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제언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Halaman 58-73)

본 연구는 공공 스포츠시설 종사자의 감정노동에 따른 직무소진이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공공 스포츠시설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연구하였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연구 결과를 반영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지역에서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대상을 공공 스포츠시설 종사자로 한정하였기 때문에 포괄적인 직책으로 일반화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후속 연구에서는 체계적이고 전문화된 공공 스포츠시설 등을 포함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조사 도구로 설문지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그로 인해 공공 스포츠시설의 특수한 상황이나 기타 변인들을 통제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양적 연구에서 얻지 못한 세부적인 차이들을 포함할 수 있는 심층 면담이나 관 차등과 같은 질적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참 고 문 헌

[국내 문헌]

강문실, 송병식(2008). 정서노동자의 직무스트레스 결정요인 결과요인 그리 고 조절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대회, 1-28.

강한철(2014). 컨택센터 상담자의 감정노동, 직무소진, 이직의도에 관한 연 구: 슈퍼리더십과 심리적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고상수(2016). 직장인의 스포츠 참여에 따른 직무 만족, 여가만족 및 생활 만족과의 관계, 여가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우석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고상지(2018). 공공스포츠센터 수영프로그램의 전환장벽 요인이 구매 후 행 동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고은하(2003). 상업스포츠조직 경영자의 리더십이 임파워먼트 및 조직몰입 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2(3), 421-431.

구미현(2002). 비정규직 여성노동자의 고용구조와 노동통제: 백화점 판매직 여성 노동자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권경희(2017). 감정노동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 력성의 조절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권경희(2017). 감정노동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 력성의 조절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기용회(2017). 민간경비원의 감정노동이 직무소진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감성지능의 조절효과. 대구한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계수(2007). AMOS 16.0 구조방정식모형분석. 서울: 한나래.

김덕영(2020). 육군 신병 훈육요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 사회적지원의 간접효과를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김동환(2014). 민원담당 공무원의 감정노동이 소진과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 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민우(2013). 실업팀 조직공정성이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 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민철(2019).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소진과 직무태도의 매개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복희(2017). 저소득층 청소년의 낙인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회복 탄력성의 매개효과와 작업동맹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신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병천, 배경원(2020). 국가자격검정 공공서비스 직원의 감정노동과 직무소 진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지. 33(1), 147-165.

김산용(2018). 융합시대를 위한 사회복지사의 소진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융합연구: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중소기업융합학회. 8(6), 361-36 6.

김성민(2008). 호텔 종사원의 직무착근도와 역할스트레스원이 직무만족, 조 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김성은, 김철희(2014). 비서의 감정노동, 직무만족, 이직의도가 회복탄력성간 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경영과 정보연구. 33(5), 261-283.

김성환, 이시경(2018). 감정노동과 조직효과성 간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 한국정책개발학회. 19(1), 193-219.

김영진(2010). 감정노동과 고객지향성의 관계에서 소진의 역할: 항공사직원 을 중심으로. 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왕배, 이경용, 이가람(2012). 감정노동자의 직무환경과 스트레스. 한국사 회학, 46(2), 123-149.

김종원(2017). 호텔 조리사의 개인역량과 감정노동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 에 미치는 영향.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종진(2015). 노동 연구자의 교류의 장, 새로운 느낌의 시작. 산업노동연 구. 21(3), 189-196.

김학수(2012). 감정노동이 직무소진과 직무철회에 미치는 영향. 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홍조(2017). 소방공무원이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몰입의 조절효과. 인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희경, 고재욱(2015). 노인복지관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과 이 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17. 5

5-79.

나상필(2016). 국제회의 종사자의 직무환경이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에 따 른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남석훈(2008). 사회복지조직에서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상윤, 이제승. (2018). 스포츠센터 종사자의 감정노동, 감정소진, 고객지향 성 간의 인과관계. 한국체육과학회. 13, 569-581.

박현석(2017). 골프장 캐디의 감정표현규칙과 감정노동, 직무소진 및 이직의 도 간의 관계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변계희(2017). 병원 간호인력의 감정노동이 직무소진, 고객지향성, 이직의도 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성영태(2014). 민원담당공무원의 감정노동이 자기효능감과 직무소진에 미치 는 영향: 대구·경북 민원담당공무원을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보.

13(2), 183-210.

손석주, 장석인(2016). 콜센터 구성원의 감정노동과 조직유효성간의 인과관 계 분석: 감정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인적자원개발연구.

신우열, 김민규, 김주환(2009). 회복탄력성 검사 지수의 개발 및 타당도 검 증. 한국청소년연구, 20(4), 105-131.

오종섭(2007). 호텔 종사원의 외부 고객에 대한 감정노동이 직무성과에 미 치는 영향.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우유하(2020). 도시철도 직원의 감정노동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직지원인식의 매개역할과 감성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 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유옥덕(2008). 상급자와 부하와의 교환관계(LMX)가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 행동에 미치는 영향: 군 조직을 중심으로. 위덕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윤승재(2007). 스포츠조직 종사자들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직업몰입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덕로, 김태열(2008). 직무특성이 개인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선행적 행동 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영학연구. 37(3), 443-475.

이미정(2015). 공공조직 감정노동 종사자의 직무소진과 조직몰입의 관계 - 조직지원의 조절효과 및 조직지원인식의 매개효과 검증-. 서울대학교

이병국(2016). 호텔조리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소진과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병기(2020).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에 관한 연구 : 온라인쇼핑몰 콜센터 상담사를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병관, 소영호(2008). 스포츠시설 종사원의 직무관여와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의 관계. 한국스포츠산업경학회지. 13(4), 115.

이송희(2011). 백화점 판매사원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상사의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순늠(2010).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소진 및 직무몰입의 관계.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정훈(2011). 조직지원인식과 상사의 정치적 기술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상사-부하간 교환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종열(2012). 일반 생활체육지도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조직효과성 및 이직 의사의 인과관계. 안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준우(2014). 감정노동자의 인적자원관리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 한 연구: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이태경(2007). 사회복지 종사자들의 감정노동과 직무만족간의 관계 연구.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해리, 조한익(2006). 한국 청소년 탄력성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 회지, 18(2), 353-371.

이혜미, 한진수(2015). 호텔 종사원의 긍정적 표현요구가 감정노동 및 부조 화.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관광연구저널, 29(2), 35-46.

이호찬(2018). 중고차 종사원의 감정노동과 직무소진이 고객지향성에 미치 는 영향. 상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환정(2014).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직무소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이황(2003). 병원 간호조직유효성의 관련요인: 자기효능감 상사에 대한 신 뢰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Halaman 58-73)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