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2. 국내외 연구개발 동향

2.4. 향후 전망

2.4.1. 국내․외 시장 현황

- 2007년 기준으로 국내 풍력발전 누적규모는 193MW이며, 풍력에 의한 전기생산량은 399GWh이었음. 이는 전체 전력수요량의 0.1%에 해당하는 수준에 불과하지만 정부는 향 후 2012년 까지 풍력발전 규모를 2,250MW로 키우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국내 풍력발전 시장은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확대될 전망임.(하나금융경영연구소, 2009, 산업연 구시리즈)

- 국내에 기 설치된 풍력발전기의 대부분은 해외 업체의 제품이며, 이는 발전기와 타워 등 의 요소부품들은 어느 정도의 기술력을 확보하였지만, 아직도 블레이드나 제어시스템에 관한 기술은 선진 외국에 비해 뒤떨어져 있는 실정으로 국내 고유모델 개발의 초기단계이 기 때문임. (신재생 에너지 백서, 2008)

- 2008년 9월 기준 국내 풍력발전 단지는 공사 중인 곳을 포함하여 약 278 MW인 것으로 알 려져 있으며, 이 통계가 과거 보고서와 일관성을 유지한다면, 2007년 이후 약 85MW가 설 치된 것으로 추정됨.(하나금융경영연구소, 2009, 산업연구시리즈)

- 2009년 세계 연간 풍력발전 시장은 2008년 대비 41.5% 성장하였으며, 38 GW 이상의 새로 운 풍력발전 설비가 설치됨. 총 풍력발전 용량 158.5 GW에 달함.

- 풍력에너지는 현재 국제 에너지 시장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2009년 터빈 설치 시장은 약 450 억 유로 또는 630 억 US$ 가치이며 약 50만 명의 사람들이 풍력 발전 산업에서 종사하고 있음

- 2002~2007년의 5년간 풍력시장의 동향을 살펴보면 연평균 24%(누적설치용량대비)의 고성 장률을 나타내었으며, 연간 설치 용량 대비 연평균 성장률은 22.3%로 높은 성장률을 보였 음

- 풍력시장은 소규모에서 대규모로 넘어가는 추세로 풍력발전단지도 처음에는 소규모로 추 진되었으나 점차 100MW단위로 대형화되고 있음. 풍력발전시스템도 마찬가지로 초기 시 장에서는 1MW급 이하 제품밖에 없었으나 이후 기술이 발전하면서 multi-MW급 제품들 이 시장에 보편화 되고 있음. 이에 따라 해상풍력이 급격하게 발전하고 있는 추세로 유럽

에서는 이미 대단위의 해상풍력단지가 몇 년 전부터 운용되고 있음.

- 2009년 유럽에 설치된 풍력발전용량은 총 10,526 MW임. 그 중 10,163 MW가 유럽연합 국 가에서 설치함. 유럽연합 내 풍력발전 시장규모는 2008년 대비 23% 증가함. 유럽연합국가 설치 용량 중 9581 MW가 지상에, 582 MW가 해상에 설치됨. 2009년 지상 풍력발전 시장 은 전년 대비 21%, 해상 풍력발전 시장은 56% 성장함.

그림 19. 세계 해상풍력 설치 예상 규모

- 2009년 유럽연합의 풍력발전단지 설비 투자비용은 130억 유로이며, 그 중 육상 풍력발전 단지 설비투자는 115억 유로이고, 해상 풍력발전단지 설비에는 15억 유로가 투자됨

그림 20. 해상풍력 시장 주요업체 현황 (GW)

그림 21. 국내의 해상풍력발전단지 추진 현황

- 한편, IEA Energy Technology Perspectives 2008에서는 2050년까지 세계 풍력 전체 설치 용량을 2,016 GW로 예상하고 있음. 이는 USD 3.2trillion의 총 투자비가 소요되는 것이며,

향후 40년 동안 매년 47 GW 규모가 설치되고, 매년 USD 81bn(약 100조원)의 시장규모임. 이 가운데 해상풍력은 최대 650~700 GW 규모로 추정하고 있어, 향후 약 40년동안 년간 67조의 시장규모임.

- 2010년 11월 지식경제부는 2019년까지 서해 남부 해역에 2.5 GW의 해상풍력단지를 개발 할 계획을 발표하였음.

- 설비규모 500MW 이상의 발전사업자에게 2012년까지 2%, 2022년까지는 10%의 신재생에 너지 의무공급을 강제하는 신재생에너지의무공급제도(RPS)가 실시됨에 따라 신재생에너 지 중 공급가능량이 가장 풍부한 해상풍력을 수 GW 수준으로 개발해야할 필요성이 대두 되고 있음.

2.4.2. 국내․외 주요 수요처 현황

- 본 개발 기술의 수요처는 최종적으로 해상풍력 발전 단지를 시공하는 종합건설사와 구조 체의 설계를 하는 전문 설계사가 될 것임. 본 연구에서 결과물은 “신형식의 해상풍력 발 전 시스템의 구성과 이를 위한 신형식 지지구조물인 복합타워와 신형식 하부기초 및 신뢰 성 설계기준”이며, 토목 구조물의 특성 상 공장에서 제품이 생산되는 것이 아니고, 해석 및 설계 기술, 시공 기술이 그 개발 결과물 임.

수요처 국명 수요량3) 관련제품4)

한수원 대한민국 3.3GW 해상풍력단지

6개 발전사 대한민국 3.3GW * 6 해상풍력단지

국외 전력사 다수 16.8GW 해상풍력단지

표 5. 국내․외 주요 수요처

3) 2030년 신재생에너지 비율 11.5% 달성(제1차 국기본)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개발 필요량(46.5GW) 중 해상풍력이 50%를 담 당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RPS 대상 기관의 개발 필요량(46.5GW*50%÷7개 발전사=3.3GW). 국외 전력사 수요는 해상풍력단 지 수출 가능량으로서 “2014년부터 2021년까지 전세계 해상풍력 신규시장(GW)*시장점유율예상치(3~12%)”로 계산.

Ⅱ 해상풍력 타워구조 연구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