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제안하는 AFE 정류기를 이용한 유도전동기의 센서리스 속도제어

6. 시뮬레이션

6.2 제안하는 AFE 정류기를 이용한 유도전동기의 센서리스 속도제어

나타낸다. (a)는 속도를 나타낸 그래프로 지령속도인 1,500[rpm]을 기준으로 가 감하며 제어가 잘 되고 있고, 고속 영역에서 속도 응답특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b)는 입력단 중 한 상의 전류 파형을 나타낸 것으로 THD가 26.4%로 기

존의 방식에 비해 고조파가 상당히 많이 감소되어 전류파형이 많이 개선되었음 을 알 수 있다.

그림 6.7은 속도제곱에 비례하는 부하를 인가한 상태에서 0[rpm]에서

1,000[rpm]으로 계단상의 속도지령을 인가하였을 경우의 응답특성을 도시하고

있다. (a)는 속도 그래프로 고속영역에서도 속도 응답특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

다. (b)는 입력단 중 한 상의 전류 파형을 나타낸 것으로 THD가 19.8%로 기존

의 방식에 비해 고조파가 상당히 많이 감소되었다.

그림 6.8은 5[N·m]의 부하토크를 인가한 상태에서 0[rpm]에서 100[rpm]으로

계단상의 속도지령을 인가하였을 경우의 속도응답을 도시하고 있다. (a)는 속도 그래프로 저속영역에서도 속도응답특성이 양호함을 알 수 있다. (b)는 입력 전 원 측 전압과 전류의 크기와 위상을 도시한 것으로 역률은 0.98로 DFE 방식보 다 상당히 개선된 단위 역률에 가까운 값을 나타낸다.

그림 6.9은 속도제곱에 비례하는 부하를 인가한 상태에서 500[rpm]의 속도로

구동 중 T=1[s]에서 -500[rpm]으로 반전속도지령을 가했을 경우의 속도응답특성

을 나타낸다. (a)는 속도 그래프로 중속영역에서 순간적인 역전운전 시에도 전 동기속도가 속도지령에 따라 잘 제어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b)는 입력 단 중 한 상의 전류 파형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로 반전속도지령을 가한 시간인

T=1[s] 이후에도 과도구간을 거친 후 제어가 잘 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THD는

16.3%로 기존의 방식에 비해 고조파가 상당히 많이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다.

(c)는 DC link 단의 직류 전압 파형으로 반전속도지령 전·후의 직류 출력 값을

나타내고 반전속도지령 이후 과도구간에서 약간의 리플이 발생한 후 비교적 안

정적인 직류 전압 출력 값을 나타낸다. (d)는 전동기의 상전류 파형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로 반전속도지령을 가한 시간인 T=1[s] 이후에 과도구간을 거친 후에도 정현파에 가까운 전류 파형을 보여준다.

그림 6.10는 무부하 상태로 300[rpm]의 속도로 정상운전 중 시간 T=1[s]에서

5[N·m]의 부하토크를 인가하였을 경우의 응답을 나타낸다. (a)는 속도그래프로

부하가 인가된 이후에도 속도제어가 잘 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b)는 입력 단 중 한 상의 전류 파형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로 부하가 인가된 이후 전류의 크기가 조금 커지고 제어가 잘 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THD는 22.8%로 기존의 방식에 비해 고조파가 많이 감소되었다.

0 0.5 1 1.5 2 Time (s)

0 500 1000 1500 2000 2500

Speed[rpm]

(a) Speed

0.8 0.82 0.84 0.86 0.88 0.9

Time (s) 0

-50 -100 -150 50 100 150

Input Current[A]

(b) Input Current

그림 6.6 계단입력 속도지령 변화에 대한 응답(0→1,500[rpm])

Fig. 6.6 Simulation responses for step change of speed setting(0→1,500[rpm])

0 0.5 1 1.5 2 Time (s)

0 500 1000 1500

Speed[rpm]

(a) Speed

1.8 1.82 1.84 1.86 1.88 1.9

Time (s) 0

-50

-100 -150 50 100 150

Input Current[A]

(b) Input Current

그림 6.7 계단입력 속도지령 변화에 대한 응답(0→1,000[rpm])

Fig. 6.7 Simulation responses for step change of speed setting(0→1,000[rpm])

0 0.5 1 1.5 2 Time (s)

0 50 100 150 200

Speed[rpm]

(a) Speed

1.8 1.84 1.88 1.92 1.96 2

Time (s) 0

-50

-100 50 100

Input Voltage[V] Input Current[A]

(b) Input Voltage and Current

그림 6.8 계단입력 속도지령 변화에 대한 응답(5[N·m], 0→100[rpm])

Fig. 6.8 Simulation responses for step change of speed setting(5[N·m], 0→100[rpm])

0 0.5 1 1.5 2 Time (s)

0

-500

-1000 500 1000

Speed[rpm]

(a) Speed

0.8 1 1.2 1.4 1.6

Time (s) 0

-100 -200 -300 100 200 300

Input Current[A]

(b) Input Current

그림 6.9 계단입력 속도지령 변화에 대한 응답(500→-500[rpm])

Fig. 6.9 Simulation responses for step change of speed setting(500→-500[rpm])

0.8 1 1.2 1.4 1.6 Time (s)

0

-50

-100 50 100

Phase Curent[A]

(d) Phase Current

그림 6.9 계단입력 속도지령 변화에 대한 응답(500→-500[rpm])

Fig. 6.9 Simulation responses for step change of speed setting(500→-500[rpm])

0.8 1 1.2 1.4 1.6

Time (s) 0

100 200 300 400

DC Link Voltage[V]

(c) DC Link Voltage

0.4 0.6 0.8 1 1.2 1.4 1.6 Time (s)

0 100 200 300 400 500

Speed[rpm]

(a) Speed

0.8 0.9 1 1.1 1.2

Time (s) 0

-10

-20 10 20

Input Current[A]

(b) Input Current

그림 6.10 계단입력 부하토크 변화에 대한 응답(300[rpm], 0→5[N·m]) Fig. 6.10 Simulation responses for step change of load torque(0→5[N·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