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기관별 참여인력
구 분 성 명 주 요 임 무 참여율(%) 비 고
A단체
OOO - 계획 수립, 사업 총괄 30%
OOO - 유관단체 협의, 실무 진행 및 사업관리
- 홍보계획 수립, 진행 40%
B단체
… - 기술 및 서비스 개발 등 20%
… … 10%
※ 작성요령 : 본 사업 참여율은 실질적으로 투입 가능한 것을 기재하여야 함
나. 타 사업 참여실적
사 업 명 사업비
(백만원) 사업기간 역 할
(참여율)
사업비 지급기관 00.00.00~00.00.00
Ⅶ 사업비 소요내역
1. 총괄현황 ※ 본 항목별 자료는 참고용(예시)임 (단위 : 원)
구 분 계 인천시 보조금 지자체 보조금
(군구) 자부담금 구성비(%)
계 100 %
1. 인건비 %
사업인력 인건비 %
계약직원 인건비 %
지원인력 인건비 %
2. 사업운영비 %
일반수용비 %
공공요금 및 제세 %
임차료 %
시설장비 유지비 %
차량비 %
재료비 %
복리후생비 %
3. 여비 %
4. 업무추진비 %
5. 직무수행경비 %
6. 연구개발비 %
7. 자산취득비 %
※ 작성요령 (계획서 작성시에는 본란은 삭제후 제출함)
ㅇ 사업비 소요내역은 지방자치단체 예산편성 운영기준 및 기금운용계획 수립기준 등 회계예규를 참고하여 작성 (인건비 등을 제외한 직접 사업비 중심으로 편성, 비목 변경 가능)
ㅇ 본 서식은 실 사업계획에 의거 변경 작성이 가능함
2. 세부내역 (단위 : 원)
구 분 금 액 산 출 기 초 비 고
총 계 ※ 본 항목별 자료는 참고용(예시)임 보 조 금 (소계)
00 개관
홈페이지 구축 ○홈페이지 구축비용 0000원×회×0 자료아카이빙 ○ 00 아카이빙 000원×1식
00출판 원고비 ○ 원고00 000원×30%
인건비
연구보조원 ○연구보조원 인건비 1,400천원×5개월 법정부담금 ○법정부담금 7,000천원×10%
퇴직금 ○퇴직적립금 1,400천원×5개월×0.08%
일반운영비
일반수용비 ○사무용품 구입 00원×2월
수당 ○운영위원 참석수당 70천원×10명×4회 사무관리비 ○ 000원×개,
여비 출장비 ○ 000원×명×회
급량비 식비 ○ 7,000원×명×일
업무추진비 업무추진비 ○ 000원×명×회
자 부 담 (소계)
00기획전
00공사 ○ 전시실 내 목공공사 000천원×0개, 00 제작 ○ 디자인 및 사인물제작 000천원×0개, 00자료
발굴 수집 자료구입비 ○ 00자료구입 000천원×0조×1회
00특별존 설치
사인물 제작 ○ 000천원×0조×1회
○ 000천원×0조×1회 00공사 ○ 000천원×0조×1회
※ 총 사업비(세부내역 포함)는 최종 선정후 컨설팅과정에서 검토‧조정될 예정이며, 보조금 신청시에는 월별 집행계획을 상세하게 별도(추가) 작성해야 함
‘별첨 5’
- 인천 가치재창조 시민 참여사업 추진을 위한 -
◯◯사업 참여 및 운영 협약서
(예시)인천광역시 ◯◯구‧군과 ◯◯기관‧단체‧연구소‧기업은 인천광역시 가치재창조 시민 참여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하는 ◯◯◯사업에 적극적인 참여와 공동의 노력을 하기로 합의하고 다음과 같이 협약서를 체결한다.
1. 협약 당사자간 책임과 역할 기재 (구체적으로 기재) 1. 상호 어떠한 노력을 할 것인지 기재 (구체적으로 기재)
1. 상호 어느 규모로 투자 등을 할 것인지 기재(구체적으로 기재) 1. 기타 성공적인 사업추진을 위한 방안 등 기재(구체적으로 기재)
본 협약서는 2부를 작성, 서명 날인 후 각 1부씩 보관한다.
