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술적 파급효과
○ 향후 국내에서 실시간으로 해양 환경 자료(수온, 수심, 일사량)를 수집할 수 있는 소형화된 관측 장치의 개발 노하우 확보
○ 다양한 해양 환경 자료(염분, 엽록소, pH, DO 등)로 확대 적용 기술 확보 ○ IoT 기반의 해양, 호수 생태계 관리 및 현업에 ICT 적용 기술 확보
□ 기대효과
○ ICT 소형 무선 통신 기반 해양 환경 자료 기술 보유를 통한 관련 기술 이전 및 선도
○ 장비 국산화를 통한 수입 대체 효과 및 장비 수리/유지 관리 용이성 확보 ○ 대어민을 대상으로 한 해양 과학의 대국민 기여 증대
제 6 장 기술 이전
□ 개발기술에 대한 수요기업
○ 수요기업 : ㈜시스코어 (경기도 용인시 소재 중소기업)
○ 수요기업 및 현업 요구 항목 수용 및 상용품 개발 단계까지 기술 구현
□ 상용화 전략 및 계획
○ 상용화 형태 : IoT 기반 소형 부이형 해양 및 호수 환경 자료 측정 장비 및 가시화 시스템
○ 수요처 : 공공기관, 대학, 생태계 관리 업체, 대형 양식업체 등 - 예상 단가 : 350 ~ 700만원 (운용 체계 포함, 센서부는 옵션)
- 가격 근거 : 국외 메모리형 수온/수심 센서(TDR) 대당 가격 약 500 만원 - 개발 기간 : 약 6 ~ 10개월
○ 상용화 능력 및 자원 보유 : 장비 개발, 통신, 가시화 체계 구축 전문 기술 보유,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개발 인력 보유 ○ 상용화 계획 및 일정
- 시제품 완료 및 현장 적용 : 2019년 상반기 - 단가 절감 및 상품화 완료 : 2019년 중순 - 판매 개시 : 2019년 중순 이후
- 판매 방법 : 자체 및 해양 장비 전문 업체 위탁 판매 협의 진행
□ 사업화 추진전략
○ 향후 시장 출시 때 기술 보호를 받기 위하여 현재 진행중인 특허 출원 심사 의 등록 결정에 기술사업화팀과 협력 및 기술 지원
□ 사업화 추진체계
그림 26. 사업화 추진 계획
○ 2016년 이후 매년 피해를 유발하는 연안 양식장 저수온/고수온 실시간 관측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며, 정부 차원의 연안측정망 구축 사업 및 중요 양식 장에 기술 설명 및 장비 홍보
○ 연구개발 부분에서는 장비 개발에 집중하며, 판매 및 홍보 등은 해양 장비 판매 전문 업체를 활용하는 역할 분담 구조로 진행
○ 초기에는 저가의 수온 측정만 수행하며, 중기 이후에는 수요자의 요구를 반 영한 추가 센서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기술 적용 계획
○ 기술이전 확약서
○ 기술 이전
- 기술 이전 : 2019년 1월 완료 - 실시권 종류 : 통상실시권
- 선정방법 : 과제 수행에 따라 기술 이전 계약 체결 - 실시 지역 : 국내에 한정
- 기술 지원 항목
구분 내용 제공시기
기술정보 보고서, 개발 도면, 운용 방법 계약 후 1개월 이내
교육․자문 (1․16) Man․hour 계약 후 1개월 이내
기자재․설비 기타
- 기술 이전 형태 : 기술 실시 허락
제 7 장 제 언
□ KIOST 연구개발 장비의 활용 확대를 위해 대국민 서비스 제공 필요 □ 효율적인 투자 및 장비 운용으로 KIOST 브랜드로 대국민 서비스
□ 현재 3기를 시범 운용중이나 기관 차원의 대국민 서비스 확대 방안으로 완도, 여수, 통영에 각각 10기씩 운용 제안
(네트워크 구축비 포함 대당 500만원 예상, 국외 장비는 메모리식이 대당 500만원)
□ KIOST-어촌계 협약 형태로 고수온/저수온 정보 실시간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