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종 속 변 수

정부신뢰

-귀하는 다음의 각 기관 혹은 단체를 얼마나 신뢰하 십니까? 중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 ① 전혀 신뢰안함(1점)

② 별로 신뢰안함(2점)

③ 약간 신뢰(3점)

④ 매우 신뢰(4점) 독

립 변

공직자 에 대 한 평

청 렴 성

-귀하는 정부 공직자들이 얼마나 부패했다고 생각하 십니까?

: ① 매우 많이 부패했다(1점)

수 가

② 약간 부패했다(2점)

③ 그저 그렇다(3점)

④ 약간 부패하지 않았다(4점)

⑤ 전혀 부패하지 않았다(5점)

-다음의 각 항목에 대하여 우리나라 공무원들의 자 질이 어느 정도 높다고 생각하십니까? 중 ‘청렴성’

항목

: ① 매우 낮다(1점)

② 약간 낮다(2점)

③ 보통(3점)

④ 약간 높다(4점)

⑤ 매우 높다(5점)

책 임 성

-다음의 각 항목에 대하여 우리나라 공무원들의 자 질이 어느 정도 높다고 생각하십니까? 중 ‘책임성’

항목

: ① 매우 낮다(1점)

② 약간 낮다(2점)

③ 보통(3점)

④ 약간 높다(4점)

⑤ 매우 높다(5점)

전 문 성

-귀하는 정부 공직자들이 자신들이 하는 일을 잘 안 다고 생각하십니까 아니면 잘 모른다고 생각하십니 까?

: ① 공직자들 대부분은 자신들이 하는 일을 잘 모른다(1점)

② 공직자들 대부분은 자신들이 하는 일을 잘 안다(5점)

-다음의 각 항목에 대하여 우리나라 공무원들의 자 질이 어느 정도 높다고 생각하십니까? 중 ‘전문성’

항목

: ① 매우 낮다(1점)

② 약간 낮다(2점)

③ 보통(3점)

④ 약간 높다(4점)

⑤ 매우 높다(5점)

정책에 대 한 평가

-현 정부가 다음의 일들을 어느 정도 잘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1)서민생활 및 고용안전 지원 2)일자리 창출 3)여성 경제활동 확대 4)공공부문의 선진화 및 규제개혁 5) 노사갈등 중재 6)부정부패 방지 7)지역갈등 해소 8) 과세 공정성 확보 9)대북정책 10)범죄로부터 안전사 회 구현 11)지방분권 촉진 12)쾌적한 환경조성 13)문 화생활 기반 확충 14)교육 정상화 및 대학특성화 지 원 15)외교 및 국방정책 16)재난 및 재해예방

: ① 매우 못하고 있다(1점)

② 약간 못하고 있다(2점)

③ 보통이다(3점)

④ 약간 잘하고 있다(4점)

⑤ 매우 잘하고 있다(5점)

통 제 변 수

인구통계학 적 특성

-성별(남자:1, 여자:2) -연령(20대:1…60대 이상:5) -학력(초졸 이하:1…대학원이상:5) -소득(100만원 미만:1…500만원 이상:6) -정치이념(극히 보수:1…극히 진보:5) -결혼여부(기혼:1, 미혼:2, 기타:3)

제 3 절 연구의 자료 및 표본의 특성

본 연구는 공무원에 대한 인식 및 정책에 대한 평가와 정부신뢰 간 관계의 규명과 그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2016년 한국행정연구원

‘행정에 관한 국민 인식조사’데이터를 이용하고자 한다. 한국행정연구원 은 행정에 관한 국민의 생각과 견해를 알아봄으로써 향후 행정수요를 측 정하고 행정제도의 개선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3년마다 행정에 관한 국민 인식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행정에 관한 국민 인식조사는 팩스, 이메일, 개별면접조사를 통 해 이뤄지며 2016년 조사의 경우 모집단은 전국의 만 20세 이상의 성인 남녀이며, 층화무작위추출(Stratified Random Sampling)을 통해 1,000명 에 대한 자료가 수집되었다. 조사는 행정기관 이용경험, 시민참여, 정부 정책 및 정부신뢰에 관한 견해, 정부의 역할과 정부지출에 관한 견해, 사 회전반 및 사회활동에 관한 견해, 공무원에 관한 견해를 대분류로 하여 이뤄진다. 본 연구에서 활용하고자 하는 정책 및 정부신뢰와 공직자에 대한 평가 변수는 정부정책 및 정부신뢰에 관한 견해와 공무원에 관한 견해라는 두 대분류에 포함되어 있는 항목이다. 이에 두 가지 대분류 내 에서 변수와 관련된 항목의 응답만을 추려서 분석에 활용하였다.

응답자의 인구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전체 응답자 1,000명 중 496명(49.6%)은 남성, 504명(50.4%)은 여성으로, 응답자의 성비가 비교적 고르게 구성되어 있었다. 응답자들의 연령은 20세 이상이 164명(16.4%), 30세 이상이 185명(18.5%), 40세 이상이 209명(20.9%), 50세 이상이 201 명(20.1%), 60세 이상이 241명(24.1%)으로, 60세 이상이 가장 많았다. 학 력수준의 경우 초등학교 졸업 이하가 26명(2.6%), 중학교 졸업 이하가 81명(8.1%), 고등학교 졸업 이하가 385(38.5%), 전문대를 포함한 대학교

졸업 이하가 492명(49.2%), 대학원 이상의 학력을 가진 응답자가 16명 (1.6%)로, 대학교 학력수준을 가진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한편, 소득수 준의 경우 한달 평균 가구소득이 100만원 미만인 응답자가 19명(1.9%), 200만원 미만이 86명(8.6%), 300만원 미만이 178명(17.8%), 400만원 미만 이 354명(35.4%), 500만원 미만이 215명(21.5%), 500만원 이상이 148명 (14.8%)로, 응답자 중에서 한달 평균 가구소득이 300만원 이상, 400만원 미만인 경우가 가장 많았다. 혼인상태의 경우는, 기혼인 응답자가 761명 (76.1%)으로 가장 많았고, 미혼인 응답자가 204명(20.4%), 그 외의 경우 가 35명(3.5%)으로 나타났다.

제 4 절 분석방법

본 연구에서는 공무원에 대한 평가 및 정책에 대한 평가를 독립 변수로 설정하고, 청렴성, 책임성, 전문성을 공무원에 대한 평가의 하위 변수로 구성하였다. 또한, 정부신뢰를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중앙정부신 뢰와 지방정부신뢰를 하위변수로 구성하였다. 통제변수는 응답자의 성별, 연령, 학력, 가구소득, 정치이념, 결혼여부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변수 간 상관관계 분석과 분산 팽창 인수(Variation Index Factor) 분석을 통하여 다중공선성 여부를 검토하고자 한다. 그 후 STATA 11을 활용하여 공무원에 대한 평가 및 정책에 대한 평가가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제 4 장 분석결과

제 1 절 기술통계량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