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제7차 운영위원회 회의

Dalam dokumen 국토해양부 장관 귀하 (Halaman 182-195)

제 3 부

7. 제7차 운영위원회 회의

2010. 2. 24

중국, 샤먼 (Xiamen)

지역과학회의

(Regional Science Conference)

- 회의보고서-

1 회의개요

❏ 일시 및 장소

o 2010. 2월 24 ~ 27일, 중국 샤먼

❏ 회의배경

o 2007년 8월 14~16일, 중국 항저우에서 제1차 지역과학회의를 가졌으며 해당회의에서 월경성진단분석(TDA)를 마련하여 최종 완결하였음.

o 해당 회의 이후에 YSLME 사업은 - 한중 황해 공동승선조사

- 황해 수산자원량 공동조사 - SAP승인 및 NSAP 마련 - 20개 이상의 시범사업 운영

- 지역협력과 조정 등에 대하여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루어 냄.

o 이러한 제1기 사업의 성과를 요약하고 과학적, 환경적, 거버넌스 이슈 를 공유하기 위하여 해당 회의를 개최함

[그림 23] 지역과학회의

2 기조연설 및 주요발표 내용

❏ 생태계기반접근을 기반으로 한 YSLME 사업의 성과 (Yihang Jiang, UNDP/GEF Yellow Sea Project)

o 생태계기반관리의 중요성을 수립, 이를 기반으로 YSLME 사업은 SAP, NSAP를 수립

o 생태계 기반관리를 이용한 통합관리 및 이에 대한 시범사업 수립 : 복 합다종양식, 시범사업, 생물다양성 보존을 위한 대중인식증진 및 비용 편익분석 등

❏ 황해 및 동중국해의 최근 수온증가 현상 (예상욱, 한국해양연구원)

o 황해 역시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최근 동중국해/황해의 표층 수온 (SST, Sea Surface Temperature)이 증가하고 있음

o 이러한 표층수온의 변화는 북태평양의 변화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 으며

o 황해 수온의 변화는 황해 생태계변화의 주요한 요소가 될 수 있음

❏ 10년간 황해 부영양화에 대한 위성조사 (Joji Ishizaka, 나고야대학) o 황해 부영양화의 증가, 동중국해에서는 용존 무기질소량의 증가, 염도

감소 등의 현상의 발견됨

o 지난 10년 동안의 위성사진자료는 여름철 동중국해 엽록소 변화는 양 쯔강 오염물질 배출량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o 또한 황해지역의 엽록소 증가는 부영양화와 관련이 있을 것이라 예상

❏ 기후변화로 인한 해양생물다양성 : 중국 사례발표 (Quan Wen, NMEMC) o 중국연안 역시 기후변화에 취약하며 그에 대한 예로

- 해수유입 감소는 기존 산란지 및 어획 지역을 변화시켜 발해만 서 식지가 변화함

- 또한 해안지역의 식생이 변화하고 있으며 - 부영양화로 인한 녹조 출몰

- 맹그로브 지역 확대

- 수산자원 구성의 변화 등이 있음

o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중국은 기후변화 적응 국가계획을 설립, 정책을 개선시키고 통합관리를 마련 시범사업들을 마련함

o 이러한 기후변화에 대처하기 위하여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 또한 꾸준 히 이루어져야 할 것임

❏ 서한만 (West Korea Bay) 생태계 보전과 관리 (종송천, 국가수로국) o 생활하수, 산업폐수, 농업으로 인한 오염으로 서한만의 환경오염 상태

와 이로 인한 양식장 손실에 대한 현황 소개

o 정부주도로 환경오염을 개선하기 위하여 평양, 남포, 송림과 같은 도시 에서 계획되고 있는 하수정화처리시설 계획 소개

o YSLME 사업은 북한의 서한만과 황해 전역의 생태계를 보전할 수 있

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생각함

❏ 남획으로 인한 황해의 최근 수산자원과 생태계 상태 (이재봉, 국립수산과학원)

o 1985년 이후, 급격히 감소 특히, 최근 5년 동안 평균 어획량 감소가 두 드러짐

o 게, 새우와 같은 갈치어획량은 감소한 반면 멸치, 오징어의 어획량은 증가

[그림 24] 북한 서한만

o 생태계기반 수산자원 평가 접근법이 수산자원 감소를 위한 해결책이 될 수 있음

❏ 사회문화적 변화와 한국의 갯벌 (김 준, 전남발전연구원)

o 풍부한 해산물을 공급하던 갯벌은 어민들의 생활 터전이며 생계공급원 이었음

o 그러나 이러한 갯벌은 경제개발을 위한 간척사업 등으로 점차 사라지 고 있으며 이로 인한 어민들의 수입과 생계마저 위협받고 있음

o 갯벌체험, 에코 투어가이드와 같은 활동을 연계된 대안적인 수단으로 관광 사업에 생계를 의존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음

