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학습 5 설계지반정수 산정하기

(LM1402010805_14v2.4)

5-1. 지반정수 조사 및 산정

학습 목표

관련 타사업 설계지반정수 산정 자료 및 문헌자료 등을 조사하여 정리할 수 있다.

현장조사, 현장시험, 실내시험 자료 및 문헌자료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설계시 적용 가능한 지반정수를 산정할 수 있다.

터널 및 비탈면, 연약지반, 교량기초, 토공 등의 설계에 적용 가능하도록 설계지반 정수를 산정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지반정수의 산정

1. 설계를 위한 토층의 대표 지반정수는 오직 하나의 시험 방법에 의해 구해진 토질시험 의 기계적인 평균값으로 산정하는 것이 아니고, 다른 토질시험 결과를 참고하여 그 지 층을 대표할 수 있는 토질시험 결과로부터 획득해야 한다. 특히, 매우 연약한 지반의 경우나 중요 구조물을 건설하는 경우에는 실제 현장에서 실물 크기의 재하시험, 또는 시험 성토를 하고 침하, 측방 변위, 간극수압 등 각종 계측을 실시하여 그 측정치를 활 용하여 설계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 중요하다.

2. 흙막이 구조물에 작용하는 수평하중은 토압 및 수압 그리고 기타 압력으로 구성된다.

하지만 그 값의 크기와 분포 상태는 지반의 특성에 따라 다르며, 흙막이벽의 변형, 굴 착, 배수의 시공 조건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3. 흙막이벽에 작용하는 측압을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전체 단위중량(), 점착력(c), 내부

 지반정수의 분석

1. 자연현상에 크게 영향을 받아 생긴 재료를 공학적 대상으로 하는 지반공학에서는 공장 이나 현장에서 일정한 규격에 맞추어 생산한 제품을 쓰는 구조, 기계 분야 등 여타 공 학 분야에 비해 설계 재료의 공학적 성질을 파악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어렵다. 게다가 경제적·시간적 이유로 구조물을 구성하는 재료 전체를 대상으로 재료 성질을 시험하 지 못하고, 극히 일부분만을 대상으로 하여 얻은 시험 결과를 가지고 전체 재료 성질을 추정해야 하는 문제도 있다. 또한 얻고자 하는 지반재료 성질이 재료 자체의 고유한 성 질(inherent property)이 아니고, 재료에 작용하는 현재 응력 상태, 과거의 응력 이력, 시 험기 특성 및 시험 방법 등에 영향을 받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2. 이렇듯 지반 구조물을 설계할 때 지반 구조물을 형성하는 재료들의 공학적 성질을 제 대로 파악하는 것은 지반공학자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일 중의 하나로 볼 수 있으나, 측정기기와 방법의 발전 속도에 비해 측정 결과를 분석하여 설계정수를 도출하는 것은 어려운 과정이다. 아무리 지반 구조물의 거동을 해석하는 수학적 모델이 정확하다고 해 도 지반 성질을 실제와 맞지 않게 입력하면 당연히 그 해석 결과도 신뢰할 수 없는 엉 뚱한 결과를 얻게 된다. 예를 들어 동일 지반에 대해 근처에서 몇 개의 시추조사를 통 해 지반성질을 파악했을 때 여러 시추공 결과 중에서 어느 시추공 결과를 해석에 반영 하느냐에 따라 그 결과에 큰 차이가 있을 수 있다.

(1) 지반성질의 불확실성의 원인

(가) 비교적 규격화된 자재를 주로 쓰는 구조 분야와는 달리, 자연 상태에 가까운 지반의 성질은 변동이 크고 불확실성의 원인도 복잡하다.

(나) 지반 성질의 불확실성(geotechnical property uncertainty) 은 다양한 원인에서 기인하며, 이 중에서 중요한 네 가지는 본질적 변동성(inherent variability, spatial variation), 측정(조사)오차(measurement error), 통계오차(statistical error or uncertainty) 그리고 변환 모델 불확실성(transformation model uncertainty)을 들 수 있다.

(다) 지반의 본질적인 변동성은 지반의 생성, 풍화, 운반, 퇴적 과정 등 지반 형성 과정(natural geologic formation process)과 형성 후 변화 과정에서 지반 구성 광물의 차이, 지반의 응력, 함수비 등등의 지반 형성 조건의 차이에 따라 지반 성질이 위치마다 다르고, 또 연직 방향과 수평 방향의 성질이 차이가 나는 현 상을 총칭한다. 다시 말해서 지반 성질의 본질적 변동성이란 지반의 성질이 본 질적으로 한 위치와 다른 위치에서 서로 공학적 성질이 동일하지 않으며(즉, 비균질), 한 위치에서 사방으로 공학적 성질이 동일하지 않다는(즉, 비등방성)

