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V. 연구결과
2. 주요 변인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구분 빈도 (단위: 명) 백분율 (%)
성별 남 246 43.5
여 319 56.5
연령
20대 이하 238 42.1
30대 166 29.4
40대 이상 161 28.5
합계 565 100
표 4.
인구통계학적 정보
잠재변수 측정변수 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 개인기준
완벽주의
PS 1 12.15 3.056 .190 -.430 PS 2 9.81 2.102 .115 -.185
평가염려 완벽주의
CM 1 9.53 3.153 .611 -.223 CM 2 16.58 3.829 -.222 -.408 DA 11.27 3.171 .246 -.431 추상적
분석적 반복사고
AERT 1 6.92 1.994 .443 -.183 AERT 2 6.70 2.166 .370 -.403 구체적
경험적 반복사고
CERT 1 7.68 1.642 .071 -.198 CERT 2 7.41 1.650 .119 -.265
우울
SDS 1 6.17 2.084 .364 -.414 SDS 2 7.03 2.066 .119 -.528 SDS 3 6.00 2.000 .562 -.166 SDS 4 6.52 1.913 .274 -.525 SDS 5 6.44 1.978 .183 -.613 표 5.
주요 변인 기술통계치
하였다. 또한 우울 척도 SDS의 2번, 6번, 8번 문항의 경우 문항 제거 시 Cronbach’s
α
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나 상기 문항들을 삭제하였고, SDS는 총 15문항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15문항의 Cronbach’sα
는 .907로, 전체 20문항 .897에 비해 소폭 상승하였다.측정모형 검증에 사용될 문항꾸러미를 구성하기 위하여 분석 대상으로 확정된 문항들에 대해 최대우도법 (maximum likelihood methods)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요인 부하량 (factor loading)의 크기 순 서에 따라 각 문항꾸러미에 차례로 배정하였다. 측정변수인 문항꾸러미 들의 정규성 확인을 위해 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를 계산한 결과를
개인기준 완벽주의
평가염려 완벽주의
추상적 분석적 반복사고
구체적 경험적 반복사고
우울
평가염려
완벽주의 .501**
추상적 분석적 반복사고
.299** .631**
구체적 경험적 반복사고
.287** -.052 .016
우울 .015 .495** .651** -.270**
Cronbach’
α
.798 .874 .808 .735 .907 Note. **p<.01표 5에 제시하였다. 표 5에 제시된 바와 같이, 왜도 범위 -.222~.611로 절대값 2 이하, 첨도 범위 -.613~-.166으로 절대값 7 이하로 나타나 구조 방정식에서의 정상분포조건을 충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Kline, 2011).
표 6.
잠재변수 간 상관 및 내적합치도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잠재변인인 개인기준 완벽주의, 평가염려 완벽주의, 추상적-분석적 반복사고, 구체적-경험적 반복사고, 우울 간 상 관계수 및 내적합치도는 표 6과 같다. 개인기준 완벽주의는 평가염려 완 벽주의 (r=.501, p<.01), 추상적-분석적 반복사고 (r=.299, p<.01) 및 구체 적-경험적 반복사고 (r=.287, p<.01)와 정적 상관을 보였고, 우울과의 간 계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r=.015, ns). 평가염려 완벽주의는 추상적-분석적 반복사고 (r=.631, p<.01) 및 우울 (r=.495, p<.01)과 정적 상관을 보였고, 구체적-경험적 반복사고와의 상관은 유의하지 않았다 (r=-.052, ns). 추상적-분석적 반복사고는 우울과 정적 상관 (r=.651, p<.01), 구체적-경험적 반복사고는 우울과 부적 상관 (r=-.270, p<.01)을 보였고, 반복사고 처리방식 간의 상관은 유의하지 않았다 (r=.016, ns).
모형 N
df p RMSEA(90% CI) TLI CFI SRMR 측정모형 565 189.855 39 .000 .083
(.071-.095) .940 .957 .059 Note. CI=Confidence Interval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이 된 잠재 변수의 내적 합치도는 구체적-경험적 반복사고 .735를 제외하면 개인기준 완벽주의 .798, 평가염려 완벽주의 .874, 추상적-분석적 반복사고 .808, 우울 .907 모두 >.75 이상의 우수한 수준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Nunnally, 19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