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학습 3 건강운동 응급상황 대처하기

(LM1204030312_14v1.3)

3-1. 건강운동 응급상황 대처

학습 목표

운동 수행 시 응급상황에 대한 비상연락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응급상황 대처 매뉴얼을 작성할 수 있다.

운동 수행 시 신속한 회원의 생체 징후를 파악할 수 있다.

운동 수행 시 발생하는 응급상황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운동 수행 시 발생하는 운동 손상과 상해에 대한 응급처치를 실시할 수 있다.

운동 수행 시 발생하는 신체 이상 증세에 따른 응급처치를 실시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119 신고 요령

신고자는 환자의 위치, 연락을 취하는 곳의 위치, 환자의 상황, 주변 상황, 환자에게 시행 되고 있는 응급처치 등을 침착하게 설명해야 하고 구급대원의 설명에 따라 추가로 필요한 조치를 취하도록 한다.

 응급상황의 구분 1. 심정지

심장 기능이 정지된 상태로 혈액을 박출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하며, 심정지 후 호흡이 멈 추고 의식을 잃게 된다. 심정지가 생긴 때부터 4분 동안이 사람을 살릴 수 있는 시간으로, 이 시간을 골든타임이라고 한다.

(1) 증상과 징후

(가) 심정지 후 반응이 없고 동공이 확대된다.

(나) 얼굴, 사지 등에 청색증이 올 수도 있다.

(다) 첫 수 분간 가쁜 호흡이 나타나거나 짧은 경련이 있을 수 있다.

2. 골절

골절은 의부로부터의 물리적 충격이나 압박이 가해져 뼈가‘부러지는 것’을 말한다. 뼈 가 부러지는 형태에 따라 단순골절, 복합골절, 분쇄골절 등으로 구분한다.

(1) 골절의 증상과 징후

(가) 일반적으로 자연스레 통증이 발생하고 누르면 아프다.

(나) 해당 부위를 움직일 때 뼈가 마찰되는 느낌이다.

(다) 해당 부위의 팔다리나 신체 부분을 움직일 수 없다.

(라) 해당 부위와 멀리 떨어져 있는 부위를 누르거나 만지면 통증이 있다.

3. 타박상과 염좌

뼈가 부러지는 골절이 외상에서 가장 심한 정도의 상해이며, 그 다음이 염좌(삠)와 타박상 (멍)이다. 염좌는 관절이 존재하는 국한된 곳에서 인대의 손상으로 발생하는 것을 말하고, 타박상은 피하조직의 혈관이 파열되어 생기는 것으로 관절을 포함한 모든 부위에서 발생 할 수 있는 상해이다. 골절이 발생하면 염좌와 타박상이 동반되며, 인대가 찢어질 정도의 외상인 염좌는 필연적으로 타박상이 동반된다. 따라서 골절의 여부를 판단한 후 염좌와 타박상인지를 구분해야 한다.

(1) 증상과 징후

(가) 염좌 증상은 해당 부위가 붓고 빨개지면서 통증을 느낀다.

(나) 압박 시 통증은 더욱 심해진다.

(다) 염좌 부위에 멍이 들거나 힘이 없어진다.

(라) 마비가 오기도 하며 피부색이 변색된다.

4. 탈구

탈구란 관절을 구성하는 뼈마디, 연골, 인대 등의 조직이 정상 운동 범위를 벗어나 위치가 바뀌는 것을 말한다.

(1) 증상과 징후

(가) 관절을 움직일 수 없고 통증이 심하다.

(나) 외형이 일그러져 보인다.

(다) 붓기가 생긴다.

(라) 탈구된 쪽의 손발이 다른 쪽보다 길거나 짧아진다.

5. 출혈

혈관의 손상으로 혈액이 혈관 밖으로 나오는 현상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출혈이 일어나면

혈소판과 혈액 응고 인자의 작용으로 혈전이 생성되어 손상된 혈관과 조직을 막아 지혈이 된다. 혈소판과 혈액 응고 인자에 이상이 있으면 쉽게 멍이 들거나 작은 상처에도 출혈이 잘 일어나고 지혈이 되지 않는다.

(1) 증상과 징후

(가) 외상으로 인해 출혈이 일어난다.

