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2009년 5월

Dalam dokumen 시 보 선 (Halaman 123-159)

인 천 광 역 시

인천광역시 도로 조명시설의 설치 및 관리에 관한 규정

〔 제정 2002. 1. 21 훈령 제982호〕

〔전부개정 2009. 5. 훈령 제 호〕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이 규정은 인천광역시 도로 조명시설의 효율적 운영을 위하여『도시 계획시설의 결정․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제12조 제1항 제6호에 따른 도로 조명시설의 설치 및 관리에 관한 기준을 정함에 목적이 있다.

제2조(정의) 이 규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 각호와 같다.

1. “도로조명시설”이라 함은 일반의 교통에 공용되는 도로 및 광장의 효용적 기 능을 보완하고, 이를 이용하는 통행자의 안전과 편의를 도모하며, 밝고 건전한 도시환경 조성을 위해 설치하는 모든 조명시설을 말하며, 터널등, 지하차ㆍ보도 등, 육교등, 보행등을 포함한다.

2. “가로등”이라 함은 자동차 전용도로와 노폭 12m이상 도로로서 보도가 조성

되고 차도가 2차로 이상인 도로에 설치된 도로조명시설을 말한다.

3. “터널등”이라 함은 터널내에 시설하는 도로조명시설을 말한다.

4. “지하차ㆍ보도등”이라 함은 지하차도, 지하보도 겸 차도 또는 지하보도에 시

설하는 조명등을 말한다.

5. “육교등”이라 함은 보도육교에 대한 이용자의 편리와 경관을 증대 할 목적으 로 설치하는 조명등을 말한다.

6. “보행등”이라 함은 도로의 보도 상에 보행자의 편리 및 야간자전거 이용자의 안전과 지역의 특수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설치하는 조명등을 말한다.

7. “보안등”이라 함은 노폭 12m 미만의 도로에 조명을 목적으로 설치하는 조명

등을 말한다.

8. “방범등”이라 함은 노폭 4m 미만의 도로에 범죄예방을 목적으로 방범위원회

(각 파출소) 또는 주민이 직접부담으로 설치하는 조명등을 말한다.

9. “연속조명”이라 함은 도로에 연속적으로 일정간격의 조명기구를 배치하여 조 명하는 것을 말한다.

10. “국부조명”이라 함은 교차로, 횡단보도, 교량, 버스정류장, 주차장, 휴게시설

등의 보강이 필요한 지점에 국부적으로 조명하는 것을 말한다.

11. “노면휘도” 라 함은 운전자의 눈의 위치에서 본 전방 60m에서 160m까지 범

위의 차도폭내 휘도를 말하며 단위는 cd/㎡를 사용한다.

12. “노면조도”라 함은 노면이 광원의 빛으로 조사되는 정도를 의미하며, 입사되

는 광속을 노면의 면적으로 나눈 값을 말하며, 단위는 lx를 사용한다.

13. “컷오프형”이라 함은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 대하여 눈부심을 주지 않도 록 빛의 범위를 제한하는 등기구 형식을 말한다.

14. “세미컷오프형”이라 함은 컷오프형보다 눈부심을 완화시켜 빛의 범위를 제한 하는 등기구 형식을 말한다.

15. “오버행”이라 함은 광원의 중심과 차도 경계선과의 수평거리를 말한다.

16. “경사각도”라 함은 조명기구를 등주에 설치하는 수평기준의 경사각을 말한 다.

17. “조명기구배열”이라 함은 도로에 조명기구를 배열하는 방법으로서 한쪽배열, 지그재그배열, 마주보기배열, 중앙배열을 말한다.

18. “조명기구의 배치”라 함은 조명기구의 설치높이, 오버행, 경사각도 및 등주

간격을 결정하여 가로등주를 도로에 배치하는 것을 말한다.

19. “폴조명방식”이라 함은 등주에 등기구를 설치하여 조명하는 것을 말한다.

20. “하이마스트조명방식”이라 함은 높은 등주에 다수의 조명기구를 설치하여 조 명하는 것을 말한다.

21. “카티나리조명방식”이라 함은 지지물에 조가선을 시설하고 등기구를 조가선 에 설치하여 조명하는 것을 말한다.

