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 20.6 21.2 21.6 21.6 22.2 21.9 22.2 22.3
1.3 1.6 1.9 1.9 2.1 2.0 2.1 2.4 2.5
53.6 52.0 50.6 49.1 47.6 45.7 44.4 43.6 43.0
9.3 9.8 10.5 11.1 11.2 12.9 13.3 13.5 14.3
14.2 14.1 14.1 14.3 15.1 14.8 16.1 16.0 15.5
1.8 1.8 1.8 2.0 2.3 2.5 2.3 2.3 2.4
99 00 01 02 03 04 05 06 07
유연탄 무연탄 석유 LNG 원자력 기타
[그림Ⅲ-4] 에너지원별 총에너지수요 비중 (%)
143.1 149.9 152.9 160.5 164.0 166.0 170.9 173.7 178.8 8.3
2.1 2.2
2.9 1.7
2.9 4.7
4.9
1.2 100
120 140 160 180 200 220 240
99 00 01 02 03 04 05 06 07
(백만TOE)
최종에너지 증가율
[그림Ⅲ-5] 최종에너지수요 전망
□ 수요 부문별로 최종에너지 소비를 보면 난방용 에너지 소비 비중이 높은
가정․상업부문이 가장 높은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며 다음이 산 업부문, 수송부문의 순서로 예측됨.-
가정·상업·공공부문의 에너지 소비는2005년에 추운 날씨의 영향으로
전년대비6.6%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였으나, 2006년은 온난한 기온으
로 난방용 수요가 위축되었고 전년 높은 증가에 대한 반등효과까지 반 영되어 증가율이 크게 둔화됨. 2007년은 기온효과의 영향으로 전년대비4.1%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반기별로는 2006년 4/4분기 3.8%나 감소한데 따른 반등효과로 하반
기 소비 증가율이 더 높을 것으로 전망됨. 가정·상업·공공부문은 산 업부문이나 수송부문에 비하여 냉난방용 에너지 소비 비중이 높아 기온의 영향을 크게 받으며, 이로 인하여 다른 부문보다 변동성이 크 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임. 이러한 특징은 향후에도 지속될 전망임
- 2006년 산업부문의 에너지 수요는 전년대비 2.0%
증가에 그침. 산업활동이
2005년보다 활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에너지 소비 증가율이 크게
높아지지 않은 것은 산업부문 에너지 소비의
50%
이상을 점유하는 석 유 소비 증가세가 둔화되었기 때문임. 2007년은 석유에 대한 수요가 안정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산업부문의 에너지 소비 증가율은 전년보다 높은2.8%를 기록할 전망임
구 분 2006p 2007e
1/4 2/4 3/4 4/4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산 업 24.2 22.9 23.9 25.3 96.2 48.3 50.6 98.9
(백만TOE) (1.8) (0.5) (2.0) (3.7) (2.0) (2.6) (2.9) (2.8)
수 송 8.6 9.5 9.0 9.5 36.6 18.3 18.9 37.3
(백만TOE) (2.5) (2.9) (1.5) (4.6) (2.9) (1.5) (2.3) (1.9)
가‧상‧공 14.7 8.4 6.8 10.9 40.9 23.7 18.9 42.6
(백만TOE) (-1.8) (6.0) (3.3) (-3.8) (0.0) (2.4) (6.4) (4.1)
합 계 47.5 40.8 39.7 45.8 173.7 90.3 88.5 178.8
(백만TOE) (0.7) (2.0) (2.1) (2.0) (1.7) (2.3) (3.5) (2.9)
도시가스 7,132 3,670 2,320 4,245 17,376 11,125 7,519 18,644
(백만m3) (3.0) (6.9) (10.7) (-5.9) (2.4) (3.0) (14.5) (7.4)
석유 188.5 173.0 175.7 197.0 734.2 369.0 379.3 748.4
(백만bbl) (-2.2) (-0.4) (1.5) (3.4) (0.6) (2.1) (1.8) (1.9)
전력 91.1 83.8 87.3 86.6 348.7 181.7 182.2 363.9
(TWh) (7.4) (4.6) (5.0) (2.6) (4.9) (3.9) (4.8) (4.4)
석탄 8,777 8,691 8,726 9,688 35,882 17,441 18,705 36,147
(천톤) (4.4) (8.9) (-1.0) (2.9) (3.7) (-0.2) (1.6) (0.7)
열/기타 1,646 1,198 1,037 1,612 5,493 3,067 2,899 5,965
(천TOE) (-0.4) (4.8) (5.0) (-1.8) (1.2) (7.8) (9.4) (8.6)
<표Ⅲ-5> 최종에너지 수요 전망
주) ( )는 전년 동기대비 증가율(%), p는 잠정치, e는 전망치
․2006년 산업부문 석유 소비가 부진하였던 것은 상반기 석유화학산
업의 설비보수로 납사수요가 감소한 영향이 크게 작용하였음. 납사 에 대한 수요는2006년 하반기부터 회복되기 시작하여 2007년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이에 따라 산업부문 에너지소비 증가율도2006년보다 높아질 전망임.
