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중·한 FTA발효 전후 농산물 무역현황

RCA)

4.2 중·한 FTA가 양국농산물 무역에 미치는 영향

4.2.1 중·한 FTA발효 전후 농산물 무역현황

먼저 한국의 농산물 무역구조를 보겠다. 한국 농산물부문에서 가장 중요 시 하는 곡물 이외에 과자류, 기타 농산물 제조류, 설탕류, 면류, 과일류등 5 가지 품목을 선정했다. 먼저 조사한 것은 한국의 주요 농산물 수출액이다.

Table 21 한국의 주요 농산물 수출액 단위: 만 달러

2012 3.216 40.315 68.094 33.680 31.562 22.195

2013 2.979 43.397 69.756 28.914 32.081 23.338

2014 3.215 48.993 83.082 29.836 32.021 25.862

2015 3.478 45.216 81.876 27.348 33.073 25.147

2016 3.328 44.698 94.213 28.212 40.977 30.106

년도 곡류종류 과자류 다른 농산물 당류 면류 과실류

2010 345.501 24.602 64.497 110.320 9.968 94.513 2011 477.294 31.364 116.283 138.809 12.244 121.317 2012 475.533 35.847 102.834 126.077 12.720 141.238 2013 497.061 39.578 108.872 116.631 13.375 149.773 2014 437.455 48.544 123.635 108.207 13.984 167.740 2015 387.209 48.965 130.122 92.648 13.658 173.454 2016 333.227 54.606 146.548 97.709 14.300 176.030 자료: 한국 농수산 식품수출 지원정보

중·한 FTA가 2015년 발효된 전후에 6개 품종의 수출액은 대부분 서서히 증가했고 기타 제조 농산물류는 2010년에 비해 2011년 약 2배 이상 성장했 다. 한국의 농업은 대부분 소규모 농업으로 생산량이 작아 중국과 비교하여 턱없이 부족하다. 한국은 주로 소량의 고품질 상품을 수출하고 일반적으로 국내 생산의 농산물 대부분이 국내에서 소비된다. 생산량 부족 품목은 오히 려 외국산 농산물이다. 중·한 FTA 발효전에 비해 곡물류, 과자류, 설탕류 품종의 수출액은 감소하엿 지만, 기타 농산물류의 수출은 증가하였다.

Table 22 한국의 주요 농산물 수입액 단위: 만 달러

자료: 한국 농수산 식품수출 지원정보

한국 주요 농산물 수입 현황을 이어서 보겠다. Table 21에 나타나듯이 한 국의 곡물류 수입액은 비교적 많다. 수출액과 비교해보면 약 10배 이상의 차이가 난다. 이는 한국의 곡물류 농산물의 해외 의존도가 매우 높다는 것 을 의미한다. 곡물류 이외에 과자류, 기타 제조농산물류, 면류, 과일류 품목 의 수입도 모두 매년 성장했다. 하지만 곡물류와 당류 품종의 수입이 중·

년도 곡류 과자류 기타 농산물 설탕류 면류 과실류

2010 199 4.348 3.351 9.786 3.969 3.003

2011 271 7.624 24.689 14.441 4.173 3.694

2012 234 8.679 5.902 14.825 3.760 4.200

2013 210 9.907 6.091 13.443 4.515 5.129

2014 313 12.300 8.895 11.307 4.669 6.047 2015 285 14.109 10.285 10.045 4.913 8.260 2016 435 12.666 11.147 10.706 8.692 11.023

년도 곡류종류 과자류 다른 농산물 당류 면류 과실류

2010 16.528 4.687 7.846 6.517 6.352 5.365 2011 31.278 6.305 20.522 7.935 8.074 6.545 2012 9.432 6.540 20.874 6.426 8.110 7.335 2013 30.962 6.899 20.853 6.959 8.440 7.562

한 FTA 발효전 보다 2년간 감소하였는데, 이는 한국인의 식습관이 점차 서 양화 되고있기 때문이다. 예를들어 곡물을 주식으로 삼던 식습관이 육류 주 식으로 많이 바뀌고있다. 그래서 곡물류의 수입액이 감소하고 육류의 수입 액이 중·한 FTA 발효후 보다 증가했다.

Table 23 중국의 주요 농산물 수출액 단위: 만 달러

자료: 한국 농수산 식품수출 지원정보

한국과 중국을 비교하기 위해 중국 주요농산물의 품종을 한국과 같게 선 택했다. Table 22을 보자. 중·한 FTA 발효후 한국과 비교해 중국의 곡물류 수출액비중은 한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다. 하지만 전 품종의 수출액은 조 금씩 증가하였다. 이전에 대부분의 한국인들은 중국상품의 안정성을 걱정했 다. 외신 역시 중국에서 생산된 음식의 안전성 문제를 보도하였다. 하지만 중·한 FTA 발효 후 중국정부의 음식과 농산물의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해 결방안을 실시하여 세계시장에서 중국 상품에 대한 인상이 조금씩 좋아지고 있다.

Table 24 중국의 주요 농산물 수입액

단위: 만 달러

2014 20.921 7.290 22.327 6.437 8.669 7.358 2015 17.335 7.331 24.139 5.509 8.634 7.259 2016 16.416 7.781 24.776 7.635 8.863 7.260

년도 1위 2위 3위 4위 5위

2010 일본 중국 미국 홍콩 러시아

188.264 78.736 51.881 24.374 23.569

2011 일본 중국 미국 홍콩 태국

237.422 138.004 59.981 30.552 29.656

2012 일본 중국 미국 베트남 태국

238.901 127.851 66.396 33.844 31.412

2013 일본 중국 미국 베트남 홍콩

자료: 한국 농수산 식품수출 지원정보

중국은 농산물 수입액이 비교적 적다. 이는 중국인이 소비하는 상품이 중 국 국내에서 자급자족이 가능함을 뜻한다. 그리고 일부 품목의 성장 원인은 중국인들이 유기농 상품의 장점을 깨닫고 유기농 농산물과 고품질의 농산물 을 찾기 때문이다. Table 23의 과자류와 기타 제조상품을 보면 알 수 있다.

현재 중국은 환경오염 문제가 아주 심각하다. 특히 중국 국내의 공기오염은 매우 심하여 중국인들은 가족과 스스로의 건강을 위해 국외의 유기농 식품 과 고급 농산물에 대한 수요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