제3조(적용 및 사무구분) 이 규정은 인천광역시(이하 “시”라 한다.) 행정구역 내의 모든 도로 조명시설에 적용하며, 설치 및 관리에 따른 관할사무의 범위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시(도로과)

가. 가로등에 관한 종합계획수립 및 조정

나. 경제자유구역청, 종합건설본부 및 군․구의 도로 조명시설 관련업무 지도 감독

다. 다른 법에 의해 시행하는 타 기관(토지공사, 주택공사 등)이 사업주체가 되어 시행하는 사업지구 도로 조명시설의 업무협의

2. 경제자유구역청(경제자유구역내 모든 도로)

가. 경제자유구역내의 조명시설에 관한 종합계획 수립

나. 신설 또는 확장되는 도로 조명시설의 계획․설계 및 시공, 개․보수공사 다. 가로등 제어신호기에 의한 점․소등 관련업무

라. 도로 조명시설의 유지관리 및 책임운영 3. 종합건설본부

가. 신설 또는 확장되는 20m 초과 도로 조명시설의 계획ㆍ설계 및 시공 나. 가로등제어신호기에 의한 점․소등 관련업무

다. 군․구 도로 조명시설 외의 설계 및 시공

4. 군ㆍ구

가. 행정구역내 도로 조명시설의 개․보수공사

나. 신설 확장하는 20m 이하 도로 조명시설의 계획ㆍ설계 및 시공 다. 가로등제어신호기에 의한 점․소등 관련업무

라. 행정구역내 도로 조명시설의 유지관리 및 책임운영

제4조(비용부담) 도로 조명시설의 설치(신설 및 교체) 및 유지관리에 따른 비용은 제3조의 사무구분에 의하여 부담하고,「가로등 중․장기 정비계획 및 미관가로 등 조성계획」사업에 대해서는 시에서 일부 지원할 수 있다.

제5조(이관) 사업 시행자(시 사업소 및 투자기관과 기타 다른 법령에 의한 사업 시행자 포함)가 시행한 도로 조명시설은 한국전기안전공사(안전관리대행업체 포 함)의 안전검사를 필하여 준공하고 관할 군․구에 사무인수․인계를 한다.

제6조(유지관리예산편성기준) 도로 조명시설의 정비 및 보수에 따르는 예산편성 기준은 별표1과 같다.

제2장 도로 조명시설

제7조(시설계획) 도로 조명시설은 도로의 종류, 기능, 구조에 따라 통행량, 차량속 도, 주변환경, 기상조건, 전원공급조건, 토지이용조건과 다른 시설물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노면휘도, 광원의 눈부심, 유도성 등을 고려하여 주변환경에 맞게 경제적인 시설 및 유지관리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제8조(조명도의 기준) ①도로의 종류 및 교통의 상황에 따른 도로조명의 등급은 별표2와 같다.

②조명의 대상이 주로 운전자가 주체인 도로조명의 휘도기준은 별표3과 같다.

③조명의 대상이 주로 보행자가 주체인 도로조명의 조도기준은 별표4와 같다.

④조명의 대상이 차량과 보행자가 혼합되는 도로조명의 조도기준은 별표4의 교통량 많은 도로를 적용한다.

⑤국부조명이 필요한 교차로(T자로, +자로, Y자로, 입체교차로), 횡단보도, 교량, 도로의 선형이 급변하는 장소, 철도건널목, 버스정거장 등에는 필요한 조도를 보강하여야 한다.

⑥터널 및 지하차도의 조도는 KS A 3703, 횡단보도의 조도는 KS A 3702, 통 로․광장․공원․주차장 및 휴게시설의 조도는 KS A 3011을 준한다.

제9조(조명방식) 도로조명의 조명방식은 폴 조명방식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도로 의 구조, 교통상황 등에 따라 하이마스트 조명방식, 구조물설치 조명방식, 카티 나리 조명방식 등 어느 하나의 방식을 사용하거나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10조(광원) ①광원은 도로의 종류 및 조명기구에 적합한 것으로 하되 수명․효 율․광색․연색성․기후․환경․경제성․에너지절약성 등을 고려해서 선정한다.

②터널과 지하차도 광원은 제1항외에 재 점등시간을 고려하여 선정한다.

제11조(등기구) ①등기구는 KS C 7611(도로조명기구) 규정을 준용하며, 도로의 종 류, 주변조건을 고려해서 선정한다.

②주택가에 시설하는 등기구는 주변 주거생활에 피해가 없도록 차광구조의 기 구를 사용한다.

