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일반적 특성에 따른 ADHD의 유병률
대상자 특성에 따른 ADHD의 유병률을 살펴본 결과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하게 높았 고(p<0.001), 학업성적이 떨어질수록 유의하게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p<0.001). 학년,친한 친구의 수,경제적 수준에 따른 ADHD 유병률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표 8).
표 8. 일반적 특성에 따른 ADHD의 유병률
단위:명(%)
2. 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ADHD의 유병률
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ADHD의 유병률을 살펴본 결과 아침식사는 최근 7일 동안 식 사를 하지 않는 것이 ADHD의 유병률이 유의하게 높았고(p=0.006), 신체활동은 신체 활동을 하지 않는 것이 ADHD의 유병률이 유의하게 높았다(p<0.001).현재 오랫동안 앓고 있는 질병에서는 ADHD의 유병률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표 9).
표 9. 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ADHD의 유병률
단위:명(%)
변수 내용 ADHD
아니오 예 p-값
아침식사 일수 최근7일 동안 하지 않음 80(88.9) 10(11.1) 0.006 주1˞5일 321(92.8) 25(7.2)
주6˞7일 706(95.9) 30(4.1)
신체활동 여부 아니오 374(88.8) 47(11.2) < .001 예 733(97.6) 18(2.4)
현재 앓고 있는 질병 없다 731(94.9) 39(5.1) 0.319 있다 376(93.5) 26(6.5)
변수 내용 ADHD 아니오 예 p-값
현재 가족 구성원 아빠 ·엄마 모두 있다 1,093(94.4) 65(5.6) 0.362 편부모 혹은 기타 14(100.0) 0( .0)
부모님 직업 아빠만 있다 357(95.4) 17(4.6) 0.317 엄마만 있다 31(100.0) 0( .0)
아빠 ·엄마 모두 있다 714(93.7) 48(6.3) 아빠 ·엄마 모두 없다 3(100.0) 0( .0)
아버지 학력 고등학교 졸업 이하 146(92.4) 12(7.6) 0.332 대학교 졸업이상 549(95.3) 27(4.7)
잘모름 412(94.1) 26(5.9)
어머니 학력 고등학교 졸업 이하 189(93.1) 14(6.9) 0.483 대학교 졸업이상 520(95.2) 26(4.8)
잘모름 398(94.1) 25(5.9)
3.
가족환경 관련 특성에 따른 ADHD의 유병률가족환경관련 특성에 따른 ADHD의 유병률을 살펴본 결과 현재 가족 구성원,부모님 직업,아버지 학력,어머니 학력에 따른 ADHD 유병률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표 10).
표 10.가족환경 관련 특성에 따른 ADHD의 유병률
단위:명(%)
4.인터넷관련 특성에 따른 ADHD의 유병률
인터넷관련 특성에 따른 ADHD의 유병률을 살펴본 결과 이동통신 사용 여부에서는 스마트폰 사용하는 아동에서 ADHD의 유병률이 유의하게 높았고(p<0.001),인터넷 사 용시간에서는 주중과 주말 모두 3시간 이상 인터넷을 사용하는 아동에서 ADHD의 유 병률이 유의하게 높았다(p<0.001).인터넷 사용 장소에서 집 이외에서의 사용이 집 보다 ADHD의 유병률이 유의하게 높았고(p<0.001),집안 컴퓨터 사용 장소에 따른 ADHD의 유병률은 본인 방 및 다른 형제 ·자매의 방에서 ADHD의 유병률이 유의하 게 높았다(p<0.001),인터넷 사용 목적별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01),부모님과 컴퓨터 사용시간대 약속 유무에 따라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표 11).
변수 내용 ADHD 아니오 예 p-값
이동통신 사용 여부 없다 246(98.8) 3(1.2) < .001 일반휴대폰 사용 338(99.1) 3( .9)
스마트폰 사용 523(89.9) 59(10.1)
주중 인터넷 사용시간 1시간 미만 495(99.6) 2(.4) < .001
(월~금요일) 1시간˞2시간미만 316(97.8) 7(2.2) 2시간˞3시간미만 133(92.4) 11(7.6) 3시간 이상 163(78.4) 45(21.6)
주말 인터넷 사용시간 1시간 미만 381(99.7) 1(.3) < .001
(토~일요일) 1시간˞2시간미만 312(99.7) 1( .3) 2시간˞3시간미만 169(97.7) 4(2.3) 3시간 이상 245(80.6) 59(19.4)
인터넷 사용 장소 집 1,000(95.4) 48(4.6) < .001 집 이외 105(86.1) 17(13.9)
집안 컴퓨터 장소 본인 방 289(89.5) 34(10.5) < .001 다른 형제‧자매의 방 131(88.5) 17(11.5)
기타 687(98.0) 14(2.0)
인터넷 사용목적 게임 433(89.5) 51(10.5) < .001 정보검색 281(98.6) 4(1.4)
메신저/채팅 92(95.8) 4(4.2) 기타 301(98.1) 6(1.9)
부모님과 컴퓨터 약속이 없다 508(92.5) 41(7.5) < .001 사용시간대 약속유무 약속이 있으면 지킨다 493(99.6) 2( .4)
약속이 있어도 지키지
않는다 106(82.8) 22(17.2) 표 11. 인터넷관련 특성에 따른 ADHD의 유병률
단위:명(%)
변수 내용 ADHD 아니오 예 p-값
인터넷 중독유형 일반 사용군 907(99.8) 2( .2) < .001 잠재적 위험 사용군 99(93.4) 7(6.6)
고 위험 사용군 101(64.3) 56(35.7)
인터넷 중독 점수(M±SD)* 55.4±19.55 102.3±13.03 < .001 인터넷 중독 일상생활장애 12.7±.4.9 24.0±3.3 < .0001 하부요인 현실 구분 장애 3.3±0.7 4.3±1.5 < .0001 긍정적 기대 9.6±4.4 18.4±3.3 < .0001 금단 8.2±3.6 16.2±3.2 < .0001 가상적 대인관계 지향성 6.8±2.7 12.1±4.0 < .0001 일탈행동 7.5±2.5 12.1±3.6 < .0001 내성 7.4±3.4 15.2±2.5 < .0001
*M ± SD:Mean±Standard Dev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