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Conclusion

Dalam dokumen Bo-Kyung Kim (Halaman 45-50)

32

33

6. Reference

[1] Liu, L., et al. (2020). Percolative polymer composites for dielectric capacitors: a brief history, materials, and multilayer interface design.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A 8(36): 18515-18537.

[2] Randall, C. A., Newnham, R. E., & Cross, L. E. (2004). History of the first ferroelectric oxide, BaTiO3. Materials Research Institute,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University Park, Pa, USA, 1.

[3] Lee, J.-H., et al. (2022). Suppression of high-temperature dielectric loss by designed thermal annealing treatment in (Bi1/2Na1/2)TiO3 ceramics. Journal of the European Ceramic Society 42(4): 1388-1395.

[4] Park, K. J., Kim, C. H., Kim, Y. T., & Hur, K. H. (2009). The Doping Effects of Intermediate Rare-earth Ions (Dy, Y and Ho) on BaTiO 3 Ceramics.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46(2), 181-188.

[5] Tsur, Y., Hitomi, A., Scrymgeour, I., & Randall, C. A. (2001). Site occupancy of rare-earth cations in BaTiO3. Japanese Journal of Applied Physics, 40(1R), 255.

[6] Kim, H. P., Kang, W. S., Hong, C. H., Lee, G. J., Choi, G., Ryu, J., & Jo, W. (2020).

Piezoelectrics. In Advanced Ceramics for Energy Conversion and Storage (pp. 157-206).

Elsevier.

[7] Lines, M. E., & Glass, A. M. (2001). Principles and applications of ferroelectrics and related materials. Oxford university press.

[8] Damjanovic, D. (1998). Ferroelectric, dielectric and piezoelectric properties of ferroelectric thin films and ceramics. Reports on Progress in Physics, 61(9), 1267.

[9] Kremer, F., & Schönhals, A. (Eds.). (2002). Broadband dielectric spectroscopy.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0] Yamada, Y. (2022). Dielectric Properties of Textile Materials: Analytical Approximations and Experimental Measurements—A Review. Textiles 2(1): 50-80.

[11] Merz, W. J. (1949). The Electric and Optical Behavior of BaTiO3 Single-Domain Crystals. Physical Review, 76(8), 1221.

[12] Gong, H., Wang, X., Zhang, S., & Li, L. (2016). Synergistic effect of rare-earth elements on the dielectric properties and reliability of BaTiO3-based ceramics for multilayer ceramic

capacitors. Materials Research Bulletin, 73, 233-239.

[13] Tsur, Y., Dunbar, T. D., & Randall, C. A. (2001). Crystal and defect chemistry of rare earth cations in BaTiO3. Journal of electroceramics, 7(1), 25-34.

34

[14] Zhang, J., Hou, Y., Zheng, M., Jia, W., Zhu, M., & Yan, H. (2016). The occupation behavior of Y2O3 and its effect on the microstructure and electric properties in X7R dielectrics. Journal of the American Ceramic Society, 99(4), 1375-1382.

[15] Nakano, Y. (1993). Microstructure and related phenomena of multilayer ceramic capacitors with Ni-electrode. Ceramic Transactions, 32, 119-128.

[16] Zhang, K., Li, L., Wang, M., Luo, W., & Wang, W. (2021). The self-compensation mechanism in barium titanate ceramics with colossal permittivity. Journal of Alloys and Compounds, 851, 156856.

[17] Pu, Y., Chen, W., Chen, S., & Langhammer, H. T. (2005). Microstructure and dielectric properties of dysprosium-doped barium titanate ceramics. Cerâmica, 51, 214-218.

[18] Yoo, Y. S., Kim, H., & Kim, D. Y. (1997). Effect of SiO2 and TiO2 addition on the exaggerated grain growth of BaTiO3. Journal of the European Ceramic society, 17(6), 805-811.

[19] Zych, Ł., Wajler, A., & Kwapiszewska, A. (2016). Sintering Behaviour of Fine Barium Titanate (BaTiO 3) Powders Consolidated with the Pressure Filtration Method. Journal of Ceramic Science and Technology, 7(3), 277-287.

[20] Chen, W., Hao, H., Yang, Y., Chen, C., Appiah, M., Yao, Z., ... & Liu, H. (2017). Dielectric properties and impedance analysis of BaTiO3-based ceramics with core-shell structure. Ceramics International, 43(11), 8449-8458.

[21] Sun, Y., Liu, H., Hao, H., & Zhang, S. (2016). Effect of oxygen vacancy on electrical property of acceptor doped BaTiO3–Na0. 5Bi0. 5TiO3–Nb2O5 X8R systems. Journal of the American Ceramic Society, 99(9), 3067-3073.

35

Acknowledgment

지난 2 년의 학위과정 동안 깊고 높으신 학식을 바탕으로 헌신적인 지도를 아끼지 않으셨던 조욱 교수님, 존경합니다. 연구 진행이 원활하지 않을 때 늘 격려해주시고 지지해주신 자상한 모습, 그리고 가끔은 애정 어린 조언으로 부족한 저를 일깨워 주고 이끌어 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또한 바쁘신 와중에도 논문심사를 맡아주신 손재성 교수님 그리고 차채녕 교수님께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논문에 대한 유익한 말씀과 조언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늘 옆에서 많은 도움을 줬던 강호 오빠, 건주 오빠, 영진 오빠, 원희 선생님 감사합니다.

마르지 않는 간 zi 를 가진 뇌섹남 황필 오빠. 아무것도 모르던 저를 도 닦는 마음으로 돌봐준 츤데레 우석 오빠. 사회력, 인성, 지성 모든 걸 다 가진 재현 오빠. 따뜻하고 포근한 마음을 가진 혜림 언니. 연애를 위해 항상 노력하지만 성과가 없는 옆자리 신사 준용 오빠, 이번에는 꼭 성공하길 바래. 중요한 건 꺾이지 않는 마음! 삼대 오백 1 등을 향해 달려가봐요, 우진 오빠. 부처 같은 멘탈을 가진 지훈 오빠. 고맙고 미안한 우리 귀여운 누리. 대학원 오고 더 멋있어진 정우 오빠, 박사 따면 연예인 하겠어요. 더 친해지지 못해서 아쉬운 민서 언니. 다들 감사합니다. 그리고 많이 부족한 저를 이끌어주고 때로는 친한 언니로서 인생의 조언도 건내 준 사수 주현 언니, 언니 덕분에 성장할 수 있었고, 또 행복한 대학원 생활 할 수 있었어요! 교수님 다음으로 존경하고 너무 감사해요.

나의 20 대 반 이상을 함께 보내준 은영이, 즐겁고 힘들고 행복한 시간들 함께 보내줘서 고마워. 돈 없는 대학원생에게 망설임 없이 베풀어준 김가연 정말 고맙다!

해운대 암소 갈비 flex 해줄게. 나의 정신적 지주이자 반쪽 상현이, 툴툴대는 나의 모습을

36

불평불만 없이 받아줘서 고마워. 마지막으로 멀리서도 항상 내 편이 되어준 우리 가족들.

감사드리고 사랑합니다.

앞으로 사회에 나가서, 현재에 안주하지 않고 꾸준히 성장해 나가는 자랑스러운 SFC 졸업생이 되겠습니다.

2022.12.05 -김보경 올림-

Dalam dokumen Bo-Kyung Kim (Halaman 45-50)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