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g.3-16.Benzo[a]pyrene-induced differentialOjaMT mRNA expression in liver. Fishes were exposed to Benzo[a]pyreneat four different concentrationsfor24 h.Transcriptlevels ofOjaMT wereevaluated by real-timequantitativePCR and areexpressed relativetoβ-actin levels. Each histogram represents the mean transcriptlevelofOjaMT relative toβ-actin±SD.(n=5),Y axis=foldinduction.
0 1 2 3 4 5
0 1 10 100
Concentration (ppb)
Fig.3-17.Arochlor1260-induced differentialOjaMT mRNA expression in liver.FisheswereexposedtoArochlor1260atthreedifferentconcentrations for 24 h. Transcript levels of OjaMT were evaluated by real-time quantitative PCR and are expressed relative to β-actin levels. Each histogram representsthemeantranscriptlevelofOjaMT relativetoβ-actin
±SD.(n=5),Y axis=foldinduction.
(4)고찰
17β-estradiol(E2)은 여성 호르몬으로서,자연에서 검출되며,다른 인간 활동 유래 화학물질에 비해 에스트로겐 효과가 매우 높다.이는 E2가 어류 등의 수생생물 중 특히 수컷의 내분비계를 교란하는 것을 의미한다.내분비장애물질에 노출되었을 경 우,유럽넙치의 수컷에서 높은 농도의 VTG가 검출되는 것이 확인된 바 있고(Allenet al.,1999),비슷한 결과가 일본의 토쿄만에서도 관찰되었다(Hashimotoetal.,1999). 다환방향족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PAHs)는 화석연료의 연소 또는 산업활동에 의하여 생성되는 오염물질로서,많은 양의 다환방향족탄화수소가 공업화된 지역의 담수 및 해양 침전물에서 전 세계적으로 검출되고 있다.다환방향 족탄화수소는 부유물질에 흡착하고 수계 바닥으로 침전되어 저질토에 축적되며,고 농도의 다환방향족탄화수소는 저서생물의 돌연변이를 유발하거나 사멸시키는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벤조파이렌(Benzo[a]pyrene)은 다환방향족탄화수소의 일종으로 유 기물이 연소하거나 열 분해시 생성된다.즉,탄화수소,아미노산,전분 또는 지방산
질 발암등급분류(IARC)에서 발암물질로 분류하고 있다.상온에서 노란색 결정의 고 체형태를 띄고 있으며,석탄타르 속에 존재하고 그 밖에 자동차의 배기가스,담배 연기,쓰레기 소각가스,훈제식품 등에 매우 미량이 함유되어 있다.
폴리염화바이페닐(Polychlorinated biphenyls,PCBs)은 지속성 유기오염물질로 분류 되며,최근 환경오염에 특히 문제시되는 화학물질이다.PCBs는 콘덴서나 변압기의 절연제,페인트,접착제,그리고 살충제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이들의 화학적 그 리고 물리적 안정성 때문에 여러 나라에서 1970년대에 그 사용이 금지되었다.그럼 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모든 환경에서 발견되고,매우 강한 생물축적 경향을 보인다.
PCBs에 대한 노출은 면역계 이상,간 및 호흡기계의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속성 유기오염물질로 분류되는 세 종류의 화학물질에 대한 OjaMT유전자의 발현변화를 양상을 파악해 보았다.결론적으로 OjaMT는 각 오염 물질 노출에 대해 뚜렷한 발현 변화 양상을 보여주지 않는 것으로 파악된다.
바.담수와 해수조건에서 중금속 노출에 의한 OjaMT유전자의 발현 변화
(1)Cu 노출 결과 및 고찰
담수와 해수 조건에서의 Cu 노출에 따른 송사리에서의 OjaMT유전자 발현변화를 분석하였다.노출시간은 24시간이었고,각 그룹별 5마리를 노출하였다.노출농도는 해수와 담수 각각 10,100ppb로 하였고,간을 적출하여 RNA를 추출하고,노출되지 않은 대조군을 이용하여 상대적인 발현변화를 정량화하였다(Fig.3-18).대조군에 비하여 해수에서는 10ppb에서 약 2배 그리고 100ppb에서 약 3배의 발현량 증가 를 보였으나 담수에서는 10ppb에서 약 23배로 급격하게 증가하였다가 100ppb에 서는 대조군의 수준으로 발현이 감소되었다.중금속중 Cu나 Zn의 경우 매우 민감하 게 OjaMT유전자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이미 여러 다른 실험에서도 관찰된 바 있다.그와 비슷하게 해수에서의 Cu노출은 담수보다는 덜 급격한 MT유전자의 발현 증가가 관찰되었다.담수의 경우 10ppb에서 급격한 증가를 보인 것은 MT발 현을 촉진시키는 전사조절인자나 그 이외의 OjaMT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인자들을
것은 어느 수준이상의 Cu노출은 OjaMT유전자 뿐 아니라 다른 신호전달에 영향을 미쳐 오히려 그 발현을 방해하거나 억제하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