❏ 황해생태계의 변화 (SUN Song, Institute of Oceanology)

o 생태계 구조와 기능의 변화로 황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해파리 출몰이 증가하고 있음.

o 해파리 대량번식의 원인은 정확하지는 않으나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음. (부영양화, 남획, 기후변화 등)

❏ 수산자원 영향 예측을 위한 생태계기반접근 (장창익, 부경대학교) o 해양생태계, 서식지, 수산자원

- 어획량은 세계적으로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중국의 어획량 증 가가 두드러짐

o 하나의 어종만 관리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며 지속가능한 수산자원 이용을 위하여 수산관리에서도 생태계기반접근이 중요시 다루어지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수산자원을 평가 또는 예측함

o 그러나 생태계기반접근 보다 정확히 연구되어질 필요가 있으며 이것을 보완할 수 있는 Integrated Fisheries Risk Assessment, Forecasting and Management for Ecosystems를 소개함

❏ 황해 멸치군의 다양성에 대한 환경영향 조사 (Yuheng Wang, OUC)

o 1990년대 이후로 남획으로 인하여 멸치생산량이 줄어들기 시작하였음

o 성장, 번식, 이동 등을 요소를 바탕으로 멸치군의 다양성에 대해 조사 였음

o 멸치의 성장은 난류에 영향을 받으며 난류가 강해질수록 성장속도가 증가하며 2년 이상의 성장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난류에도 영향을 덜 받는 것으로 분석됨

❏ 황해 거대해파리- 노무라 입깃해파리 (Nemopilema nomurai) 모니터링 (이경훈, 국립수산과학원)

o 지난 몇 년 동안 동중국해에서 황해로 노무라 입깃해파리의 이동이 이 루어져 해파리 출몰이 자주 발생됨

o 국립수산과학원은 거대 해파리, 노무라 입깃해파리 분포를 조사하기 위해 모니터링 수행사업을 진행

❏ 강화갯벌 생물다양성 보전 (박경수, 안양대학교)

o YSLME 시범 사업 중에 하나의 사례로 발표

o 강화도 주요 환경오염 요소 : 해양쓰레기, 조력발전, 오염부하물, 대규 모 개발 산업 등을 소개

o 강화도 지역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인 요소, 법, 규제, 현재 관리정책 등을 분석

o 강화남단 갯벌 보전을 위하여 이루어진 대중 인식증진 및 교육 활동 소개 o Top-down, bottom-up 두 방식을 동시에 사용하는 관리정책으로 강화

갯벌의 환경을 보전하는 것이 중요함

❏ 1970년~2007년 동안 중국, Jiangsu지방 조경(landscape) 변화 (Ping Zuo 중국 난징대학교)

o 경제개발과 함께 간척사업 등으로 인하여 중국 Jiangsu지방은 자연습 지가 사라지며 토지 역시 경제적인 용도로 개발되기 시작함

o 이러한 조경의 변화, 습지손실로 인하여 생물다양성과 서식지의 파괴 가 초래됨

o 특히 해당지역은 두루미의 주요 이동경로로써 중요 서식지로 여겨짐. 현명한 습지이용을 통하여 생물다양성 보전과 함께 생태계 보호를 추 구해야 함을 소개