제12조(조명기구설치) 도로의 조명기구 설치는 다음과 같다.

①가로등

1.조명기구의 설치 높이는 원칙적으로 10미터 이상으로 한다. 다만, 도로구조

및 다른 구조물과의 위치 관계, 다른 도로에 대한 눈부심 방지 등 조명효과를 유지하기 위하여 제한할 필요가 있는 경우와 공항 부근 등 법령 등에 따라 제 한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제한에 따르지 아니한다. 이 경우 노폭이 동일하고 연 결되는 도로의 조명기구의 설치 높이(H)는 일정하게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조명기구의 배열은 도로의 단면 구조, 차도부분 노폭(W), 조명기구의 배광

등에 따라 한쪽 배열, 지그재그 배열, 마주보기 배열 중에서 적당한 것으로 한 다. 이 경우 도로의 단면 구조 및 차도부분 노폭(W)에 따라서는 이들을 조합할 수 있다.

3.조명기구의 오버행(Oh)은 가능한 한 짧게 하여야 한다. 다만, 도로를 따라 도

로조명의 빛을 차단하는 수목이 있는 경우에는 이 제한에 따르지 아니한다. 이 경우 연속되는 도로의 조명 시설에서 오버행(Oh)은 일정하게 하는 것을 원칙으 로 한다.

4.조명기구의 경사각도(θ)는 원칙적으로 0도 이상 5도 이하로 한다.

5.조명기구의 간격(S)은 그 설치 높이(H), 배열에 따라 별표3에 의한 종합균제 도(Uo) 및 차선 축 균제도(Ul)의 기준을 만족하는 것이어야 한다.

②보안등

1.보안등은 4m 이상 도로 폭의 1.0배 이상 높이에 설치한다.

단, 2차선으로 차량이 통행 할 경우에는 제1항 규정을 준용한다.

2.보안등은 높이의 5배 이하 간격으로 한쪽배열 설치를 한다.

3.다른 시설물(한전전주 등)을 이용하여 보안등을 설치하는 경우는 1호 및

2호에 의하지 아니할 수 있다.

4.노폭 4미터 미만 도로로써 통행량이 많은 경우에는 보안등을 설치할 수 있다.

③보행등 : 자전거도로 또는 보도에는 보행자 안전을 위해 필요한 장소에 보행 등 설치여건을 고려해서 4m 이상 높이에 제8조제3항 보도의 조도기준에 준하 여 설치한다.

④육교등 : 육교등은 육교 구조물과 조화를 고려해서 제8조제3항 보도의 조도 기준에 준하여 설치한다.

제13조(안전시설) 도로 조명시설의 제어 및 보호회로 구성은 다음에 의한다.

①제어장치 : 무선원격감시제어장치(또는 종합건설본부에서 송신하는 가로등제 어 신호기)에 의하여 점․소등 제어하게 설치한다. 다만, 수신이 불가능한 지역 은 시간설정에 의한다.

②격등운영 : 도로조명은 차량통행이 많은 야간 24:00까지 점등하는 격등과 일 몰후부터 일출전 시간까지 점등하는 상시등으로 구분하여 제어하게 설치한다.

③지하차도 및 터널조명은 상시등(주, 야간점등), 비상등(주, 야간점등 및 비상전 원점등), 주간등(주간점등)으로 구분하여 제어하게 설치한다.

④보호장치 : 도로조명시설의 보호장치는 다음 각목과 같이 한다.

1.정격감도전류 30mA 최소0.03초 이내 동작의 지락차단장치를 분전함에 설치

하여 부하회로의 누전 및 감전을 예방한다.

2.분전함 및 가로등주는 각각 제3종 접지를 하고, 각각의 접지를 연결하여 연

접지회로를 설치한다.(상습 침수지역의 가로등주와 안정기는 2중 절연이 가능하 도록 설치한다)

제14조(시공기준) ①제어함 및 안정기는 지상 1m 이상 높이에 설치한다.(다만, 침 수우려가 없는 지형의 경우 설치높이를 1m이하로 할 수 있다.)

②지중전선관(PE)은 보, 차도 경계선에서 1m 이격 거리에 지표면에서

0.6m(차도부분은 1.2m)이상 깊이로 매설한다.

③등주의 기초공사 시공기준은 다음 각 호와 같다.

Dalam dokumen 시 보 선 (Halaman 123-159)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