- 2006년 유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2.9%의 비교적 안정적인 증가세를 보
였던 수송부문 에너지 소비는2007년 전년대비 1.9%
증가에 그쳐 증가 율이 둔화될 것으로 전망됨.- 2007년의 부문별 수요점유율은 산업용의 비중이 55.3%로 가장 높고 수
송용은20.9%,
가정·상업·공공부문은23.8%
수준으로 전망됨.55.8 56.0 55.7 55.6 55.4 56.0 55.2 55.4 55.3 20.0 20.7 20.9 21.0 21.1 20.9 20.8 21.1 20.9 24.2 23.4 23.5 23.4 23.5 23.1 24.0 23.6 23.8
99 00 01 02 03 04 05 06 07
산업 수송 가상공
[그림Ⅲ-6] 부문별 최종에너지수요 비중(%)
□ 최종에너지 소비를 원별로 보면 난방용 용도로 소비되는 비중이 높은 에
너지의 소비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큰 폭의 상승을 보일 것으로 예상됨.-
석유 제품은 납사 소비가 전년대비4.8%
증가하는데 힘입어 경제성장 률 하락에도 불구하고 전년 증가율(0.6%)보다 높은1.9%를 기록할 것
으로 전망됨-
전력수요는2006년 4.9%
증가하여 증가율이 둔화된데 이어2007년에도
경기둔화 등으로4.4%
증가에 그칠 전망임.-
도시가스는2006년 4/4분기 온난한 기온의 영향으로 5.9%나 감소하였
으나
2007년은 기온에 따른 상대적 반등 요인이 작용하여 전년대비
7.4%의 비교적 높은 증가율을 시현할 전망임.
- 2007년 석탄 수요는 전년대비 0.7%
증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됨. 이는 산업용 무연탄 수요 증가세가 둔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경기 둔화에 따라 제철 및 시멘트산업용 유연탄 수요도 부진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 문임.□ 2007년도 최종에너지의 소비 구성비를 보면 도시가스와 전력의 비중은
상승하나 석유와 석탄의 비중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석유의 소비 비중은2005년 56.6%에서 2006년 55.8%로 낮아진데 이어 2007년에는 55.2%로 낮아질 것으로 보이며,
도시가스는2005년 10.4%
에서
2006년 10.5%로 점유율이 소폭 상승하였으며 2007년에는 11.0%까
지 상승할 전망임. 지속적으로 상승추세에 있는 전력은2005년 16.7%
에서
2006년에는 17.3%로 점유율이 상승한데 이어 2007년에도 17.5%로
소폭이나마 높아질 전망임. 석탄의 비중은2007년에 13.0%
수준으로 예상됨.64.9 62.5 61.0 59.9 58.6 57.5 56.6 55.8 55.2 12.9 13.2 13.4 13.5 13.8 13.4 13.1 13.3 13.0 12.9 13.7 14.5 14.9 15.4 16.2 16.7 17.3 17.5
7.3 8.4 8.7 9.1 9.4 9.8 10.4 10.5 11.0
3.2 3.3 3.2 3.2
2.6 2.8 2.4
2.2 2.0
99 00 01 02 03 04 05 06 07
석유 석탄 전력 도시가스 열/기타
[그림Ⅲ-7] 에너지원별 최종에너지수요 비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