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참고사항 가. 관계법령

Dalam dokumen 시 보 선 (Halaman 76-83)

나. 예산조치:

다. 합 의:

라. 규제심사:

인천광역시조례 제 호

인천광역시 범죄예방 도시디자인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인천광역시 범죄예방 도시디자인 조례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명 “인천광역시 범죄예방 도시디자인 조례”를 “인천광역시 범죄예방 도시디자인 및 방범시설 등 설치 지원 조례”로 한다.

제2조에 제3호부터 제5호까지를 각각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3. “침입범죄”란 사람의 주거에 대한 침입을 포함하는 범죄를 말한다.

4. “침입범죄 위험성 등 평가”란 침입범죄에 대한 피해 여부 및 정도, 인근 피해사례, 침입의 용이성 및 이에 대한 방호시설 구비여부 등 에 대한 평가를 말한다.

5. “방범시설”이란 침입범죄 등을 예방하기 위한 방범문, 방범창, 방범용 망창, 방법용 창살, 창호용 잠금장치 및 경보장치 등의 제품을 말한다.

제6조를 다음과 같이 한다.

제6조(범죄예방 도시디자인 사업의 시행) ① 시장은 범죄예방 디자인을 추진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

1. 종합계획에 따른 추진사업 2. 범죄예방 디자인 시범사업

3. 범죄위험도 저감을 위한 범죄예방 디자인 인증시스템 구축사업 4. 우범지역 및 취약지역 범죄예방 환경개선 사업

5. 범죄예방 도시디자인의 연구 및 개발사업 6. 방범시설 등 침입범죄를 예방하기 위한 사업

7. 신도시사업, 도시재생사업, 각종 공공시설 설치 및 환경개선사업과 병행한 안심마을 조성사업

8. 공공기관ㆍ단체 및 법인 등을 대상으로 범죄예방 디자인의 추진을 위한 교육

9. 그 밖에 시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업

② 시장은 제1항제6호의 사업을 원활하게 추진하기 위하여 인천지방 경찰청 등과 방범시설 등 설치지원협의체(이하 “협의체”라 한다)를 구성할 수 있다.

③ 협의체에서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협의한다.

1. 침입범죄 피해 여부

2. 지원대상 가구의 경제적 능력 3. 침입범죄 피해의 위험성

④ 사업 추진 시에는 건축법 등 관련기준에서 정한 규정을 따른다.

제7조를 다음과 같이 한다.

제7조(방범시설 등 설치기준 등) ① 시장은 침입범죄에 대한 피해 여부 및 정도, 인근 피해사례, 침입의 용이성 및 이에 대한 방호시설 구비여부 등에 대한 평가기준을 정할 수 있다.

② 시장은 침입범죄에 취약하다고 인정되는 지역에 대하여 제1항에 따른 평가기준에 따라 침입범죄 위험성 등을 평가할 수 있다.

③ 시장은 제2항에 따른 평가 결과, 방범시설의 설치․보완이 필요 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해당 지역의 주민의 신청을 받아 방범 시설의 설치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지원할 수 있다.

④ 설치를 지원하는 방범시설은 산업표준화법 제12조 및 제25조에 따른다.

부칙

이 조례는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신ㆍ구조문대비표

현 행 개 정 안

인천광역시 범죄예방 도시디자인 조례

인천광역시 범죄예방 도시디자인 및 방범시설 등 설치 지원 조례 제2조(정의) 이 조례에서 사용하

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제2조(정의) --- ---.

1.ㆍ2. (생 략) 1.ㆍ2. (현행과 같음)

<신 설> 3. “침입범죄”란 사람의 주거에 대한 침입을 포함하는 범죄를 말한다.

<신 설> 4. “침입범죄 위험성 등 평가”란 침입 범죄에 대한 피해 여부 및 정도, 인근 피해사례, 침입의 용이성 및 이에 대한 방호시설 구비여부 등 에 대한 평가를 말한다.

<신 설> 5. “방범시설”이란 침입범죄 등을 예방하기 위한 방범문, 방범창, 방범용 망창, 방법용 창살, 창호용 잠금장치, 경보장치 등 의 제품을 말한다.

제6조(범죄예방 도시디자인 기준)

① 시장은 범죄예방 도시디자인 을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구체 화하기 위하여 범죄예방 도시디 자인 기준을 정할 수 있다.

제6조(범죄예방 도시디자인 사업의 시행) ① 시장은 범죄예방 디자 인을 추진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

1. 종합계획에 따른 추진사업 2. 범죄예방 디자인 시범사업 3. 범죄위험도 저감을 위한 범죄

예방 디자인 인증시스템 구축 사업

② 제1항에 따른 기준은 인천광 역시보 및 시 인터넷 홈페이지 에 공고하여야 한다.

<신 설>

<신 설>

4. 우범지역 및 취약지역 범죄 예방 환경개선 사업

5. 범죄예방 도시디자인의 연구 및 개발사업

6. 방범시설 등 침입범죄를 예 방하기 위한 사업

7. 신도시사업, 도시재생사업, 각종 공공시설 설치 및 환경 개선사업과 병행한 안심마을 조성사업

8. 공공기관ㆍ단체 및 법인 등을 대상으로 범죄예방 디자인의 추진을 위한 교육

9. 그 밖에 시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업

② 시장은 제1항제6호의 사업을 원활하게 추진하기 위하여 인천 지방경찰청 등과 방범시설 등 설치지원협의체(이하 “협의체”

라 한다)를 구성할 수 있다.

③ 협의체에서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협의한다.

1. 침입범죄 피해여부

2. 지원대상 가구의 경제적 능력 3. 침입범죄 피해의 위험성

④ 사업 추진 시에는 건축법 등 관련기준에서 정한 규정을 따른다.

제7조(범죄예방 도시디자인 사업 의 시행) 시장은 범죄예방 도시

제7조(방범시설 등 설치 지원) ① 시장은 침입범죄에 대한 피해

디자인 추진을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사업을 시행할 수 있다.

1. 종합계획에 따른 추진사업 2. 범죄예방 도시디자인 시범사업 3. 범죄위험도 저감을 위한 범 죄예방 도시디자인 인증시스 템 구축사업

4. 우범지역 및 취약지역에 대 한 범죄예방 도시디자인 사업 5. 범죄예방 도시디자인의 연구

및 개발사업

6. 그 밖에 시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업

여부 및 정도, 인근 피해사례, 침입의 용이성 및 이에 대한 방 호시설 구비여부 등에 대한 평 가기준을 정할 수 있다.

② 시장은 침입범죄에 취약하다고 인정되는 지역에 대하여 제1항에 따른 평가기준에 따라 침입범죄 위험성 등을 평가할 수 있다.

③ 시장은 제2항에 따른 평가 결과, 방범시설의 설치․보완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해당 지역의 주민의 신청을 받아 방범시설의 설치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지원할 수 있다.

④ 설치를 지원하는 방범시설은 산업표준화법 제12조 및 제25 조에 따른다.

관계법령 검토와 발췌사항

관 계 법 령

국토기본법 시행령

○ 제5조(도종합계획의 수립 등)

도시개발법 시행규칙

○ 제9조(개발계획에 포함될 사항)

산업표준화법

○ 제12조(한국산업표준)

○ 제25조(인증제품 등의 우선구매)

“내용은 별지 작성”

관 련 법 규

정 비 대 상 “해당사항 없음”

특 이 사 항 “해당사항 없음”

관계법령 발췌사항

Dalam dokumen 시 보 선 (Halaman 76-83)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