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3.2 수치해석 결과

3.2.1 Headwind 조건

Headwind는 바람이 선수에서 선미 방향으로 향하는 맞바람을 의미한다. NRC는 모형스케일에서 60m/s의 입구 유동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계산은 각각의 RANS 계산을 수행한 뒤, S-A IDDES와

  

SST SAS을 적용한 계산을 진행하였다. 시간 평균화는 자유류가 함정 길이의 약 120배 이상을 이동하는 시간만큼 진행하였다.

아래 그림 14에 S-A IDDES를 이용하여 해석한    평면에서의 순간속력과 시간 평균속력을 나타내었고, 그림 15에

  

SST SAS 난류모델을 적용하여 얻은 순간 속력과 시간 평균속력을 나타내었다. 속력의 범위는 0부터 입구유동인 60m/s로 지 정하였다.

(a)

(b)

그림 14. Headwind 조건에서 S-A IDDES 난류모델을 적용한 수치해석의 속력 (a) 순간속력 (b) 시간 평균속력

(a)

(b)

그림 15. Headwind 조건에서

  

SST SAS 난류모델을 적용한 수치해석의 속력 (a) 순간속력 (b) 시간 평균속력

난류 구조를 확인하기 위해 Q-criterion = 4,000,000/s2을 이용하여 iso-surface를 나 타내었다. Q-criterion은 난류구조를 3차원으로 확인 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이다.

국부적인 전단 변형률 속도(shear strain rate)와 와도(vorticity magnitude) 사이의 균형 을 나타내며, 와도가 변형률 속도보다 큰 영역을 와류로 정의한다.[21] iso-surface의 색은 순간의 속력으로 나타내었다. 그림 16을 통해서 두 case 모두 난류섭동이 발생 하고, 헬리덱 상부로 강한 와류가 흘러가는 것을 볼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

(a)

(b)

그림 16. Headwind 조건의 난류 구조(Q=4,000,000/s2) (a) S-A IDDES (b)

  

SST SAS

두 난류모델의 시간 평균속도를 실험결과[11]와 참고문헌 결과[13]와 비교하여 그

림 17에 나타내었다. 그래프의 y축은 평균 유동속도를 입구유속인 60m/s로 나누어

무차원화 하였다. 그래프의 x축은 형상기준 y축의 좌표를 함정의 폭 방향 길이로 나누어 무차원화 하였다.

(a)

(b)

(c)

그림 17. Headwind 조건의 시간 평균 무차원 속도 그래프 (a) 길이 방향 (b) 폭 방향 (c) 높이 방향

평균 유속의 경우, 실험과 타 참고문헌의 결과와 매우 유사한 결과를 보임을 알 수 있다. 길이 방향 속도인 u, 폭 방향 속도인 v, 높이 방향 속도인 w 모두 동일한 격자에서 두 난류모델이 거의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그림 17의 (a)의 경우, 그래프 의 x축 양단에서 참고문헌보다 실험에 더 가까운 결과를 얻었으며,

  

SST SAS 난류모델을 사용한 경우에는    부근에서 x축 변화에 따른 값의 변화가 컸다.

이는 굴뚝에 의한 효과가 결과에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두 난류모델의 시간 난류강도를 실험결과[11]와 참고문헌 결과[13]와 비교하여 그 림 18에 나타내었다. 유동의 난류강도를 길이 방향, 폭 방향, 높이 방향으로 확인하 였다. 각각 유동의 표준편차를 입구 유동 속도로 나눈 뒤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T

   

Var

× 

(3.2)

(a)

(b)

(c)

그림 18. Headwind 조건의 난류강도 (a) 길이 방향 (b) 폭 방향 (c) 높이 방향

난류강도 역시, 본 연구에서 수행한 두 가지 케이스가 실험과 참고문헌의 결과와 매우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평균속도와 마찬가지로 같은 격자에서 두 난류모델의 결과가 매우 유사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전제척으로

  

SST SAS 난류 모델을 사용한 경우가 S-A IDDES 난류모델을 사용한 경우보다 낮은 난류강도를 보 인다. 그리고 그림 18의 (c)의

  

SST SAS의 결과가 참고문헌 결과와 비슷하게

   부근에서 값이 일정하지 않고 x축 변화에 따라 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난

류강도의 경우, 세 방향 모두에서 참고문헌에 비해 x축 양단의 결과가 실험에 가까 운 값을 보였다.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