(나) 찰과상, 긁힘에 의해 출혈이 일어난다.

(다) 타박상, 파열에 의해 출혈이 일어난다.

(라) 절개, 구멍 난 상처에 의해 출혈이 일어난다.

6. 저혈당증

다양한 원인에 의해 혈중 포도당이 정상 수치 이하로 감소하여 다양한 증상을 나타내는 상태를 말한다.

(1) 증상과 징후

(가) 복통 및 구토 증상을 보인다.

(나) 공복감을 느낀다.

(다) 피부가 축축해지면 끈적거리는 땀이 배출된다.

(라) 두통, 현기증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마) 정신이 희미해진다.

(바) 맥박이 느리거나 빨라진다.

7. 머리 부상 (1) 증상과 징후

(가) 충격이 가해진 부위가 부어오른다.

(나) 심한 부상의 경우 호흡이 늦어지고 혈압이 상승하며 두개골의 함몰이 확인된다.

(다) 위급한 상황인 경우 귀나 코의 출혈이 있고 소변을 조절하지 못하며 동공이 확 대되고 자극에 대한 반응이 없다.

8. 찰과상․절상․자상

찰과상과 절상은 충동, 마찰, 추락, 접촉 등의 사고에 의해 외부의 힘과 피부의 표면이 마 찰하여 피부가 벗겨진 상처이다. 자상은 녹이 슨 못, 나무조각, 가시, 유리조각 등에 찔린 상처이다.

(1) 증상과 징후 (가) 찰과상과 절상

외피가 벗겨지고 출혈과 통증이 발생한다.

(나) 자상

출혈과 통증이 발생한다.

수행 내용 1 / 응급상황 대처 계획하기

재료·자료

Ÿ 응급처치 매뉴얼, 자동 제세동기 사용 매뉴얼, 비상연락 체계도

기기(장비・공구)

Ÿ 구급 및 안전교육 관련 도구(자동 제세동기 등) Ÿ 컴퓨터, 프린터, 복사기

Ÿ 유․무선 통신 장비: 전화, 스마트폰 등

Ÿ 회원의 운동 전, 중, 후 신체 상태 및 생체 징후 기록지

안전・유의 사항

Ÿ 운동 수행 시 발생하는 신체 이상 증세는 질환, 심장마비 및 기도폐쇄 등을 포함한다.

Ÿ 응급상황 대처 매뉴얼을 계획, 수립하여 작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Ÿ 운동 공간 내 응급상황 대처를 위한 구급 및 안전교육 이수자 배치를 포함한다.

Ÿ 모든 매뉴얼은 일정한 주기로 검토․수정․보완하는 것을 포함한다.

수행 순서

 운동 중 발생할 수 있는 부상의 유형을 파악한다.

1. 선임자와의 면담을 통하여 관련 사례를 조사한다.

2. 뉴스, 기사 등의 검색을 통하여 관련 사례를 조사한다.

 응급환자 발생 시 조속한 조치 및 치료를 할 수 있는 인근 병원의 위치를 확인한다.

 응급상황 발생 시 활용할 비상연락체계를 구축한다.

 응급처치 관련 물품을 점검한다.

1. 해당 시설의 기준에 부합한 안전·위생 기준이 마련되었는지 검토한다.

2. 구급약을 포함한 응급처치에 사용할 수 있는 물품을 확인한다.

수행 tip

Ÿ 응급처치와 관련된 전용 도구 및 장비가 없을 경우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물품들을 확보하여 응급처치 를 구상한다.

3. 응급처치 관련 물품의 배치 장소를 파악한다.

 응급상황 대처 매뉴얼을 작성한다.

1. 「체육시설의 설치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을 검토한다.

2. 해당 시설의 기준에 부합한 안전·위생 기준이 마련되었는지 검토한다.

3. 안전 관리의 중요성을 주지시키기 위해 판례 등을 조사하여 첨부한다.

4. 응급상황에 따른 적절한 응급조치 및 응급처치 방법을 작성한다.

(1) 기존 응급처치법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개선된 방법이 개발되었는지 조사한다.

(2) 출처가 분명하고 신뢰성 있는 자료를 사용하고 매뉴얼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사진 자료를 첨부한다.

