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조류 가락지부착조사 장비

조류 가락지부착조사에 앞서 사용 장비의 명칭과 사용법 등을 충분히 숙지하는 것이 필요 하다.

가. 안개 그물(mist net) 및 지지대

포획하려고 하는 새의 종류, 조사지 환경 등에 적합하도록 그물의 길이, 높이, 그물코의 크기 및 단수 등 그물의 종류를 선택한다.

그물 코 크기

(㎜) 그물 높이

(m) 그물 길이

(m) 그물 단 수 포획 종

24 2.6 12 4 소형 솔새류, 울새, 상모솔새,

굴뚝새, 숲새 등

24 2.6 6 4

30 2.6 12 4 솔새류, 박새과 조류, 동고비류,

딱새과, 멧새과 조류

30 2.6 6 4

36 2.6 12 4 종다리과, 제비과, 할미새과,

지빠귀과, 되새과, 때까치과 조류 등 표 2. 포획 종에 따른 안개그물의 크기, 높이, 길이 및 단수

안개그물의 설치를 위해서는 양 끝에 지지대를 세워 설치한다. 지지대는 끈으로 잘 고정 하여 바람에 넘어가지 않도록 한다.

그림 41. 안개그물(좌)과 지지대(우)

그림 39. 새의 배 아랫 부분에 지방이 축적 모습(좌)과 단계별 지방 축적량(우) (출처: Measuring Birds, Deutsche Ornithologen-Gesellschaft 참고)

가락지 부착 후 수집된 측정 자료는 조류가락지부착조사 기록지에 적고 이후 사용할 수 있도록 전자기록지 파일(엑셀 등)에도 같은 내용을 기록하여 저장한다. 기록지에는 날짜, 날씨, 조사지역, 그물 개폐 시간, 그물의 위치, 가락지부착조사자의 이름 등도 모두 기록 해둔다.

마. 조류 가락지 부착 후 방사

조류 가락지를 부착하고 측정과 정보를 수집한 이후에는 새의 상태를 파악한 후 이상이 없으면 즉시 방사한다. 방사 시에는 새가 날아가는 방향에 장애물이 없는 것을 확인한 후 손을 펴서 새가 스스로 날아 갈 수 있도록 한다. 방사할 때는 고양이, 족제비 등의 포식 자가 없는 안전한 곳에서 해야 한다.

그림 40. 가락지 부착조사 기록표(예시)

6. 조류 가락지부착조사 장비

조류 가락지부착조사에 앞서 사용 장비의 명칭과 사용법 등을 충분히 숙지하는 것이 필요 하다.

가. 안개 그물(mist net) 및 지지대

포획하려고 하는 새의 종류, 조사지 환경 등에 적합하도록 그물의 길이, 높이, 그물코의 크기 및 단수 등 그물의 종류를 선택한다.

그물 코 크기

(㎜) 그물 높이

(m) 그물 길이

(m) 그물 단 수 포획 종

24 2.6 12 4 소형 솔새류, 울새, 상모솔새,

굴뚝새, 숲새 등

24 2.6 6 4

30 2.6 12 4 솔새류, 박새과 조류, 동고비류,

딱새과, 멧새과 조류

30 2.6 6 4

36 2.6 12 4 종다리과, 제비과, 할미새과,

지빠귀과, 되새과, 때까치과 조류 등 표 2. 포획 종에 따른 안개그물의 크기, 높이, 길이 및 단수

안개그물의 설치를 위해서는 양 끝에 지지대를 세워 설치한다. 지지대는 끈으로 잘 고정 하여 바람에 넘어가지 않도록 한다.

그림 41. 안개그물(좌)과 지지대(우)

나. 새주머니(Bird bag)

새를 담아서 이동시키거나 잠시 보관해 두는 주머니를 말한다. 새의 크기에 따라 선택하며 주로 면 재질의 직사각형 형태의 주머니이다. 주머니 입구에는 새를 넣거나 꺼낸 후 조여 새가 나오지 않게 하는 끈을 단다. 버드백이 너무 두꺼운 경우 새가 숨쉬기 어렵고 지나 치게 온도가 올라갈 수 있어 적당한 두께의 천을 사용해야 한다.

