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인을 제시하였고 이에 따라 7개 시범지역이 선정되어 시범 운영이 추진 중임
▪
Pomerania Bight Project·발틱해에서 추진되는 첫 시범 프로젝트. Pomerania는 폴란드, 독일, 덴마크, 스웨덴 사이의 지역으로 해상풍력단지 개발, 어업 활동, 해양보호구역 등의 활동이 많은 지역
·이용수요와 관련된 갈등해결을 목적으로 하였고 현재까지 Bottom-up방식의 활발한 이해관계자의 참여와 투명하고 소통 적인 문제해결 사례로 추진되는 것으로 평가됨
<그림 2-10> Pomerania Bight Project 현황 분석 사례
▪
Middle Bank Project· 폴란드와 스웨덴의 배타적경제수역 중간에 위치한 지역(Middle Bank)
·환경보전과 개발 이용 수요간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 로 추진
·해양보호구역내 해양풍력에너지 단지 개발로 인한 갈등이 심화 되자 적절한 미래이용규모의 예측을 필요
·동 프로젝트는 폴란드의 한 연구기관에서 주관하였으나, 공간에 대한 강력한 정보 습득, 이해관계자 참여 등과 관련하여 두 국 가간 긴밀한 협력체제가 구축되었고 두 국가의 정부기관, 대학, 연구기관, NGO, 관련 국제기구(Baltic21, VASA2010, HELCOM, Baltic Sea Regional Advisory Council BS RAC), 민간 등 모든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것이 특징
·공청회 개최, 공개적인 정보분석, 해결방안 모색 등의 절차를 거쳐
‵10년 9월 1차 초안이 작성되었고 ‵11년 상반기 최종 공
청회를 거쳐 동년 8월 최종안으로 확정될 예정임▪
Hiiumaa and Saaremaa Project·Hiiumaa and Saaremaa Project는 환경적으로 매우 민감하고 중요한 지역에 대한 개발압력의 증가로 인한 갈등해결을 목적 으로 함
·동 프로젝트는 MSP에 대한 이해가 전혀 없었던 에스토니아 국 가 자체에 관련 인식과 이해를 높이고 기술을 전수해 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음
·동 프로젝트의 진행과정에서 가장 문제시 되었던 것은 에스토니 아 국가의 미약한 공간 및 환경정보 시스템으로 과학적 근거와 정보를 제공받기 어려울 것이란 점이었으나, EC의 Natura2000
Areas 프로그램의 결과로 이 프로젝트를 통해 습지환경에 대한 공간정보, 퇴적물 모니터링, 공간모델링 등의 다양한 성과를 제 공받아 해결될 것으로 예상
○ 북동대서양 연안지역의 R-MSP (Regional MSP)
▪
북동 대서양 연안지역의 R-MSP 는 OSPAR4)가 추진 주체가 되어 2002년 제5회 북해 회의의 베르겐 선언에서 OSPAR회원 국들이 MSP에 대한 몇 가지 합의를 도출하면서 시작됨* 베르겐 선언의 합의 주요내용
첫째, 북해 국가들의 MSP에 대한 국가적 경험과 정보를 교환함 으로써 지역 해양공간관리를 향상시킨다.
둘째, 북해의 MSP를 통해 해양이용활동을 계획하고 관리하고, 이 를 지원하기 위한 적극적인 국제협력을 준비한다.
셋째, 현재의 제도적 시스템을 고려하여 해양환경에서 인간의 활 동에 대한 환경평가개선을 이루기로 한다.
▪
OSPAR회원국들은 MSP와 관련하여 ′04-′07년 사이 5번의 워 크숍을 개최. 이를 통해 OSPAR협약의 범위 내에서 MSP와 관 련하여 계획, 규제 시스템에 대한 검토를 하였고 북해지역에서의 공간규제 메커니즘에 대한 분석을 통해 지역적 프레임을 만들기 위한 기반을 다짐▪
′09년에는 OSPAR지역에서 해양공간과 관련한 국가별 공간계획 및 규제시스템에 대한 검토보고서(Overview of Spatial Planning and Control) 작성을 통해 그동안 개별 국가들이 자국4) OSPAR 협약에는 15개의 국가(벨기에, 덴마크, 핀란드, 프랑스, 독일, 아이슬란드, 아일랜 드, 네덜란드, 노르웨이, 포르투갈, 스페인, 스웨덴, 영국, 룩셈부르크, 스위스)가 가입되어 있으며, 공간적으로는 광범위한 북동대서양 연안으로 그 범위로 하고 있음. OSPAR 협약 은 5개 부속서로 구성되어 있는데 첫째, 육상기인 오염의 제거 및 보호, 둘째, 쓰레기 매 립 및 소각으로 인한 오염의 제거 및 보호 셋째, 해양기인 오염의 제거 및 보호 넷째, 해 양환경의 질 평가 다섯째, 생태계 보호 여섯째, 해양공간의 생물다양성 보전을 주제로 함
법에 의해 북동대서양연안에서 공간계획 및 규제시스템을 적용해 왔고 이의 내용이 해양공간계획 및 규제시스템의 기반이 될 수 있다고 판단, 하지만 해양에서의 공간이용 수요의 지속적 증대와 기후변화, 해수면상승 등과 관련된 복잡한 관리의 필요성을 고려 하여 지속가능한 개발 원칙과 생태계 접근방식에 기반한 해양공 간 통합관리시스템이 필요함을 제시
* RMSP를 위한 지역프로그램의 역할(Overview of Spatial Planning and Control, 2009)
첫째, 관련 다른 국제기구와 NGO와의 협력을 통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가정하고 명확히 할 것
둘째, 사회경제적 정보를 위한 협력에 생태계기반 접근방식 활용 셋째, 우수한 사례의 경험과 시스템에 대한 공유와 전파를 위한
노력
<그림 2-11> OSPAR의 Regional M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