수행 내용 2 / 응급상황 대처하기

재료·자료

Ÿ 응급처치 매뉴얼, 자동 제세동기 사용 매뉴얼, 비상연락 체계도

기기(장비・공구)

Ÿ 구급 및 안전교육 관련 도구(자동 제세동기 등) Ÿ 컴퓨터, 프린터, 복사기

Ÿ 유․무선 통신 장비: 전화, 스마트폰 등

Ÿ 회원의 운동 전, 중, 후 신체 상태 및 생체 징후 기록지

안전・유의 사항

Ÿ 운동 수행 시 발생하는 신체 이상 증세는 질환, 심장마비 및 기도폐쇄 등을 포함한다.

Ÿ 응급상황 대처 매뉴얼을 계획, 수립하여 작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Ÿ 운동 공간 내 응급상황 대처를 위한 구급 및 안전교육 이수자 배치를 포함한다 Ÿ 모든 매뉴얼은 일정한 주기로 검토․수정․보완하는 것을 포함한다.

수행 순서

 운동 중인 회원의 신체 징후를 파악한다.

1. 운동 중인 회원의 안색, 초점, 호흡, 배출되는 땀의 양, 움직임의 둔화 등을 파악한다.

2. 이상 징후에 가까운 징후를 보일 시 운동 지속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

3. 징후의 정도가 심각하다고 판단될 경우 운동을 즉각 중지하고 안정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4. 회원의 신체가 정상화되는 것을 확인할 때까지 주변에서 수분 섭취, 체온 유지, 안정 등을 이룰 수 있도록 도와준다.

 응급상황 발견 즉시 도움을 요청한다.

1. 도움을 요청한다.

응급환자 발생 즉시 주변에 있는 사람을 명확히 지목하여 119에 신고하도록 한다.

2. 도움을 요청한 후 환자의 의식 상태를 파악한다.

<표 3-1> 환자 의식 확인 및 상태 파악

의식이 있는 환자 의식이 없는 환자

1. 짧고 간단히 질문한다.

2. 신분을 밝히고 응급처치의 동의를 구한다.

3. 응급환자의 이름을 확인하고 동반자, 일행 의 유무를 확인한다.

4. 응급환자의 과거 병력을 확인한다.

5. 개인 소지 의약품, 의사 소견서 등을 소지 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6. 응급환자의 상태와 상황이 파악되면 7. 즉각 해당 응급조치를 시행한다.

1. 기도를 확인한다.

2. 응급환자의 코와 입으로 귀를 가까이 대 고 호흡과 움직임을 확인한다.

3. 출혈을 확인한다.

4. 호흡이 없고 심장박동이 확인되지 않을 때는 즉각 CPR을 시작한다.

5. CPR은 구급대원이 도착하기 전까지 시 행하고 도움을 받을 사람이 있다면 번 갈아가며 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 응급상황의 유형에 따른 조치 및 처치를 실행한다.

1. 심정지에 대한 응급조치 및 응급처치를 실행한다.

(1) 가슴의 움직임과 호흡 여부를 동시에 확인한다.

(2) 사고에 의한 환자는 경추 혹은 척추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몸을 세게 흔들거나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

(3) 검지와 중지를 사용하여 목 측면을 주행하는 목동맥을 5초 이상 10초 이내로 촉진하 여 맥박을 확인한다.

(4) 가슴 압박법을 수행한다.

(가) 가슴압박법의 시행을 위해 환자를 바로 누운 자세로 눕힌다.

(나) 뇌 혈류량의 유지를 위해 환자의 머리가 심장보다 높지 않도록 수평 자세를 유 지한다.

(다) 가슴압박 시 힘이 잘 전달될 수 있도록 바닥이 단단한 곳에 환자를 눕히거나 등 에 딱딱한 판자를 대준다.

(라) 복장뼈의 가운데 아래쪽에 한손의 손바닥 끝을 대고 그 위에 다른 한손을 올려 놓은 뒤 팔꿈치관절을 곧게 펴고 체중을 실어 압박한다.

(마) 압박 부위가 5~6cm 정도 들어갈 정도의 힘을 주어 1초에 1회 이상의 속도로 수 행하며, 압박 수축기와 압박 이완기의 비율을 50:50 정도로 유지한다.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