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한, SILP 흡착제에 대해 기대한 효과는 용존 유기물이 존재하는 환 경에 대한 저항성을 갖는 새로운 흡착제를 제작하는 것이었다. 이는 용 존 유기물의 농도에 따른 각 흡착제의 흡착능 저하 정도를 비교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흡착실험 결과는 그림 20과 같다.
그림 20. 증류수 환경에서 GAC 및 SILP 흡착제의 GenX 흡착 제거율 증류수 환경에서 결과를 보면, 우선 이온성 액체의 종류에 따라서는 전체적으로 SILP (C2)가 SILP (C6)보다 흡착 제거율이 더 높았다. 그중 에서도 담지율이 3%인 SILP (C2)는 표면적은 GAC보다 약 10.4% 감소 했으나 흡착 제거율은 근소하게 더 높게 나타났기에 담지된 이온성 액체 가 GenX 제거 효율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음을 확인했다. 하 지만 이온성 액체의 담지율이 증가함에 따라 흡착 제거율은 감소했는데, 이는 이온성 액체의 효과보다 SILP 흡착제의 표면적 감소에 따른 저해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SILP (C2)에서 목표 담
지율이 20%에 도달하면서 흡착 제거율이 급격하게 감소했는데 이는 SILP 흡착제가 이온성 액체로 포화되면서 표면적도 급격하게 감소하여 발생한 현상으로 예상된다. SILP (C6)에 대해서는 담지율이 5.7% 이상 인 경우부터 흡착 제거율이 눈에 띄게 감소했으나, 그 이후로의 변화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증류수 환경에서의 흡착실험 결과를 종합하면, 대체로 이온성 액체의 담지율이 증가함에 따라 흡착 제거율이 감소됐으나, 이온성 액체 의 종류에 따라서 흡착 제거율이 감소하는 시점 및 감소폭은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용존 유기물이 존재하는 환경(DOC=10 ppm)에서 GAC 및 SILP 흡착 제에 대해서 GenX 흡착실험을 진행한 결과는 그림 21과 같다.
그림 21. 용존 유기물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GAC 및 SILP 흡착제의 GenX 흡착 제거율
결과를 보면, 전체적으로 SILP 흡착제의 GenX 흡착 제거율이 GAC의
흡착 제거율에 미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이는 COSMO-RS를 통해 예 측할 때 예상했던 분배계수에 비해서 실제 이온성 액체가 70에서 700배 더 낮은 값을 가지면서, 기존에 SILP 흡착제에 기대했던 효과가 나타나 지 못한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이온성 액체의 담지율이 증가함에 따른 흡착 제거율의 경향은 이온성 액체에 다르게 나타났다. 우선 이온성 액체 종류에 따른 흡착능 은 증류수에서의 결과와는 다르게 대체로 SILP (C6)가 SILP (C2)보다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SILP (C2)에서는 이온성 액체의 담지 율이 증가함에 따라 흡착 제거율 또한 감소했다. 이는 증류수 환경에서 의 실험 결과와 동일하게 이온성 액체의 효과가 활성탄의 표면적 감소 효과보다 낮아 발생하는 현상으로 판단된다. 반면에, SILP (C6)에서는 이온성 액체의 담지율이 증가함에 따라 목표 담지율 15%(실제 담지율 약 7.7%)까지는 오히려 흡착 제거율이 증가하다 목표 담지율 20%(실제 담지율 약 15.8%)에서 다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HMIM][Tf2n]가 담지됨에 따라 어느 정도까지는 용존 유기물에 대한 저 항성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