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 절에서 수행하였던 시기별 주성분을 구성하는 기술적 특정의 비중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31
표 3-20 시기별 주성분을 구성하는 기술적 특정의 비중 요약
기 간 2005
~2006 2006
~2007
2007
~2008 2008
~2009 2009
~2010 2010
~2011
2011
~2012
2012
~2013 주성분 개수 3 3 3 4 4 4 3 4 첫번째
주성분 구성 특성들 (상위 비중 3개)
Weight Volume Battery
Weight Volume Camera
Weight Camera Display
Weight Display Camera
Weight Volume Camera
ROM Weight Display
ROM Memory
Battery
Volume Resolution
CPU
첫번째 주성분 구성 특성 개수
4 5 5 7 9 8 8 9
첫번째 주성분 구성 특성의 분산
0.120 0.106 0.077 0.035 0.025 0.005 0.003 0.008
주성분 분석 결과를 통해서 대한민국 모바일 산업에 스마트폰이 도입된 2009년 이후로 소비자들이 고려하는 모바일 제품의 주성분 숫자가 3에서 4 로 증가한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첫번째 주성분에 포함되는 기술적 특성 중 그 비중이 큰 순서대로 3가지 기술적 특성을 관찰해 보았을때, 2005년부 터 2007년까지는 모바일 제품의 무게와 부피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이는 해 당 시기에는 소비자들이 모바일 제품의 휴대성을 중요한 서비스적 특성으로 고려했다고 해석할 수 있으며, 2007년부터 2009년까지는 무게뿐만 아니라 카 메라 성능과 화면 크기 같은 경우도 중요한 기술적 특성으로 고려한다. 이는 해당 시기에 DMB 서비스와 같은 영상 서비스의 활발한 제공과 같은 환경 변
32
화가 영향을 미친것으로 해석된다. 그리고 2010년부터는 저장용량, CPU, Battery, Memory_RAM과 같은 기술적 특성이 첫번째 주성분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기술적 특성으로 등장하는데 이는 2009년의 스마트폰의 도입 이후 모바일 제품의 기술적 패러다임이 피처폰에서 스마트폰으로 전환되는 현상이 관측되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첫번째 주성분을 구성하는 기술적 특성의 숫자가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는데, 이는 시간이 흐르면 흐를수록 모바일 제품을 구성하는 기 술적 특성들이 점점 복잡해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는 첫번째 주성분을 구성하는 기술적 특성들의 비중에 절대값을 취해서 분산값을 구해보았다. 이 분산값이 크면 클수록 첫번째 주성분은 소수 의 기술적 특성이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표 3-20]의 [첫 번째 주성분 구성 특성의 분산]을 관찰하면 시간이 지날수록 분산값은 감소하 는 것을 관찰할 수 있는데, 이는 시간이 흐를수록 모바일 제품의 가격이 특정 한 소수 기술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기술들이 고르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변화해간다고 해석할 수 있다.
표 3-21 기간별 종속 변수 및 설명 변수들에 대한 주성분들의 총 설명력
기 간 2005
~2006 2006
~2007 2007
~2008 2008
~2009 2009
~2010 2010
~2011 2011
~2012 2012
~2013 시장 가격에 대한
주성분들의 설명력 0.572 0.343 0.342 0.358 0.244 0.561 0.303 0.378 기술적 특성에 대한
주성분들의 설명력 0.960 0.921 0.925 0.895 0.916 0.945 0.913 0.923
33
[표 3-21]은 추출한 주성분들이 제품의 가격과 제품의 기술적 특성들을 얼 마나 잘 설명하는지를 설명하는 표이다. 추출한 주성분들은 제품의 기술적 특 성들은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잘 설명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으나, 제품의 가 격은 그보다는 낮은 설명력을 가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특히 흥미로운 부 분은 스마트폰이 대한민국 모바일 산업에 도입된 2009~2010년도에 주성분 이 제품 가격을 설명하는 설명력이 가장 낮은 값을 가지는 것이다. 이는 도입 된 새로운 기술이 아직 충분히 확산되지 않아 새롭게 등장한 기술적 요소가 제품 가격에 잘 반영되지 않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하지만 그 직후 시기인 2010~2011년 시기에는 주성분이 제품 가격에 대해 매우 높은 설명력을 가 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는데, 이 시기 이후부터 소비자들이 새로운 기술에 대 한 이해를 완료하고 제품 가격에 적절히 반영하였다고 해석 할 수 있다. 그리 고 그 이후에 2011년~2012년 시기에는 또 주성분이 제품 가격에 대해 가지 는 설명력이 매우 감소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이 부분에 대한 해석은 4장 에서 진행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