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생활체육 트레킹활동의 운동지속과 생활만족이 여가만족의 관계를 분 석함으로써 운동지속(운동능력,운동습관,운동환경,운동관심,운동친구)과 생활만 족(성공감,행복감,만족감,기대감)이 여가만족(심리적만족,교육적만족,신체적만 족,환경적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고자 하는 목적에서 시도되었다.
이와같은 목적으로 시도된 본 연구의 결론은 생활체육 트레킹 운동지속과 생활만 족이 여가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따라서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 와 결론을 토대로 본 연구가 지닌 제한점을 고려하여,연구의 수행과정에서 나타 난 문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앞으로의 연구과제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 고자 한다.
첫째,생활체육의 종목의 다양성과 범위가 너무 광범위하여 생활체육 트레킹이 생활체육의 전부를 일반화할수 없어 종목 및 지역의 세분화하여 한 후속연구가 필 요하다고 하겠다.
둘째,생활체육 트레킹 운동지속과 생활만족이 여가만족의 관계의 연구에 있어서 생활체육 참여자를 대상으로 연구가 실시되었다.이에따라 생활체육 트레킹 지도 자를 대상으로 연구하여 생활체육 트레킹의 기초자료로 더욱 연구 가치가 있을 것 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강경빈(1998).대학생의 여가활동참여와 대학만족,여가만족,생활만족간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전남대학교 대학원.
고영설(2006).대학생의 여가유형별 여가참여 및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미간행 석 사학위논문,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고영준(2008).노인의 생활체육 참여 동기와 라이프 스타일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미간행 박사학위논문,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곽한병,구경자(2010).생활무용 참가가 여성의 신체이미지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 는 영향.한국콘텐츠학회,10(8),407-416.
곽혜숙(1998).고등학생의 여가활동 유형에 따른 여가만족,여가권태의 차이.석사 학위논문,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김경임(1998).여가 스포츠 활동 참가자의 여가인지,사회적 지지 및 스트레스 대 체행동의 관계.미간행 석사학위논문.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김광연(2010).생활체육 테니스 동호회 활동 참여와 생활 만족도.미간행 석사학위 논문.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김규철(1998).수영운동 참여가 주부의 여가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 논문,경희대학교 대학원.
김도훈,허경선,손명재,김수연(2009).스크린골프장 이용 고객의 참여동기가 여가 만족 및 재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한국체육학회지,48(5),207-217.
김동진(2003).장기간 운동이 노인들의 심혈관기능,근기능,신체조성,골밀도 수준 에 미치는 효과.호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미숙,박민정(2000).종교가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한국노년학회.
20(2),29-47.
김상현(2007).에어보릭체조 선수들의 운동지속 및 포기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변인.미간행 박사학위논문.상명대학교 대학원.
김성수(2009).여가만족과 여가몰입이 심리적 안녕감 및 자아실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미간행 박사학위논문.안양대학교 대학원.
김여옥(1999).스트레칭운동이 양로원노인의 체력,일상생활능력 및 삶의 질에 미
치는 효과.정신간학회지,8(1).pp.108-120.
김영배(2011).골프 참여자의 성격특성과 운동중독 및 운동지속의 관계.미간행 석 사학위논문.성균관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김영임,정혜선,배경희(2007).건강증진 이론과 적용.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 판부.
김영재(2001).여가스포츠 지속행동 모형의 타당화 검증.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김은애(2002).운동참여,운동중단 및 운동지속에 대한 요인분석 연구.미간행 석사 학위논문.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김은애(2002).운동참여,운동중단 및 운동지속에 대한 요인분석 연구.이화여자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정아(1996).트레킹 코스 조성계획.미간행 석사학위논문,서울대학교 환경대학 원.
김춘길(1995).운동프로그램이 양로원 노인의 체력,자기효능,일상생활 능력 및 삶 의 질에 미치는 효과.카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희자(1994).시설노인의 근력강화 운동이 근력,근 지구력,일상생활 기능 및 삶 의 질에 미치는 효과.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대한걷기연맹(2010).http://www.walking.kr.
도무환(2009).테니스 동호인의 여가정체성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미간 행 석사학위논문.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영아,현용호(2009).도보여행 동기에 관한 심색적 연구:제주도 올래길을 중심으 로,「 한국관광학회 」,제33권 제7호 pp.77-3
박유진(2002).여가 경험과 여가 정체성 현출성이 여가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 향:적극적 여가를 중심으로,미간행 박사학위 논문,중앙대 대학원.
박정근(1994).건강과 운동집착.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5(2).pp.19-36.
박현숙(2000).노인운동 프로그램.건강증진사업 교육훈련-운동프로그램 교육자료.
건강증진 거점보건소 기술지원평가단.pp.80-98.
부공민(2007).오름 트레킹 참여동기와 만족도간의 관계.석사학위논문.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서부덕(1997).집단동작 훈련이 시설노인의 생리 심리적 변수 및 일상생활능력에 미치는 영향.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손경희(2008).직장인들의 생활체육 참여와 직무만족 및 생활만족의 관계.미간행 석사학위논문.경기대학교 대학원.
신윤희(1997).걷기운동프로그램이 노년기 여성의 신체적 기능과 정서상태에 미치 는 효과.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신윤희,최영희(1996).걷기운동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심폐기능 유연성에 미치는 효과.대한간호학회지,26(2).pp.372-386.
