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참고자료 : 산재보험급여

Dalam dokumen PDF Ⅰ. (Halaman 77-80)

근로복지공단에서 산재근로자에게 지급하는 산재보험급여는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36조(보 험급여의 종류와 산정 기준 등)에 따라 요양급여, 휴업급여, 장해급여, 간병급여, 유족급여, 상 병보상연금, 장의비, 직업재활급여가 있다. 산재보험패널조사는 개인 소득 및 가구 소득 항목 내 휴업급여, 상병보상연금, 장해급여(연금, 일시금), 유족급여(연금, 일시금)를 포함하여 조사 한다. 다만, 실비를 지급하는 요양급여, 간병급여, 장의비, 직업재활급여는 소득에 포함하지 않 는다. 장해급여, 유족급여는 연금과 일시금 형태로 지급될 수 있는데, 본 조사에서는 장해일시 금과 유족일시금을 ‘기타소득’에 포함하여 조사한다.

가) 휴업급여

업무상 사유로 부상을 당하거나 질병에 걸린 근로자에게 요양으로 취업하지 못한 기간에 대 하여 1일당 평균임금의 100분의 70에 해당하는 금액을 지급하는 제도이다.

나) 장해급여

근로자가 업무상의 사유로 부상을 당하거나 질병에 걸려 치유되었으나 정신적 또는 육체적으

로 장해가 남는 경우 장해등급에 해당하는 지급일수에 평균임금을 곱하여 지급하는 제도이다.

5차 산재보험패널조사 이용자 안내서

70

장해등급 장해보상연금 장해보상일시금

제1급 329일분 1,474일분

제2급 291일분 1,309일분

제3급 257일분 1,155일분

제4급 224일분 1,012일분

제5급 193일분 869일분

제6급 164일분 737일분

제7급 138일분 616일분

제8급 495일분

제9급 385일분

제10급 297일분

제11급 220일분

제12급 158일분

제13급 99일분

제14급 55일분

※ 장해 1~3급: 연금으로만 지급되며, 1~4년 분의 1/2에 해당하는 금액을 선급으로 지급 받을 수 있음

※ 장해 4~7급: 일시금과 연금 중에 선택 할 수 있으며, 연금으로 선택할 시 그 연금의 2년 분의 1/2 에 해당하는 금액을 선급 받을 수 있음

※ 장해 8~14급: 일시금으로만 지급

<표 3 - 19> 산재보험제도의 장해등급 및 급여 산정

다) 상병보상연금

요양급여를 받는 근로자가 요양을 시작한 후 2년이 경과되어도 치유가 되지 아니하고 폐질등

급(1~3급)에 해당되는 경우와 장해보상연금을 받고 있던 근로자가 부상 또는 질병이 악화되어

재요양하고 있는 경우에 상병보상연금을 지급한다. (폐질등급의 기준은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

66조제2항 참고)

3

| 변수 가이드

71

라) 유족급여

근로자가 업무상 사유로 사망한 경우 그 당시 부양하고 있던 유족에게 지급하는 급여로, 평 균임금의 52~67% 상당액을 연금형태로 매월 지급한다. 다만, 수급권자가 원하는 경우 50%

일시금을 지급할 수 있는데, 평균임금 1,300일분 상당의 금액을 일시금으로 지급하고 유족보 상 연금은 50% 감액하여 지급한다.

항 목 변 수 명 비 고

휴업급여 H**004003, I**011003

장해연금, 상병보상연금, 유족연금 H**004005, I**011005 기타 소득(장해일시금, 유족일시금 포함) H**004023, I**011023

<표 3 - 20> 산재보험급여 변수

5차 산재보험패널조사 이용자 안내서

72

Dalam dokumen PDF Ⅰ. (Halaman 77-80)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