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우리항만이 동북아거점항만으로 성장하는 데 있어서, 세계 물류 환경변화와 동북아 물류체계의 변동에 따라 당면하게 될 문제점을 분석하여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상기 종속변수, 매개변수, 독립변수로 구성된 설문문항을 작성하여 물류정책을 직접 관장하는 정부부처(해양수산부와 건설교통부 및 관련정부기관), 물류전문가(학계, 연구기관), 물류담당자(해운․항만관련기업) 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를 실시하기 전에 예비용 설문지 30부를 작성하여 사전조사를 시 행하였으며 설문지의 구성 내용과 용어의 적절성 등을 검토한 결과, 설문내 용의 타당성이 입증되었으며, 이를 근거로 2004년 3월 10일부터 같은 해 4 월 20일까지 약 40일 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각 기관에 560 부를 우편으로 배포하여 440부를 회수하였고, 이 중 불성실 응답설문지 18 매를 제외한 422부를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조사에서 사용된 설문지는 앞으로 구축할 연구모형에 적용하기 위하여 동북아 항만환경변화, 거점항만으로의 발전전략, 항만배후부지 전략요인과 관련된 조작적 정의를 바탕으로 설문문항을 작성하였으며 각 설문 문항은 7 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시행한 설문지의 문항과 변수들 간의 관 계는 <표 4-1>과 같다.
표에서 보는바와 같이 항만환경 측정지표의 중요도는 10문항으로 구성하 여 등간척도로 측정하였으며, 항만배후부지전략 측정지표는 20문항으로, 항 만경쟁력 제고효과 측정지표는 5문항으로 구성하여 등간척도로 측정하였다.
인구 통계적 사항은 응답기관, 근무부서 등 6문항으로 구성하여 명목 및 비 율척도로 측정하였다.
변 수 명 설 문 문 항
비 고
부 문 항
항만환경 측정지표의 중요도 Ⅰ 1~10 등간척도
항만 배후부지전략 측정지표 Ⅱ 1~20 등간척도
항만경쟁력 제고효과 측정지표 Ⅲ 1~5 등간척도
인구 통계적 사항
응답기관, 설문응답자수,
근무부서, 직급, 성별, 연령, 근속년수,
Ⅳ 1~6 명목척도와
비율척도
<표 4-1> 측정변수와 설문문항
2. 2.
2. 2. 수집 수집 수집 수집 자료의 자료의 자료의 자료의 특성 특성 특성 특성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를 그룹별로 정리하면 <표4-2>와 같다.
분석대상 기관의 분포는 정부기관(건설교통부, 해양수산부 등)이 58.8%로 가장 많았고, 전문가 그룹(학계, 연구기관 등)이 16.4%, 한국컨테이너공단 등 항만터미널이 10.4%, 물류관련회사 3.8%, 기타 10.7%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응답그룹
구분 그 룹 명 배포수 회수 유효
설문지수
유효설문지 그룹별 비율(%) 1그룹 물류관련 정부기관 300 248 248 58.8 2그룹 대학,연구기관(KMI,KOTI) 100 80 69 16.4 3그룹 항만터미널(컨공단 포함) 50 44 44 10.4 4그룹 선사,복합운송,대리점(물류회사) 50 16 16 3.8
5그룹 기타 60 52 45 10.7
합 계 560 440 422 100.0
<표 4-2> 설문지 회수와 분석대상기관 분포
설문응답자의 특성을 정리하면 <표4-3>과 같은데 근속년수별로 구분하면 10년 미만 33.7%, 10년~20년 미만 34.2%, 20년 이상 32% 순으로 거의 비슷한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성별로는 남성이 전체의 88.4%로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여성은 11.6%로서 비율이 현저하게 낮았다.
근속년수 빈도 비율(%) 성별구분 빈도 비율(%) 10년미만 138 33.7
남성 373 88.4 10년이상 20년미만 140 34.2
20년 이상 131 32.0 여성 49 11.6
합 계 409 100.0 합계 422 100.0
<표 4-3> 설문응답자의 특성
* 근속년수 무응답수 = 13명.
근속년수와 각 그룹간의 특성을 비교한 결과 <표4-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부기관에 종사하는 응답자의 근속년수가 20년 이상으로서 경험측면에서 상당한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고, 연구기관과 선사/복합운송사/대리점의 응답자는 근속기간 10년 미만이 대체적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서 이론적인 면에서 자료제공이 가능할 것이라는 판단이 된다. 반면에 항만터미 널 종사자의 근속년수는 10~20년이 가장 많아 이론과 경험이 풍부한 응답 일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한편, <표4-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의 수준이 0.0000 으로서 근속년수와 그룹간의 독립성이 유지되고 있어서 통계 분석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응답그룹 구분
근속년수구분 10년미만 10년이상 합 계
20년미만 20년이상
물류관련 정부기관 61 75 110 246
대학/연구기관 45 15 8 68
항만터미널(컨공단) 9 31 4 44
선사/복합운송사/대리점 12 4 16
기 타 11 15 9 35
합 계 138 140 131 409
<표 4-4> 근속년수 및 그룹간의 교차분석표
통계값 구분 값 자유도 점근 유의확률 (양쪽검정) Pearson카이제곱 93.309 8 .000
우도비 93.442 8 .000
선형 대 선형결합 16.689 1 .000
유효 케이스 수 409
<표 4-5> 근속년수와 그룹간의 교차분석 카이제곱 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