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I. 서론

2. 자아

가. 자아란 무엇인가?

1) 주체와 자아 - 여러 자아들

- 주체 : 의식, 주관적 경험, 이성, 우리의 본질의 소재지 2) 주체-자아 관계

- 대상 조작하기 - 공간 속에 위치하기 - 사회적 관계

- 자신을 타인에게 투사 - 진정한 자아, 참된 자아

나. 은유를 통한 자아의 유형 1) ‘물리적 대상’ 자아

(가) 자아 통제는 대상 통제

- 사람이 주체, 물리적 대상으로 자아, 내가 자아를 통제 (나) 내적 인과 관계의 은유

- 자아 통제는 대상의 강제된 이동 - 몸의 통제는 대상의 강제된 이동

- 자아의 행위를 일으키는 것은 대상의 강제된 이동 - 자아 통제는 대상 소유

: I lift my arm

: I dragged myself out of bed.

2) ‘위치적’ 자아

(가) 자아 통제는 정상적 위치에 있는 것

- I was beside myself: 난 제정신이 아니었다.

- He’s out to lunch : 머리가 멍해져 있다.

(나) 은유

- 그릇으로서의 자아

: 사람이 주체, 그릇이 자아. 주체에 의한 자아의 통제, - 땅 위에 있음으로서의 자아통제

: He’s got his feet on the ground: 그는 현실적이다.

: 자아 통제의 정도 등을 의미 3) ‘분산된’ 자아

(가) 주의력 있는 자아 통제는 자아의 통합 - 부서진 그릇을 분산된 자아에 비유 (나) 은유

: pull yourself together, 정신 차려라

: she‘s all over the place. 그녀는 완전히 천방지축이다.

4) 자신 밖으로 나가는 것 (가) 객관적 관점, 주관적 관점

: 객관적 지식, 외부로부터 자신을 보는 것 : 주관적 지식, 내부로부터 자신을 보는 것 (나) 은유

: you need to step outside yourself. 네자신으로부터 벗어날 필요가 있다.

: you should watch qhat you do. 네가 하는 일을 주의깊게 살펴봐야 한다.

5) 사회적 자아

(가) 한 사람(주체), 또 다른 사람 (자아), 평가적인 사회적 관계 : 내가 나 자신을 또 다른 주체의 입장에서 평가

(나) 은유

* 적대자로서의 주체와 자아

- he’s his own worst enemy. 자신이 가장 악한 적이다.

* 부모로서의 주체와 아동으로서의 자아

- you earned the right to baby outself.네 자신의 응석을 박아줘도 된다.

* 친구로서의 주체와 자아

- you need to be a better friend to myself.네 자신의 더 나은 친구일 필요가 있다.

* 대화자로서의 주체와 자아

- I promised myself a vacation. 나 스스로에게 휴가를 약속했다.

6) 다중적 자아

(가) 다수의 가치를 다수의 자아로 개념화

: 어떤 사람(주체), 다른 사람들(자아들), 다를 사람들의 역할, 가치 (나) 은유

- I keep going back and forth between the scientist and the priest in me. 내안의 과학자와 성직자 사이에서 왔다갔다 한다.

7) 다른 사람에게 투사하기

(가) 자신의 가치를 타인에게 투사, 나의 주관적 경험에 투사된 가치를 가지고 경험

(나) 은유

- If I were you, I’d punch him - I feel your pain.

8) 본질적 자아

(가) 개인으로서 나 자신을 나 자신으로 반들어 주는 어떤 본질 (나) 유형

(1) 내적 자아 (the inner self)

- 자아 1은 자아 2의 내부에 숨겨져 있음 - he won’t reveal himself to stranger (2) 외적인 진정한 나 (the external real self)

- 무서운 자아 2는 착한 자아 1의 내부에 숨겨져 있음 - I’m not myself today. 오늘 나는 제 정신이 아니다.

(3) 참된 자아 (the true self)

- 평생토록 주체는 자아 2에 거주, 자아 2는 주체의 본질과 양립 불가능. 자아 1은 본질과 양립이 가능하나 그것이 무엇인지 알려져 있지 않음. 참된 장아는 본질과 양립이 가능한 자아를 찾는 것

- I found myself in writing. 글쓰기에서 나 자신을 발견했다.

3. 자아와 창발론

Dalam dokumen PDF 과학과 인문학의 만남 (Halaman 75-78)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