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 결과
4.4.2. 부유성 유공충 군집
4.4.2.1. 쿠로시오 확장역
쿠로시오 확장역(NPGM/P 1302-1B)에서 산출된 부유성 유공충 중 연구기간 동안 4% 이상 출현한 종은 약 6속 9종으로, 이 중 Globigerina falconensis는 단 한 시기만 4% 이상으로 출현하고 전반적으로 산출율이 매우 낮아 환경 해석에 서는 제외하였다(Table 4-4). G. falconensis를 제외한 8종은 아열대를 지시하는 종(G. truncatulinoides, G. sacculifer, G. ruber group), 천이대의 특성을 보이는 종(N. dutertrei, N. incompta), 높은 생산성을 지시하는 종(G. glutinata, G.
bulloides, G. inflata)의 세 군집으로 분류하였다(Fig. 4-3, Fig. 4-4). 이 세 군집은 크게 세 시기(Holocene, 0~10 kyr; interglacial, 10~18 kyr; LGM, ~18 kyr)에서 급변하였다(Fig. 4-3, Fig. 4-4).
생산성 지시종은 약 16~19 kyr, 1~5 kyr 두 시기에 크게 감소하는 것 이외에 는 대체로 일정한 비율로 출현한다(Fig. 4-3, Fig. 4-4). 생산성 지시종 중 연구 해역에서 가장 많이 출현하는 G. inflata는 일본 근해 및 쿠로시오 해역에서 약 5% 이내로 발견이 되며(Takemoto and Oba, 1997; Mohiuddin et al., 2002), 쿠 로시오 확장역 및 천이대에서 10~30% 정도의 높은 비율로 출현하며(Ujiie, 2003; Mohiuddin et al., 2004), 생산성이 높은 지역에 서식하는 종으로 알려져 있다(Bé and Tolderlund, 1971). G. bulloides와G. glutinata는 열대 해역부터 한대 해역까지 분포 하지만, 용승대나 혼합 등에 의해 일차생산성이 높게 나타 나는 지역에서 주로 출현하는 특징을 보인다(Bé and Hutson, 1977; Hemleben et al., 1989). G. bulloides는 G. inflata와 마찬가지로 전체기간동안 큰 변화를 보이지 않는다(Fig. 4-3, Table 4-4). G. inflata, G. glutinata, G. bulloides는 쿠로 시오 확장역에서 주로 많이 산출되는 종이지만, 전체기간 동안 특별한 패턴을 보이지는 않는다(Fig. 4-3).
아열대 지시종(G. ruber, G. sacculifer, G. truncatulinoides)은 홀로세 이전까지 는 낮은 비율을 보이다가 홀로세 이후에 급증하는 패턴을 보인다(Fig. 4-3). 이 들은 높은 수온에 서식하는 종들로 알려져 있으며(Bé and Tolderlund, 1971;
Ujiie, 2003), 특히 G. ruber와 G. sacculifer는 성층화가 강한 빈 영양환경에서도 높은 비율로 산출된다고 보고된다(Thunell and Reynolds, 1984; Eguchi et al., 1999). G. ruber는 LGM과 간빙기에는 각각 평균 5%, 7% 이하로 점유율이 낮 지만, 홀로세에 들어서면서 급증하여 8.5 kyr에 13.25%의 최대값을 보인 후 현 재까지 서서히 감소한다(Fig. 4-3). G. truncatulinoides도 G. ruber, G. sacculifer 와 마찬가지로 홀로세 이전까지는 평균 3.57%로 낮게 출현하다가 홀로세 이후 8.49%의 높은 값을 보여준다(Fig. 4-3). 홀로세 초반에 번성한 G. ruber와는 상 이하게 G. truncatulinoides는 8.5 kyr에 11.99%의 높은 값을 보이다가 급감하여 현재까지 서서히 증가한다(Fig. 4-3). G. sacculifer는 쿠로시오 확장역에서 주로
출현하는 종은 아니지만, G. ruber와 G. truncatulinoides와 비슷하게 홀로세에 급증하는 패턴을 보인다(Fig. 4-3).
천이대 지시종의 경우, LGM이 끝나는 시기에 가장 번성하며 현재까지 서 서히 감소한다(Fig. 4-3). N. dutertrei와 N. incompta는 북서태평양에서 천이대 의 성격을 지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Bé and Tolderlund, 1971; Takemoto and Oda, 1997), 두 종의 패턴은 매우 유사하게 나타난다(Fig. 4-3).
부유성 유공충 플럭스는 LGM 시기에 매우 높은 값을 보인다(Fig. 4-5). 유 공충 플럭스는 생산성과 매우 관련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이유리 외, 2014), 일차생산성과 관련된 G. bulloides와 G. inflata이 번성하는 시기와도 일 치한다. 쿠로시오 확장역은 LGM이 끝나는 무렵부터 아한대 내지 천이대 수괴 의 영향을 크게 받다가 홀로세 이후 아열대의 수괴에 가까운 영향을 받은 것으 로 판단되지만, 수괴의 영향과 관계없이 생산성을 지시하는 종들은 상대적으로 꾸준한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51 -
Fig. 4-3. Relative abundance and down-core variations of planktic foraminifera in the Kuroshio Extension (NPGM/P 1302-1B).
Fig. 4-4. Changes in the abundance of planktic foraminifera assemblage in two study sites.
- 5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