2018년 2월 일
인천광역시 ◯◯군‧구 ◯◯기관‧단체‧연구소‧기업
군수‧구청장 ◯ ◯ ◯ (날인 또는 서명) 회장‧대표 ◯ ◯ ◯ (날인 또는 서명)
※ 본 서식을 참고로 하여 자체 실정에 맞게 변경 작성 가능
‘별첨 6’
- 인천 가치재창조 시민 참여사업 추진을 위한 -
◯◯◯ 사업 추진 동의서 (예시)
인천광역시 ◯◯구‧군은 ◯◯기관‧단체‧연구소‧기업이 제안한 ◯◯◯
사업에 공감하며, 인천광역시 가치재창조 시민 참여사업에 응모하여 우수사업으로 선정될 경우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하여 적극적인 지원 등의 노력을 할 것을 약속하고 본 ◯◯◯사업 추진 동의서를 작성합니다.
▢ 사업개요 ❍ 사 업 명 : ❍ 사업기간 : ❍ 사업예산 : ❍ 사업수행자 :
2018년 2월 일
인천광역시 ◯◯군‧구
군수‧구청장 ◯ ◯ ◯ (날인 또는 서명)
※ 본 서식을 참고로 하여 자체 실정에 맞게 변경 작성 가능
‘별첨 7’
시민 참여사업 심사항목 및 배점표(안)
구 분 심 사 항 목 및 기 준 심사점수
사업목표 및 계획의 적 절 성
14점
❍ 인천 가치재창조 대한 이해 및 사업의 적절성 10
❍ 사업 추진체계 및 사업목표‧전략의 우수성 4
사업수행 내 용 의 적 합 성
30점
❍ 사업 내용의 구체성 및 실현 가능성 10
❍ 사업의 독창성 및 창의성 10
❍ 원도심 활성화 관련 사업(인천 축항 100년 관련 사업 포함), 4차 산업 등 인천 미래 먹거리 관련 사업, 인천 관광 활성화 관련 사업과의 관련성
10
예산투입의 적 정 성 8점
❍ 자체 예산확보(자부담 비율) 및 예산 편성‧집행
계획의 타당성 4
❍ 해당 기초자치단체의 예산투입 여부 및 기초자치
단체 수행사업과의 연계성 4
사업수행 능 력 의 우 수 성
8점
❍ 제안자의 업무수행 경험 및 관리경험의 우수성 4
❍ 참여인력의 역량, 기관간 역할분담 및 협력체계의 우수성 4
사업효과 및 활용성 40점
❍ 사업의 인천 브랜드화 가능성 10
❍ 사업수행으로 인한 관광객 유입 등 파급효과 15
❍ 수익성 및 일자리창출 등 지역발전 기여도 10
❍ 사업의 지속 가능성 5
‘참고자료 ①’
가치재창조 시민 참여사업 제안공모 절차
시민 참여사업 공모 (인천광역시)
- 인천광역시 시보, 홈페이지 등 게시 - 2018. 1. 15. ∼ 2018. 2. 23.(40일간) - 사업설명회 (2. 2, 10시, 시청 장미홀)
↓
사업 제안서 신청, 접수 (제안자,인천광역시)
- 방문(자치행정과) 또는 우편 접수 - 2018. 2. 21. ∼ 2. 23.(평일 3일간) ※ 모든 자료는전자메일로 추가 송부
↓
1차 실무검토 (서면) (인천광역시) - 사업 제안서 적합성 등 검토 - 2018. 2. 26. 〜 3. 8.(예정)
↓
발표용 PPT 작성, 제출 (제안자) - 1차 실무검토에서 선정된 사업
↓
2차 심사 (전문가) (심사위원회) - 제안서(계획서 + PPT 발표) 심사 - 2018. 3. 13.(예정)
↓
제안서 자료 보완 (심사위원회 ↔ 제안자) - 보완 제안서(계획서 + PPT 자료) 제출
↓
최종심사(전문가+청중평가단) (심사위원회)
- 2차 심사에서 선정된 사업제안서(PPT 발표) 심사 및 우수사업 선정
- 2018. 3. 22.(예정)
↓
제안서 조정 및 사업확정 (심사위원회 ↔ 제안자) - 심사위원 수정 요청사항 수용 - 최종 제안서(계획서) 제출
↓
사업비 지급 및 착수 (인천광역시, 제안자) - 사업비 지급(분기별) 및 사업 착수 - 2018. 5월〜(예정)
↓
추진상황 점검 (인천광역시) - 사업수행 점검 및 평가
↓
사업결과 보고 및 정산 (제안자) - 사업결과 보고서 제출 및 정산 (사업종료후 2개월 이내)
‘참고자료 ②’
「인천 가치재창조」 상세 설명자료
▢ 인천 가치재창조란?
