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통증지수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Halaman 30-34)

(1) 주관적 통증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

연구 대상자의 주관적 허리통증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통 증척도(VAS)를 이용하여 통증정도를 측정하였다<그림 5>.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전체길이가 100mm인 눈금이 그려지지 않은 가로모형의 도구를 이용하여

한 통증상태를 ‘10’까지의 검사 도구에 대상자가 현재 느끼는 요통의 정로를 점 으로 표시하게 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왕진만 등(1995)이 한국어로 번 안하고 우리나라의 정서와 표현 방식에 맞추어 수정 개발되어 요통과 관련한 변 인들과의 높은 타당도(r=.88)를 보인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 된 척도는 피실험자가 통증 정도를 표현하는데 있어 높은 재현성을 보인 통증척 도법으로 신뢰도는 r=.76~.84이다(Boonstra et al, 2008).

<그림 5> 주관적 통증척도

(2) 한국어판 Oswestry 요통 장애지수(Korea Version Oswestry Low Back Pain Disability Questionnaire ,ODI)

ODI는 척추질환의 컨디션에 흔히 사용되는 설문지로 O’Brien(1976)에 의해 개발되어 다양한 초안이 시도되었고 1980년대에 출판되었다(Fairbank &

Pynsent, 2000). Fairbank& Pynsent(2000)의 연구에서 다양한 ODI의 버전을 비교하고 치료 전·후로 환자들에게 모집한 점수를 비교하였으며 결과측정 방법을 재검사하여 실제 평가와 유사한 도구인지 고려하여 발전시켰다.

본 연구에서는 전창훈 등(2005)이 번안한 한국어판 KODI(Korea Version Oswestry Low Back Pain Disability Questionnaire)을 사용하여 통증정도를 측 정하였다. KODI의 문항은 총 10가지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0점에서 5점까 지의 점수 중 높은 점수일수록 장애가 심한 것을 의미하며, 10가지 문항에는 자 기관리, 들어올리기, 걷기, 앉아있기, 서있기, 잠자기, 성생활, 사회생활, 바깥출입 으로 구성되어 있다(전창훈 등, 2005). 본 연구에서는 전창훈 등(2005)의 연구

에서 VAS척도와 KODI간 수렴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r=.62의 타당도계수를 보였 고, 신뢰성(r=.92)을 입증 받아 한국에서 요통 환자의 평가에서 용이하게 활용 되어지고 있는 설문지를 활용하였다(부록).

4) 3차원 척추 안정성 검사

본 연구에서의 척추 안정성검사는 CENTAUR® 3-D System(BFMC., GmbH, Germany, 그림 6, 7)을 이용하였다. CENTAUR®는 다양한 방향의 회전을 통하 여 자세를 유지하는데 있어 나타난 약한 근육의 검사 및 요추부의 안정성 평가 가 가능한 장비이다(김성호 등, 2006). 검사 방법은 다음과 같다. 피험자가 차렷 자세를 유지한 상태로 골반과 대퇴를 고정한 후 손은 가슴에 놓고 복횡근을 수 축시키는 자세를 유지하게 하고, 동시에 턱도 “Chin-in"상태를 만들어 경추 안정 화 자세를 유지하게 한다. 그 상태에서 CENTAUR®를 이용해 각도 별로 대상자 를 지면으로 90°까지 기울어지게 하는 동안 대상자에게 차렷 상태를 유지할 것 을 요구한다. 검사도중 피험자는 시상면과 이마면의 중립자세를 유지해야하며, 통증을 호소하거나, 피로를 느낄 경우 중단하였다. 이런 방법으로 4방향에서 기 울어지는 각도(0°,90°,-90°,180°)를 검사하였다. 평가 단위는 k/Nm이며, 본 연 구에서는 100%를 최대 근력 기준으로 현재 근력을 %로 표기하였다. 대상자의 신체적 특성에 따라 최대값이 적용되며 값이 높을수록 체간안정성이 좋다고 평 가할 수 있다.

<그림 6> 3차원 체간 안정성 검사결과표

<그림 7> 체간안정성 검사 자세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Halaman 30-34)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