그림 42. 버드백(좌)과 새를 담아 걸어 놓은 모습(우)

다. 조류 가락지(bird ring)

금속 가락지: 금속 겉면에 나라이름, 고유 주소, 가락지크기, 고유번호가 각인되어 있다.

새들의 다리(부척) 굵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가락지가 있다. 작은 새일수록 작고 가벼운 재질(알루미늄)의 가락지를 부착해야 새의 활동에 영향을 줄일 수 있다. 금속 가락지는 부식이 잘 되지 않고 튼튼하여 잘 빠지지 않지만 새를 포획하지 않고 먼 거리에서 가락지 번호까지 확인하기는 어렵다.

그림 43. 조류 금속가락지(좌)와 조류 금속가락지 부착 모습(우)

유색 가락지: 반지 형태의 색깔이 있는 플라스틱 가락지로 새마다 다른 색의 가락지를 부착 하거나 가락지 위에 숫자나 글자 등이 새겨져 있어 개체를 구별할 수 있다. 탄력이 있는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어 벌려 부착한다. 멀리서도 가락지의 번호나 색조합 등을 통해 개체를 구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플라스틱이므로 금속가락지보다는 약하다.

그림 44. 다양한 조류 유색 플라스틱 가락지

플래그: 깃발 모양으로 숫자나 문자가 적혀 있다. 국가마다 약속된 색깔로 구별되어 어디서 이동해 온 새인지 확인이 가능하다. 갯벌 및 물가에 사는 새(도요류, 백로류 등)에게 적합 하다. 플래그에 숫자나 알파벳 등을 적어 부착 위치 등을 구별하기도 한다.

그림 45. 조류 플래그 가락지 형태(좌)와 좀도요에 플래그 가락지를 부착 모습(우)

나. 새주머니(Bird bag)

새를 담아서 이동시키거나 잠시 보관해 두는 주머니를 말한다. 새의 크기에 따라 선택하며 주로 면 재질의 직사각형 형태의 주머니이다. 주머니 입구에는 새를 넣거나 꺼낸 후 조여 새가 나오지 않게 하는 끈을 단다. 버드백이 너무 두꺼운 경우 새가 숨쉬기 어렵고 지나 치게 온도가 올라갈 수 있어 적당한 두께의 천을 사용해야 한다.

그림 42. 버드백(좌)과 새를 담아 걸어 놓은 모습(우)

다. 조류 가락지(bird ring)

금속 가락지: 금속 겉면에 나라이름, 고유 주소, 가락지크기, 고유번호가 각인되어 있다.

새들의 다리(부척) 굵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가락지가 있다. 작은 새일수록 작고 가벼운 재질(알루미늄)의 가락지를 부착해야 새의 활동에 영향을 줄일 수 있다. 금속 가락지는 부식이 잘 되지 않고 튼튼하여 잘 빠지지 않지만 새를 포획하지 않고 먼 거리에서 가락지 번호까지 확인하기는 어렵다.

그림 43. 조류 금속가락지(좌)와 조류 금속가락지 부착 모습(우)

유색 가락지: 반지 형태의 색깔이 있는 플라스틱 가락지로 새마다 다른 색의 가락지를 부착 하거나 가락지 위에 숫자나 글자 등이 새겨져 있어 개체를 구별할 수 있다. 탄력이 있는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어 벌려 부착한다. 멀리서도 가락지의 번호나 색조합 등을 통해 개체를 구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플라스틱이므로 금속가락지보다는 약하다.

그림 44. 다양한 조류 유색 플라스틱 가락지

플래그: 깃발 모양으로 숫자나 문자가 적혀 있다. 국가마다 약속된 색깔로 구별되어 어디서 이동해 온 새인지 확인이 가능하다. 갯벌 및 물가에 사는 새(도요류, 백로류 등)에게 적합 하다. 플래그에 숫자나 알파벳 등을 적어 부착 위치 등을 구별하기도 한다.

