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도 2019 2020 2021 2022 2023 ~ 2028
목표 •오염인자 평가지표 발 굴 및 선광-처리기술 기초연구
•오염인자 추적기술 개발
•환경/생물 위해성 평 가 기법 확립
•선광, 처리/저감 후보 기술 공정 도출
선광 및 저감/처리기술
개발을 위한 R&D 추진 성과
지표
•연구시료 및 환경자료 확보
•영향평가 생태/분자 지 표 발굴
•처리기술 공정설계 요 소 도출
•제도/환경변화 대응
•채광폐기물 오염인자 DB구축 및 확산도(2건)
•연구시료 및 환경자 료 확보
•생물영향 DB 구축
•확산도 정화도 개선
•제도/환경변화 대응
•금속동위원소DB 구축 (2건)
•연구시료 및 환경자 료 확보
•확산모델 간접적 현 장 검증
•제도/환경변화 대응
•채광 폐기물 생물위 해성 지표(2건)
•생태계 영향 모니터 링 기법 확립
•오염인자 식별/추적 기법 정립
•제도/환경변화 대응
•채광 폐기물 저감/처 리공정 설계
4. 대양의 생물다양성 이해와 신해양자원 확보
연도 2019 2020 2021 2022 2023 ~ 2028
목표
•생물다양성 연구 -생물시료 채집/관리
및 분석 방법 정립 -생물시료 확보 및
분자마커 분석
•희유금속품위 연구 -지구조 해석을 위한
지구물리자료 획득/
해석
-지구조별 정위치 지 질시료 획득 및 자 료구축
•생물다양성 연구 -생물시료 확보 및
분자마커 분석 -생물다양성 분석
•지구조별 희유금속 품위 변화 연구 -지구조 해석을 위한
지구물리자료 획득/
해석
-지구조별 정위치 지 질시료 획득 및 자 료구축
-지구조별 금속 품위 분포 변화 해석
•생물종 유전적 연결 성 연구
-생물다양성 분석 -환경특이 유전자 분석 -종다양성 국제프로그
램 협력 연구
•지구조 유형별 희유 금속 거동 및 침전 기작 연구
-희유금속 성인 해석 -희유금속 광역 자원
잠재성 평가
•생물종 유전적 연결 성 연구
-지리적 분포 해석 -지구조별 정위치 저
서생물 채집 및 군 집 연구
•광역간 자원잠재성 비교 연구
-지구조간 광역적 희 유금속 품위 분포 연구
-광역간 희유금속 자 원 잠재성
•심해 생물 극한 기능 유전자 및 신물질 연 구
•고품위 희유금속 퇴적 지 선별 및 친환경/최 적 추출기술 연구
성과지표
-생물군별 분석 지침 서(1건)
-생물종 확보(100점) -지구물리자료 획득
및 /해석도 (1건) -지구조별 암석/퇴적
물 시료 획득 (10점 이상)
-품위자료 DB (1건)
-생물시료 확보 100 점)
-지구물리자료 획득 및 /해석도 (1건) -지구조별 암석/퇴적
물 시료 획득 (10점 이상)
-품위 분포도 (1건)
-생물시료 확보(100 점) 및 형태적/유전 적 종분류, 정보 DB 화 (1건)
-지구조별 희유금속 광역 품위 분포도 (1건)
-공해상 종다양성 및 주요 생물종 유전적 연결성 분석 (논문 4 편)
-광역간 희유금속 자 원 잠재성 비교 평 가 (1건)
-심해 생물 극한 기능 유전자 및 신물질 분 석 (2건)
-고품위 퇴적지 선별 및 추출개념 기술 도출 (1건)
제 1 절 정책적 타당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