2. 확률통계의 기초

일반적으로 통계학은 데이터를 합리적으로 모아, 연구하려는 현상에 알맞게 분석하여 결 론을 이끌어 내는 추론의 문제를 다룬다. 물론 잘못 사용되었을 때 통계학은 약이 아니라 독이 될 수 도 있다. 만약 어떤 현상이 단 하나의 확정적 결과를 가진다면 통계학은 불필 요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현상은 불확실한 성질을 가지며, 확정적으로 하나로 정의하기 힘 들다. 이에 더하여 경제성과 시간성의 제한 때문에 전체(모집단)를 다 조사하지 못하고, 부분(표본)만을 가지고 전체의 분포를 추론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물론 조사를 시작하기 전에 표본 추출 과정과 범위를 합리적으로 결정하여 타당한 추론을 이끌어 내는 것이 매 우 중요하다. 다시 말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기록하는 단계에서부터 사후 이용 단계를 고 려하여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모으고 분석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 설계지반정수 문헌자료 분석 1. 쌓기재 강도정수

계획된 쌓기 비탈면의 쌓기 재료는 시방서에 따른 쌓기 재료 선정 기준 및 품질관리 기준 을 만족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쌓기 재료의 특성에 따른 개략적인 토질 정수의 추정이 가 능하다.

종 류 재료의 상태 단위중량

(kN/m3)

점착력 (kPa)

내부 마찰각

(゚) 비 고

자갈 및 자갈섞인 모래 20 0 40 GW,GP

모 래

입도가 좋은 것 20 0 35 SW, SP

입도가 나쁜 것 19 0 30

사 질 토 19 30 이하 25 SM, SC

점 성 토 18 50 이하 15 ML,CL,

MH,CH 출처: 도로설계요령, 제2권 토공 및 배수, 2009

<표 5-1> 토사 쌓기 재료의 개략적인 토질 정수

구 분 단위중량

(kN/m3)

점착력 (kPa)

내부 마찰각

(゚) 비 고

Design of small dam 23 0 45 Joutnal of Geotechnical Engeneering 20 0 38

구조물 기초 설계기준 20 0 35

<표 5-2> 암버럭 쌓기 재료의 개략적인 토질 정수

2. 토사층의 설계정수

일반적으로 토사 지층은 매립층, 퇴적층, 풍화토층으로 구분되며, 점토, 모래, 자갈로 구성되 어 있다. 따라서 토사층의 설계정수 산정은 점성토, 사질토, 자갈로 구분하여 산정하게 된다.

종 류 재료의 상태 단위중량

(kN/m3)

점착력 (kPa)

내부마찰각

(゚) 비 고

자갈

밀실한 것, 입도가 좋은 것 20 0 40 GW,

GP 밀실하지 않은 것,

입도가 나쁜 것 18 0 35

자갈섞인 모래

밀실한 것 21 0 40 GW,

GP

밀실하지 않은 것 19 0 35

모래

밀실한 것, 입도가 좋은 것 20 0 35 SW,

SP 밀실하지 않은 것,

입도가 나쁜 것 18 0 30

사질토

밀실한 것 19 30이하 30 SM,

SC

밀실하지 않은 것 17 0 25

점성토

굳은 것

(손가락으로 강하게 눌러 조금 들어감)

18 50이하 25 ML,

CL 약간 무른 것

(손가락 중간 정도의 힘으로 들 어감)

17 30이하 20

무른 것

(손가락이 쉽게 들어감) 17 15이하 20

점토 및 실트

굳은 것

(손가락으로 세게 눌러 조금 들 어감)

17 50이하 20

CH, MH, ML 약간 무른 것

(손가락의 중간 정도 힘으로 들 어감)

16 30이하 15

무른 것

(손가락이 쉽게 들어감) 14 15이하 10

출처: 도로설계요령, 제2권 토공 및 배수, 2009

<표 5-3> 토공재료의 개략적인 토질 정수

구분 Braja, M. Das Joseph E. Bowels (1996) 변형계수(MPa) 포아송비 (ν) 변형계수(MPa) 포아송비 (ν) 느슨한 모래 10 ~ 25 0.20 ~ 0.40 10 ~ 25 0.20 ~ 0.35

보통굳기 모래 17 ~ 28 0.25 ~ 0.40 - -

조밀한 모래 35 ~ 55 0.30 ~ 0.45 50 ~ 81 0.30 ~ 0.40 실트질 모래 10 ~ 17 0.20 ~ 0.40 5 ~ 20 -

연약한 점토 2 ~ 5 - 2 ~ 25

0.40 ~ 0.50 중간 점토 5 ~ 10 0.20 ~ 0.50 15 ~ 50

견고한 점토 1 ~ 24 - 50 ~ 100

느슨한 모래 섞인 자갈

69 ~ 172 0.15 ~ 0.35

50 ~ 150

0.30 ~ 0.40

조밀한 모래 섞인 자갈 100 ~ 200

출처: Braja, M. DasJoseph E. Bowels (1996)

<표 5-4> 토공 재료 지반정수의 범위

3. 풍화암의 설계정수

풍화암층은 기반암이 심한 풍화 내지 완전 풍화된 상태로, 관련 문헌자료에서 제시하는 지반정수의 범위는 다음과 같다.