❏ 토야마 만의 부영양화 상태 평가 - NOWPAP 지역 육상기인 오염물질의 측정 (Genki Terauchi, NOWPAP-CEARAC)

o 1970년 일본의 경제발전과 함께 토야마 만은 오염이 급속화 되었음

o 2009년 NOWPAP CEARAC의 부영양화 측정 활동으로 인하여 영양 분 증가가 COD 증가를 발생시켰다는 사실과 질소의 증가가 부영영화 를 발생, 수질을 악화시켰음을 밝혀냄

o 이러한 조사 방법이 황해지역의 부영양화 원인 발견에 적용될 수 있을 것임

❏ 강화갯벌 환경개선에 대한 이용편익 평가 (Isao Endo, UNDP/GEF Yellow Sea Project)

o 조사목적 : 강화갯벌의 환경상태가 개선의 되었을 경우 이용편익을 분 석함으로써 하수처리시설이 경제적인 효과가 있는지 입증하기 위함

o 여행횟수, 가구소득, 수질 등의 요소와 방문객들의 여행방문 횟수를 바 탕으로 이용편익을 분석함

o 강화갯벌의 수질이 개선되었을 경우, 13,400,000원의 경제적인 이득을 창출 할 수 있음

❏ 마산만 생태계 복원에서의 이해당사자 역할 및 참가 (이찬원, 경남대학교) o 1970~80년 대 마산만의 생태계는 급격히 파괴되었고 이를 막기 위해

하수처리시설이 1994년부터 2007년까지 계속적으로 설치됨

o 오염총량 관리제 도입과 함께 중앙정부, 지자체, 마산유역의 세 도시, 학계, 민간 등이 민관협의회를 설치, 이해당사자들의 참여와 협력을 통 해 마산만 생태계 복원을 이루어 냄

❏ YSLME 지역협의체의 제도화 (정서용, 고려대학교)

o 제2기 사업 YSLME SAP Implementation Facility 구성 및 운영 o Commission Task Force에서 논의되어야 할 이슈들의 소개

o 멤버쉽, 활동범위, 사무국, 국제기구, NGO의 역할, 국가별 이행구조, 재정계획 등

o Commission 구성을 위한 지역 협상 timeline 및 단계 소개

❏ YSLME 사업에서의 수산어법 개선 (Ming Yu, OUC)

o 수산관련 법 개선의 중요성 : 황해자원 관리를 위해서는 국제법에 연 계될 수 있는 국내법 점검이 필수적임.

o 황해 수산관리와 연계된 국제법 : 유엔해양법협약 (UNCLOS.1982), 책 임있는 수산업 규범 (the Code of Conduct for Responsible Fisheries), 한중 양자 간 수산협정

o 향후 수산관련 법 개선안 소개

o 국가 간 격차 좁힐 수 있는 지역적 가이드라인 또는 법의 개발필요

❏ NGO중심의 보다 포괄적인 황해관리의 필요성 (Sadayosi Tobai, WWF Japan)

o YSLME 사업에서 NGO는 다양한 소액사업 수행을 통해 프로젝트에 참여해 왔음. EX) YSESP 소액사업

o 추후 NGO 역할을 위해 필요한 지원 사항

- 현재까지 축척된 경험과 교훈을 공유하기 위하여 정기적인 회의 및 포럼개최

- 지역(Local) 이해당사자들의 SAP 이행을 위한 재정적인 지원.

- 효과적인 거버넌스 메커니즘 구축을 위하여 YSLME 사업에 NGO 참 여 확보

❏ 황해보전에 대한 장애 극복 (Nial Moores, 새와 생명의 터)

o YSLME SAP Target 9, 10 과 연계 생물다양성, 특히 조류 다양성을 보존하기 위해 활동하고 있음

o 주요 활동으로는

1. 연구 조사: 새만금 도요물떼새 모니터링 프로그램-새만금과 금강하 구, 곰소만 지역 모니터링, 인천 송도와 목포 시내 습지 등의 주요 지역에서의 도요새와 물떼새 계수작업, 국제적인 데이터베이스 구 축을 위해 넓적부리도요와 같은 주요종의 색 밴딩, 깃부착 및 관찰 기록 수집 등

2. 교육과 대중 인식 증대: 국가습지보전사업단 금강지역사업단, 낙동 에코센터에서 교육 캠프 및 세미나 개최, 학생 대상의 환경-교육 캠 프의 교육 프로그램 및 기타 교육 자료 발간

3. 그 지역 전문가나, 정부 기관과 보전 계획 실무진들과 자문 및 공 동 작업

Dalam dokumen 국토해양부 장관 귀하 (Halaman 182-195)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