야크존.http://trek.pe.kr
양명환(2000).여가스포츠의 참여동기,제약요인 및 만족도에 대한 분석.한국체육 교육학회지,5(1),161-178.
양명환(2006).직장인들의 운동참여동기,참여제약,지속의도 및 참여수준간의 관 계.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17(2).33-52.
여동완,현금호(2008).사진을 보면서 읽는 네팔,히말라야···,서울:도서출판 가각 본.
염진종(2010).생활체육 동호인의 여가만족도와 생활만족도의 관계.한국사회체육 학회지.39,851-864.
오수학,송윤경,김현정,허미향,조정환(2000).운동지속수행 검사지의 구인타당화.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2(2).pp.39-52.
유연만(1999).자율체육활동 참가 지속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유진(1991). 운동지속행동의 결정요인분석. 중앙대학교인문과학논문집, 34. pp.
297-312.
윤해수(2010).노인의 주거특성에 따른 삶의 만족도 연구.미간행 박사학위논문.대 구대학교 대학원.
이강옥(2004).건강을 위한 웰빙 걷기,가림 출판사.
이강헌,구우영,정구인,정용각(2006).운동행동과 스포츠 심리학.서울:대한미디 어.
이경혜(2006).농촌노인의 운동지속에 관한 구조모형.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이상석(2004).골프장 서비스 품질,고객만족과 재이용의도간의 관계.한국품질경영 학회지,32(3),10-28.
이성철(1996).노인의 사회체육활동 참여가 여가몰입,여가권태,그리고 고독감에 미치는 영향.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제 12권.59-75.
이숙자(2000).노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율동적 운동프로그램의 적용 효과.경희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영란(1999).무용요법이 노인의 신체적,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카톨릭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재주(2010).생활체육동호인의 여가정체성 요인에 따른 신체적 존중감,심리적 행복감 및 생활만족의 관계.미간행 박사학위논문.경기대학교 대학원.
이종길(1992).사회체육화동과 생활만족의 관계,미간행 박사학위논문,서울대학교 대학원.
이종길,김동건,이문숙(2007).완전 주 40시간 근무제 실시에 따른 여가시간 및 여 가활동 패턴의 변화가 여가만족,직무만족,생활만족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46(2),301-316.
임번장,김경식,한승백,박보현,황미경,권순용(2006).생활체육참가자의 운동중독 성향과 자기도피, 사회적지지 및 사회적응과의 관계. 한국스포츠학회지, 19(1).pp.53-70.
임재구,임태성(2000).사회·문화 변동에 따른 여가스포츠 활동경향에 관한 고찰.
한국체육학회지,39(3),942-951.
장효주(2010).청소년의 행동억제 기질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부모 양육태도의 중 재효과.미간행 석사학위논문.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전선혜(1996).운동지속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심리학적 변인들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35(3).pp.142-153.
정구인(1996).스포츠활동 남자 참여자들의 운동지속과 중도포기에 관한 조사 분 석.한국체육학회학술발표회논문집,34.pp.344-353.
정인근(2003).규칙적인 운동프로그램이 중,노년층 여성의 신체조성 및 혈청지질에 미치는 영향.한국스포츠리서치,14(2).pp.521-530.
조민복(2007).여성의 에어로빅스 참여가 자아실현에 미치는 영향.미간행 석사학 위논문.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과학연구원(2002).비만해법 운동이 최선이다.pp119-143.
최성훈(2004).여가,레크리에이션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운동지속 검사지의 타다도 검증.한국체육학회지,43(4).pp.489-496.
최성훈(2005).한국형 운동지속 검사지 개발.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최재일,송성섭,성락민(2010).골프 전공 대학생의 스포츠 참여동기에 따른 여가만 족도 및 생활만족도의 관계.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30(4),35-46.
최정웅(2010).생활체육 참여자의 참여동기,사회적지지 및 자기효능감과 운동지속 도와의 관계.미간행 박사학위논문.고려대학교 대학원.
최지혜(2006).청소년의 여가활동과 여가만족도와의 관계.미간행 석사학위논문.순 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하영호(2007).헬스피트니스운동 참가자의 운동지속 요인과 참가정도의 관계.미간 행 석사학위논문.경성대학교 대학원.
한국걷기과학협회(2002).http://www.koreawalking.or.kr
현정회,류호상(1999).동기유발이 여성의 운동집착 및 건강에 미치는 영향.서울 : 국제스포츠과학회.
Aiken, F. W.(2001). An analysis of selected personal, environmental, and activity characteristics related to exercise adherence. Unpublished doctoraldissertation.TempleUniversity.
Amoato,Joseph Anthony(2006).걷기,인간과 세상의 대화 :깃털 없는 두 발 짐 승,인류가 내딛어온 6백만 년 걷기의 역사,작가정신,105
Beard,J.G.& Ragheb,M.G.(1980).measuringLeisureSatisfication.
Chekola.(1975).The conceptofhappiness.Dissertation AbstractInternational, 35,4609A.
Corbin,C.B.,Lindsey,R(1994).Concepts ofphysicalFitness.Dubuque,IA:
Wm.C.BrownCommunications.
Diener,E.Emmosons,R.A.,Larsen,R.J.,& Griffin,S.E.(1985).T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