구분

암반 파쇄 상태 전단 강도

비고 TCR (%) RQD (%) 내부 마찰각

( o )

점착력 (kN/㎡) 풍화암 또는 파쇄가

극심한 기반암 경우 20 이하 10 이하 30 100 암반의 파쇄 상태에 따른 전단 강도 제안 출처: 한국도로공사(1996). 도로설계실무편람. 한국도로공사

<표 5-5> 풍화암의 개략적인 지반정수

구 분 단위중량 (kN/m3)

점착력 (kPa)

내부 마찰각 (゚)

변형계수 (MPa)

포아송비

(ν) 비 고

풍화암 20.0~22.0 100~300 30~35 100~200 0.3~0.4

<표 5-6> 토사 쌓기 재료의 개략적인 토질 정수

4. 기반암의 설계정수

구분

암반 파쇄 상태 전단 강도

TCR (%) RQD (%) 내부 마찰각 (゚)

점착력 (kN/㎡)

강한 풍화암으로서 파쇄가 거의 없 는 경우와 대부분의 연·경암

20~30% 10~25% 0.13 33°

40~50% 25~35% 0.15 35°

70% 이상 40~50% 0.20 40°

출처: 한국도로공사(1996). 도로설계실무편람. 한국도로공사

<표 5-7> 기반암의 개략적인 지반정수

구분 단위중량

(포화상태/건조상태)

마찰각

(°) 점착력

종류 재료 lb/ft³ tf/m³ lb/ft² MPa

점착 력이 없는 물질

발파 / 파쇄 암석

현무암 백 암 화강암 석회암 사 암 셰 일

140 / 110 80 / 62 125 / 110 120 / 100 110 / 80 125 / 100

2.2 / 1.7 1.3 / 1.0 2.0 / 1.7 1.9 / 1.6 1.7 / 1.3 2.0 / 1.6

40∼50 30∼40 45∼50 35∼40 35∼45 30∼35

- -

점착 력이 있는 물질

견고한 화성암‥‥

화강암, 현무암, 반암 변성암‥‥

규암, 편마암, 절판암 견고한 퇴적암‥‥

석회암, 백운석, 사암 연약한 퇴적암‥‥

사암, 석탄, 백악, 셰일

160∼190

160∼190

160∼190

160∼190

2.5∼3.0

2.5∼2.8

2.3∼2.8

1.7∼2.3

35∼45

30∼40

35∼45

25∼35

720,000∼

1,150,000 400,000∼

800,000 200,000∼

600,000 20,000∼

400,000

35∼

55 20∼

40 10∼

30 0.10∼

20 출처: E. Hoek and J. W Bray "Rock slope Engineering" 3th (1981)

<표 5-8> 암종에 따른 암반의 설계정수 범위

구 분 단위중량 (kN/m3)

점착력 (kPa)

내부 마찰각 (゚)

변형계수 (MPa)

포아송비 (ν) 연 암 23.0~25.0 300~600 30~40 200~400 0.25~0.30 보통암 24.0~26.0 600~1,500 35~40 400~1,000 0.25 경 암 25.0~27.0 1,500~2,000 35~45 1,000~4,000 0.20 출처: 서울특별시(2006). 지반조사편람, 서울특별시

<표 5-9> 암반에 따른 설계정수 범위

 설계정수 항목별 산정 방법

1. 토사에 대한 설계정수 산정 방법 (1) 기본 물성

(가) 단위중량()

• 실내시험 결과에 의한 산정 방법 : 불교란 시료 단위중량 측정, 현장밀도시험

• 경험적 추정 방법 : 풍화암층의 경우 N > 50/10이므로 매우 조밀한 토사층으로 간주하여 추정

(나) 포아송비()

• 기존 문헌자료, 토질 종류 및 조성 상태에 따른 일반적인 범위값 비교 추정 (2) 역학 물성

(가) 강도정수( )

• 실내 및 현장시험 결과에 의한 산정 방법 - 토사층 : 직접전단시험(불교란 시료 채취) - 풍화암층 : 공내전단시험(BST)

• 경험적 추정 방법

- 풍화암층의 경우 N > 50/10이므로 매우 조밀한 토사층으로 간주하여 추정 - 기존 적용 사례 및 문헌자료를 이용하여 추정

(나) 변형계수()

• 시험에 의한 추정 방법 : 공내수평재하시험 결과에 의한 산정 방법

• 경험적 추정 방법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