것이 민첩성 향상에 보다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올 것이라 사료 된다.

2)순발력

순발력이란 힘(Force) X 속도(Velocity)로 근육이 폭발적인 힘을 발현하는 것을 말한다(권태원, 2008). 축구경기에서 순발력은 정확하고 강한 패스, 킥,

슈팅뿐만 아니라 상대 수비수와 공중 볼 경합 시 수행하는 점프, 상대 수비 수를 제치기 위한 스프린트 등을 수행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기술체력 요소 라고 할 수 있다(유상철, 2006). 이재홍(2011)은 축구는 달리기 동작이 가장 큰 비중 을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급속하고 불규칙적인 가속과 감속이 이루어지는 특성이 있어 높은 순발력이 필요하다고 보고함에 따라 본 연구에서 순발력 평가를 위해 서전트 점프를 이용하여 체공시간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트레이닝 전 0.55±0.06에서 트레이닝 후 0.63±0.04로 유의한 수준을 나타냈으며, 일반운동 참여자들에서는 유의한 수 준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이준희, 김옥자, 조영희(2016)의 ‘코디네이션 훈련이 유소년 축구선수들의 체력과 축구 기술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나타난 결과와 같이 코디네이션 운동을 참여한 참여자들의 순발력 향상을 나타낸 본 연구와 일치하였다.

3) 평형성

황정민(2017)의 ‘코디네이션 트레이닝을 통한 축구동아리 활동에 참여하는 대학생의 신체조성과 체력향상’에서 코디네이션 트레이닝의 궁극적인 목적은 몸의 균형성을 기르고 어떤 상황에서도 자신의 의지대로 움직일 수 있는 신 체적인 능력을 향상시키며, 부상을 방지하는 것이라고 보고하며 눈감고 외발 서기를 통해 코디네이션 트레이닝으로서 충분히 향상될 수 있다고 보고하였 다. 본 연구에서도 평형성을 측정하기 위해 눈감고 한발서기를 진행하였고,

트레이닝 전 5.66±1.13에서 트레이닝 후 6.65±0.66으로 유의한 수준을 나타냈다.

이는 황정민(2017)의 연구와 동일한 결과로 코디네이션 트레이닝을 참여 한 참여자들에게서 평형성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고 보고하였으며, 윤진 기(2016) 또한 9개월간의 축구클럽 참여자가 비참여자에 비해 평형성이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는 연구결과로 본 연구 결과 내용을 뒷밧침 하고 있다.

4) 스피드

스피드는 신속하게 움직이는 것을 말하며 축구경기에서 요구되는 중요한 체력 요소 중 하나로 실질적으로 축구선수가 가진 기술 중 제일 중요한 체력요소라고 할 수 있다(FIFA, 2006).

(Raymond Verheijen, 1998)은 축구에서 요구되는 스피드 종류로 Startin Speed, Acceleration, Speed Endurance, Repeated Short Sprint Capacity, Speed of Reaction 등이 있다고 하였다. 스피드는 다른 체력 요소들 보다 더 장 기적이고 계획적인 트레이닝을 통해서 향상 될 수 있으며(Greg Gatz, 2009), 과 거에 비해 공수전환 속도가 현저하게 빨라짐에 따라 우수선수로 성장하기 위해 서는 스피드 체력 요소를 향상 시켜야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이재홍, 2011). 본 연구에서는 스피드를 평가하기 위해 20m 드리블을 진행하였으며, 코 디네이션에 트레이닝에 참여한 참여자들에게서 유의한 수준을 나타냈으며, 일반 운동 참여자들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을 나타냈다.

코디네이션 트레이닝 전 12.25±0.55에서 트레이닝 후 10.81±0.42로 높은 편차를 나 타냈으며, 이는 이재홍(2011)의 코디네이션 트레이닝이 축구선수들의 기술체력 및 기술 수행력에 미치는 영향의 연구결과와 동일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코디네이션 트레이닝으 로 인해 20m 전력질주와 같은 단거리 전력질주에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지만, 50m 전력 질주와 같이 보다 긴 거리의 전력질주에서는 일반적인 트레이닝을 실시한 집단과 큰 차 이점이 나타나지 않았다는 연구 결과를 알 수 있었다. 반면 이용수, 하민수(2001)는 14∼

15세 시기에 50m 전력질주 기록이 가장 많이 향상된다는 보고에 따라 본 연구에서 실시 한 코디네이션 트레이닝의 실시 여부와는 상관없이 일반적인 트레이닝을 실시하더라도 동 연령대의 선수들의 50m 전력질주가 향상 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