그림 45. 조류 플래그 가락지 형태(좌)와 좀도요에 플래그 가락지를 부착 모습(우)

조류 금속 가락지에는 다양한 숫자와 문자가 적혀 있다. 먼저 숫자 중 앞에 있는 첫 3개의 숫자는 가락지의 크기를 의미한다.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가락지는 크기별로 010 에서 150까지 15종류가 있으며 10단위로 커진다. 제일 작은 가락지인 010, 020, 030의 경우에는 작은 산새류에 부착하며 알루미늄 재질로 무게도 가벼워 새들에게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040, 050, 060, 070, 080의 금속가락지는 부식에 강한 니켈 합금(인콜로이)으로 만들어져 있다. 보다 큰 090 이상의 가락지는 단단한 스테인리스 재질이다.

금속 가락지에는 그 밖에 고유 주소(사서함 번호 K.P.O. BOX 1184)와 국가명, 그리고 가락지 일련 번호가 적혀 있다. 가락지 고유 번호는 주민번호와 같은 것으로 가락지마다 중복되지 않는 번호이다. 번호 중복 방지와 국가 간 교류를 위해 국립생물자원관에서 일괄 지급하고 관리하고 있다.

읽을거리 5. 조류 금속가락지 재질과 글자의 의미

플래그는 갯벌에서 서식하는 도요류나 물떼새류 같은 섭금류에 많이 부착한다. 다리가 긴 섭금류의 경우 갯벌에 들어갈 경우 유색 플라스틱 가락지나 금속가락지는 물속에 잠겨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플래그는 국가별로 정해진 색의 조합이 있어 플래그가 부착된 새를 야외에서 재관찰 할 경우 어느 나라에서 부착했는지 알 수 있다. 우리나라는 동아시아- 대양주 철새이동경로 파트너쉽(East Asian-Australasian Flyway Partnership)의 협약에 따라 오른쪽 다리에 상부에 흰색, 하부에 주황색의 플래그를 달아 표시한다.

출처: EAAFP

읽을거리 6. 국가 별 고유색이 있는 플래그

조류 금속 가락지에는 다양한 숫자와 문자가 적혀 있다. 먼저 숫자 중 앞에 있는 첫 3개의 숫자는 가락지의 크기를 의미한다.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가락지는 크기별로 010 에서 150까지 15종류가 있으며 10단위로 커진다. 제일 작은 가락지인 010, 020, 030의 경우에는 작은 산새류에 부착하며 알루미늄 재질로 무게도 가벼워 새들에게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040, 050, 060, 070, 080의 금속가락지는 부식에 강한 니켈 합금(인콜로이)으로 만들어져 있다. 보다 큰 090 이상의 가락지는 단단한 스테인리스 재질이다.

금속 가락지에는 그 밖에 고유 주소(사서함 번호 K.P.O. BOX 1184)와 국가명, 그리고 가락지 일련 번호가 적혀 있다. 가락지 고유 번호는 주민번호와 같은 것으로 가락지마다 중복되지 않는 번호이다. 번호 중복 방지와 국가 간 교류를 위해 국립생물자원관에서 일괄 지급하고 관리하고 있다.

읽을거리 5. 조류 금속가락지 재질과 글자의 의미

플래그는 갯벌에서 서식하는 도요류나 물떼새류 같은 섭금류에 많이 부착한다. 다리가 긴 섭금류의 경우 갯벌에 들어갈 경우 유색 플라스틱 가락지나 금속가락지는 물속에 잠겨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플래그는 국가별로 정해진 색의 조합이 있어 플래그가 부착된 새를 야외에서 재관찰 할 경우 어느 나라에서 부착했는지 알 수 있다. 우리나라는 동아시아- 대양주 철새이동경로 파트너쉽(East Asian-Australasian Flyway Partnership)의 협약에 따라 오른쪽 다리에 상부에 흰색, 하부에 주황색의 플래그를 달아 표시한다.

출처: EAAFP

읽을거리 6. 국가 별 고유색이 있는 플래그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