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참고문헌

Dalam dokumen Korea Ocea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Halaman 197-200)

국립수산과학원, 2005. 연근해 주요 어업자원의 생태와 어장. 국립수산과학원 보고서, 383p.

국립수산과학원, 2007. 해양생태계기본조사. 국립수산과학원보고서, 861p.

국립수산과학원, 2009. 해양생태계기본조사. 국립수산과학원보고서, 692p.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2009. 한․중 황해환경공동조사 결과분석보고서.

120p.

국토해양부, 2010. 기후변화에 따른 남해(동중국해 북부)의 해양환경 및 생태계 변동 연구.

권석재, 2010. 황해광역해양생태계(YSLME)보전을 위한 국제협력의 필요성. 독도 연구저널, 10, 68-72.

권철휘, 강훈, 조광우, 맹준호, 장규상, 이승용, 서정빈, 2009. 생태-유체역학모델을 이용한 아산만 해양수질의 장기 예측. 해양환경안전학회지, 15(2), 90-98.

김동명, 2003. 생태계모델을 이용한 가막만의 영양염 거동 특성 평가. 한국환경 과학회지, 12(7), 745-751.

김동선, 김경희, 심정희, 유신재, 2007. 동중국해 북부해역에서 여름동안 영양염, 엽록소, 부유물질의 분포 특성 및 연간 변화. Ocean and Polar Research, 29(3), 193-204.

김동선, 홍철훈, 2003. 해양생태계모델에 의한 하계 진동만의 영양염 변동. 바다:한 국해양학회지, 8(2), 164-176.

김상우, 재등성일, 김동선, 2002. 위성원격탐사에 의한 동한난류 주변 해역의 색 소농도 공간적 분포: 1980년 5월 관측을 중심으로. 한국수산과학회지, 35(3), 265-272.

김수암, 2000. GLOBEC 프로그램의 목적, 운영체계 및 최근의 동향에 대하여. 바다:

한국해양학회지, 5(1), 10-15.

김연중, 김명규, 윤종성, 2010. 생태계 모델을 이용한 진해․마산만에서의 빈산소수괴 의 형성 및 발달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공학회지, 24(6), 41-50.

김용술, 김용문, 주우일, 1970. 여름철 한국근해 저서어류의 분포에 관한 연구, 수산 자원 조사보고, 8, 139-164.

김종규, 2007. 생태계 모델에 의한 총허용오염부하량 산정을 통한 연안해역의 수질 관리.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10(1), 29-43.

김진영, 1982. 춘계 한국서해안에 분포하는 치어에 관한 연구. 수진연구보고, 30, 65-71.

김진영, 1983. 한국남해 및 서해 연안해역에서의 멸치 난치어의 분포. 한국수산 학회지, 16, 401-409.

남정호, 강대석, 2005. 황해 해양환경보전을 위한 협력관리체제 구축방안. 해양 정책연구, 20(2), 169-212.

노재훈, 1995. 황해와 동중국해에서의 식물플랑크톤 분포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해양학과 이학석사 학위논문.

노재훈, 유신재, 이미진, 손승규, 김웅서, 2004. Flow cytometer를 이용한 열대 동 태평양의 독립영양 극미소플랑크톤 연구. Ocean and Polar Research, 26(2), 273-286.

박성은, 홍석진, 이원찬, 정래홍, 조윤식, 김형철, 김동명, 2010. 생태계 모델을 이용한 울산만의 하계 수질관리. 해양환경안전학회지, 16(1), 1-9.

박영철, 안두해, 차병렬, 2000a. 한국 연근해 황아귀의 분포 특성. 한국어업기술

학회 2000년도 추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290-291.

박영철, 차병열, 최석관, 안두해. 2000b. 한국 연근해 황아귀의 자원 해석 및 관리.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추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330-331.

서울대학교 SG 연구사업단, 2003. 생지화확모델링을 통한 통합 해양자원 관리 기반 구축 연구.

송규민, 이상룡, 이석, 안유환, 2007. 생태계모델을 이용한 황해투기해역에서의 춘계 식물플랑크톤 대증식 연구. Ocean and Polar Research, 29(3), 217-231.

송용식, 최희선, 유상철, 홍현표, 서지호, 이효진, 김태인, 우승범, 최중기, 2011. 영양염 증가에 따른 부유생태계 반응 모의: FVCOM을 이용한 중형폐쇄생태계(Mesocosm) 자료 재현.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23(5), 358-368.

황해 생태환경에 대한 결합모델링 및 물리-생지화학 과정 기획연구

신범식, 김규한, 2007. 생태계 모델을 이용한 갯벌의 수질정화능력 산정. 한국해양 공학회지, 21(2), 42-49.

심재형, 박수영, 조병철, 이원호, 1995a. 만경․동진강 염하구에서 섬모충류에 의한 박테리아 섭식에 관하여. 바다:한국해양학회지, 30, 426-435.

심재형, 윤성화, 윤상선, 최동한, 조병철, 1995b. 만경․동진강 염하구에서 종속 영양성 및 혼합영양성 미소편모류의 수도와 박테리아 섭식. 바다:한국해양 학회지, 30, 413-425.

양은진, 최중기, 현정호, 2003. 경기만 수역에서 미세생물 군집의 계절적 변동 연구 I.

박테리아와 종속영양 미소편모류. 바다:한국해양학회지, 8, 44-57.

연인자, 이동우, 이재봉, 최공호, 홍병규, 김주일, 김영섭, 2010. 황해 및 동중국해 참조기, Larimichthys polyactis 자원의 장기변동. 한국어업기술학회지, 46, 577-593.

연인자, 황학진, 최영민, 임양재, 홍승현, 고태승, 2004. 황해 여름철 주요 어업 자원의 분포 및 풍도. 한국수산자원학회지, 6, 63–78.

유재명, 1988. 황해 동남해역의 여름철 치자어 분포. 해양연구, 10, 9-15.

이대인, 2004. 진해만 적조에 있어서 수치모델링에 의한 Chl-a의 공간적 집적과 확산 평가.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7(1), 1-12.

이대인, 김종규, 2007. 생태계 모델에 의한 총허용오염부하량 산정을 통한 연안 해역의 수질관리.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10(1), 29-43.

이성일, 2008. 생태계모델링에 의한 바다목장의 자원평가 연구. 부경대학교 대학원 수산 물리학과 이학박사 학위 논문.

이영철, 1993. 황해의 해양자원 개발연구 제 2차년도 연차 보고서. 인하대학교 보고서, 827p.

이원재, 신경순, 이재도, 2007. 마산만에서 부유원생동물의 연구. Ocean and Polar Research, 29, 401-410.

이원찬, 김형철, 최우정, 박청길, 이필용, 구준호, 2002. 패류양식해역 환경용량 산정 모델 구축-1. 모델검정 및 민감도 분석. 한국수산과학회지, 35(4), 386-394.

이인철, 공화훈, 윤석진, 2008a. 생태계모델에 의한 진해만의 빈산소수괴 저감예측. 한국 해양공학회지, 22(5), 75-82.

Dalam dokumen Korea Ocea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Halaman 197-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