❍ 인천은 유난히 최초‧최고가 많을 뿐만 아니라 고인돌에서부터 근현대사까지 아우르는 역사와, 백령도 등 168개의 섬과 같은 천혜의 환경, 공항‧항만 등 인천만의 새로운 브랜드 가치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자원들이 상당함
❍ 이렇게 인천이 가진 고유한 특성, 잠재적 가치와 자원을 스토리 텔링화, 컨텐츠화, 융합, 리모델링 등의 창의적 방법을 통해 실용적‧현실적인 가치로 만드는 도시혁신전략으로 인천발전을 위하여 함께 나가자는 것이 바로 인천의 가치재창조임
❍ 쉽게 말하자면 인천이 가진 유리한 조건을 바탕으로 인천을 사랑하며, 주인의식을 갖고, 인천인의 힘을 결집하여 숨어 있는 가치를 재발견하는 등 인천 발전을 위하여 함께 잘하자는 것이 인천의 가치재창조라 하겠으며, 본 사업은 민선6기 출범과 함께 인천시정의 역점시책으로 추진하고 있음
※ 민선 6기 역점시책 : 재정건전화의 원년, 현안사업의 가시적 성과, 가치재창조
♧ 인천의 가치 ✓ 자연․지리적 가치
- 168개의 섬, 갯벌 등 관광자원이 풍부한 자연조건 - 공항, 항만(물류기능) 등 세계와 이어지는 관문도시 - 비행거리 2시간 이내 100만 이상 인구도시 49개 위치 ✓ 문화․역사적 가치
- 우리 민족 태동기부터 역사 무대 등장(선사시대 강화 고인돌) - 고려시대 대몽 항쟁 중심지(강화), 대 중국무역 거점지
- 근대 개항의 시발점(제물포)
- 자유민주주의 수호의 첨병(인천상륙작전) ✓ 미래적 가치
- 항공 부품산업 혁신거점, 첨단 자동차산업 클러스터, 글로벌 물류 허브도시 등 주력산업 고도화
- 바이오 사업화 네트워크 구축, 로봇 생태계 기반조성, 녹색 금융지식 인프라 확충 등 미래시장 선점
- 융복합 관광메카 구현(MICE‧의료관광), 뷰티 메카도시 등 입지특화 - 혁신산업단지(주안‧부평‧남동국가산업단지) 및 원도심 역세권
♧ 인천의 최초와 최고
✓ 인천의 최초 : 현대식병원(성누가병원,1890), 서양식학교(영화학교,1902), 서양과 최초 조약체결(1882), 등대(1903), 자장면(1905), 축구(1882), 야구(1899) ✓ 인천의 최고 : 세계공항 서비스평가 12년 연속 1위(인천국제공항), 인천대교(우리나라 최장), 동북아 최고 교육 연구 허브조성 글로벌캠퍼스, 8개 경제자유구역 중 투자유치 1위, 아시아 최초 BMW드라이빙센터
▢ 가치재창조 방법
❍ 스토리텔링
- 장소, 역사, 인물, 관광자원을 原재료에 기초+흥미․인상적 이야기 구성 ❍ 역사․문화자원 콘텐츠화
- 비류전설, 손돌목, 개항기, 산업화시대 이야기
☞ 연극, 뮤지컬(성냥공장아가씨) 제작 / 만화, 게임, 캐릭터(물범) 창출 판매
❍ 가치 연계와 융합
- 자연자원(굴업도 남매바위) + 문화자원(전설) 연계 - 선단여 전설 + 실경뮤지컬(중국 印象西湖 ) 공연 등 ❍ 유휴자원 리모델링
- 폐염전 생태공원화 (소래생태 습지공원)
- 산업유산 활용 복합 문화예술 공간화 (아트플랫폼, 근대문학관) ❍ 인천정보 Renewal : 각종 안내서, 정보 업데이트 등
▢ 분야별 인천의 가치
▢ 인천시에서 추진중인 가치재창조 사업 (122건)
❍ 2017년 인천 가치재창조 사업 (69건)
연번 사 업 명 비고 연번 사 업 명 비고
총 69개 사업 35 여성‧아동 안심드림(Dream) 인천 조성 1 백령‧대청 국가지질공원 인증 추진 36 고령사회 선제적 대응을 위한 전략사업 추진
