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제4장

1. E38Ф 배관

Fig. 4-7은 길이 680mm의 E38Ф-A 배관의 내부 전체를 검사하여 waterfall과 3D

surface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①은 Waterfall 그래프로 E38Ф-A 배관검사에 사용된

45개의 센서 신호를 나타낸다. 붉은색 영역은 배관의 용접부에서 나타난 이상신호 이다. ②는 시험편에 형성된 인공균열의 위치를 표시한 3D surface 그래프이다. 0˚

의 위치에는 5mm(A1), 3mm(A5)의 인공균열이 가공되어 있으며, 90˚는 10mm(A2),

8mm(A8), 180˚는 15mm(A3), 6mm(A7), 270˚는 30mm(A4), 4mm(A6) 균열이 위치한다.

또한, 0~40mm 구간과 640~680mm 구간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센서가 배관에 삽입

되거나 배출될 때 에지효과(Edge effect)에 의하여 높은 전자기장의 왜곡이 발생한다.

A4와 A5의 균열 사이에 존재하는 원호방향의 연속된 이상신호는 용접부에서의 전

자기장의 왜곡 신호이다. A8 이후에 나타나는 340mm~550mm 구간의 데이터는 용

접부와 서스펜션의 존재에 의하여 높은 전자기장의 왜곡이 발생한다. ③은 수동으 로 색분포를 조절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높은 전자기장의 신호가 존재할 때 A5 와 같이 작은 균열신호는 확인이 곤란하기에 임의로 색분포를 지정하여 보이지 않 는 균열의 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 ④는 이상신호를 배제하고 결함영역만을 선택하 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따라서 용접부위에 인접하여 작은 균열신호로 나타난 A8을 판별할 수 있다.

46

Fig. 4-7 Experimental results in of the E38Ф–A bleed air duct

Scale: 20mm

47

Fig. 4-8은 길이 685mm의 E38Ф-B 배관의 내부 전체를 검사하여 waterfall과 3D

surface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①은 Waterfall 그래프로 E38Ф-B 배관검사에 사용된

45개의 센서 신호를 나타낸다. 붉은색 영역은 배관의 용접부와 B3균열이 근접하게

위치하여 나타난 부분이다. ②는 시험편에 형성된 인공균열의 위치를 표시한 3D

surface 그래프이다. 0˚의 위치에는 3mm(B1), 6mm(B5), 20mm(B8)의 인공균열이 가공

되어 있으며, 90˚는 5mm(B3), 8mm(B7), 25mm(B9), 180˚는 4mm(B2), 10mm(B4), 270˚는

15mm(B6) 균열이 위치한다. 또한 0~40mm 구간과 640~685mm 구간에서 나타난 바

와 같이 센서가 배관에 삽입되거나 배출될 때 에지효과(Edge effect)에 의하여 높은 전자기장의 왜곡이 발생한다. B3과 B4 균열 사이와 B8과 B9사이에 존재하는 원호 방향의 연속된 이상신호는 용접부에서의 전자기장의 왜곡 신호이다. ③은 수동으로 색분포를 조절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②의 그래프에서 용접부에 의하여 높은 전

자기장의 왜곡 신호가 발생하여 확인이 곤란한 B1, B2의 작은 균열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 ④는 이상신호를 배제하고 결함영역만을 선택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따

라서 에지효과(Edge effect)로 인하여 식별이 제한적인 균열신호 B1을 판별할 수 있

다.

48

Fig. 4-8 Experimental results in of the E38Ф–B bleed air duct

Scale: 20mm

49

Fig. 4-9는 길이 680mm의 E38Ф-C 배관의 내부 전체를 검사하여 waterfall과 3D

surface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①은 Waterfall 그래프로 E38Ф-C 배관검사에 사용된

45개의 센서 신호를 나타낸다. 붉은색 영역은 배관의 용접부와 C4균열이 근접하게

위치하여 나타난 부분이다. ②는 시험편에 형성된 인공균열의 위치를 표시한 3D

surface 그래프이다. 0˚의 위치에는 3mm(C1), 6mm(C5), 20mm(C8)의 인공균열이 가공

되어 있으며, 90˚는 5mm(C3), 8mm(C7), 25mm(C9), 180˚는 4mm(C2), 10mm(C4), 270˚는

15mm(C6) 균열이 위치한다. 또한 0~40mm 구간과 640~680mm 구간에서 나타난 바

와 같이 센서가 배관에 삽입되거나 배출될 때 에지효과(Edge effect)에 의하여 높은 전자기장의 왜곡이 발생한다. C3과 C4 사이인 180mm~380mm 구간의 원호방향의 연속된 이상신호는 용접부와 서스펜션에 의한 전자기장의 왜곡 신호이다. 또한 C8

과 C9 사이는 용접부에서의 전자기장의 왜곡 신호이다. ③은 수동으로 색분포를

조절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②의 그래프에서 용접부와 서스펜션에 의하여 발생하 는 높은 전자기장의 왜곡으로 확인이 곤란한 C1, C2의 작은 균열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 ④는 이상신호를 배제하고 결함영역만을 선택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따라

서 에지효과(Edge effect)로 인하여 식별이 제한적인 균열신호 C1, C3을 판별할 수

있다.

50

Fig. 4-9 Experimental results in of the E38Ф–C bleed air duct

Scale: 20mm

51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