2 자연 환경을 활용한 생태․탐조 관광 활성화 37 SOS 복지안전벨트
3 람사르습지 강화초지리 매화마름 서식지
환경개선 38 장애인 권리보호․불편제로 복지서비스 제공
4 강도(江都)의 꿈 실현 39 호국‧보훈의 도시, 인천 가치재창조
5 세계유산 등재로 명품 강화 조성 40 취약계층 감싸안는 의료복지
6 백령도 신공항 건설 41 취약계층 건강관리체계 강화
7 매력있는 애인섬 프로젝트(특성화 시범마을
육성) 42 아름다운 감동을 선사하는 릴레이 프로젝트
8 300만 인천시대, 바다 숲 100만ha 조성 43 2017 인천음식문화 박람회 개최 9 섬 예술프로젝트 44 특색음식거리 등 외국인 이용이 편 리 한 외 식 환 경 조 성
10 섬마을 밴드 활성화 45 우수 자연경관 명소화 추진
11 섬 관광자원 등 특화된 국내 관광상품 개발
육성 46 인천 녹색 종주길 조성 및 산림휴양서비스 제공 12 I(섬) FOOD 프로젝트 47 300만시대, 시민이 함께하는 3,000만 그루 나무심기 13 친화경 에너지 자립 섬(마을)조성 48 송도 버드아일랜드 조성사업
14 인천 국립해양박물관 건립 추진 49 인천형 청년 취업성공 프로젝트 추진 15 인천항 국제크루즈 산업 활성화 50 글로벌 스타트업 캠퍼스 조성 16 경인아라뱃길-한강 유람선 정기 항로 개통 51 바이오융합 산업기술단지 조성
17 경인아라뱃길 수변공간 개발 52 사회적기업의 성장기반 구축 지원
18 아트플랫폼 활성화 53 맞춤형 여성 취업지원 및 고용유지 강화
19 개항문화플랫폼 조성 54 일자리를 통한 건강100세, 인천형 노인일자리사업 추진
20 인천 대표공연 콘텐츠 개발 55 인천 항공산업 산학융합지구 조성
21 인천 뮤지엄파크 조성 56 노후 산업단지 환경개선으로 가치재창조
22 국립세계문자박물관 건립 57 가치재창조지원센터 활성화로 시민참여 확대
23 송도 테마파크 조성 58 가치재창조범시민네트워크 구성 활성화
24 제2회 애인(愛仁)페스티벌 개최 59 다양한 분야의 인천인물 교류 확대 25 FIFA- U-20 월드컵 성공적 개최 60 가치재창조 선도사업의 발굴 및 추진 26 고객 맞춤형 기업회의 및 복합 MICE 유치 61 행정구역(자치구) 명칭 변경 추진 27 인천발 KTX 직결 사업 62 굴포천 옛물길 복원사업 추진 지원 28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B)건설 63 내항과 역세권 재생을 거점으로 개항창조도시 본격화 29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및 지하화사업 64 빛이 아름다운 국제도시 「야간경관」조성사업 30 서울도시철도 7호선 청라국제도시 연장 65 음악도시 인천 토대 구축
31 인천도시철도 1호선 검단 연장 66 영상을 통한 도시마케팅 및 브랜드 가치 제고 32 영종∼강화간 도로건설 등 순환도로망 구축 67 계양산성박물관 건립
33 I-조아 인천형 공보육 인프라 확충 68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 설립 34 청소년 3기〈나누氣, 참여하氣, 놀氣〉UP 69 한국 천주교 역사문화체험관 건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