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 의: 항 Xa 미분획 헤파린검사 및 항 Xa 저분자 헤파린검사의 의료보험 급여여부에 대하여 회신 : 혈전색전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사용
되 는 미 분획 헤 파린 (UFH, Unfractionated heparin) 및 저분자헤파린 (LMWH, low molecular weight heparin) 의 항 응고작용수준을 측정하는 항 Xa 미분획 헤파린검사와 항 Xa 저분자 헤파 린검사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 동 검사는 헤파린 의 항응고작용 수준을 측정하는 일반적인 검사
인 활성화 부분트롬보플라스틴시간(aPTT) 의 단점을 보완할 수는 있으나 국내 일부 요양기 관 에서만 한정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현 단계에서는 의료보험 급여가 곤란하므로 비급여 대상으로 함을 알려드립니다.
(급여 65720-10184X, 2000. 5. 22.)
질 의: 조혈제(EPO제제) 및 성장호르몬제제의 보험자 부담금 산정기준 변경에 대하여 회신 : 1. ’99. 11. 15.부터 보험의약품 실거래
가 상환제도의 시행과 함께 보험약가를 평균 30.7% 인하하면서 절감되는 재원 일부를 활용 하여 그간 의료보험에서 제외되어 진료비 부담 이 컸던 각종 고가의 약제와 진료용재료를 보험 급여로 인정키로 시민 - 소비자 대표, 근로자 대 표, 의약계 대표 및 공익 대표가 참여하는「의료 보험 약가 및 수가 정상화를 위한 간담회」의 합 의를 거쳐 결정한 바 있습니다.
2. 이에, 그간 보험재정 등의 문제로 보험자가 부담하는 금액의 상한을 정하여 보험급여한 바 있는 조혈제(EPO제제) 및 성장호르몬제제에 대 하여 2000. 7. 1. 진료분부터 보험자가 부담하는 상한금액을 폐지하니 향후 동 제제의 약제비에 대한 보험자 및 환자부담비율에 대하여는 국민 건강보험법령에 따라 적용함을 알려드립니다.
(급여 65720—340호, 2000. 6. 30.)
질 의: 2000. 7.1 일자 수가개정 관련, 간호인력확보수준에 따른 간호인력 등급 산정방법에 대하여 회신 : 1. 입원환자에 대한 간호서비스의 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99. 11. 15.부터「간호인력 확 보수준에 따른 입원료 차등 적용] 제도를 도입 • 운영하고 있으며, 그 결과 많은 수의 병원에서 간 호사를 추가로 확보하여 간호서비스의 질적 개 선이 점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2. 그러나, 종전 간호등급 적용기간이 반기 단 위로 되어 있고 전반기 마지막날을 기준으로 다 음 반기를 적 용함에 따라 기 간중 간호사 수의 변 동이 등급 변화에 반영되지 않는 점 둥이 제도개 선의 필요성으로 제기되어 2000. 7. 1.부터 적용
할「의 료보험 진 료수가및 약제 비 산정 기 준] 개 정 시
「분기 단위로 적용기간을 단축하고 전반기 마지 막날 기준을 전분기 평균을 기준으로 둥급을 산 정」하는 것으로 개선하였습니다.
3. 다만, 2000. 4.~6월은「보건복지부고시 제 2000-14호」가 적용되던 기간임을 감안하여 2000. 3/4분기에 적용할 간호등급은 2000. 전반 기 마지막날을 기준으로 산정하되, 2000. 4/4분 기 에 적용할 간호등급은 2000. 3/4분기 평균(각 월의 15일 기준)으로 적용함을 알려드립니다.
(급여 65720-348호, 2000. 6. 30.)
질 의: 수입혈우병약제의 의료보험 급여기준 변경사항에 대하여 회신 : 급여65720—98호(2000. 1. 31.)로 시달
한 바 있는 수입혈우병약제의 기준약가 및 의료 보험급여 인정기준을 아래와 같이 변경하여 2000. 6. 20. 진료분부터 적용함을 알려드립 니다.
_ 아 래 _ O 기준약가
— 모노클레이트-피 250단위/병 : 162,885원
— 모노클레이트-피 500단위/병 : 323,638원
— 모노클레이트—피 1000단위/병 : 628,924원 O보험급여 인정범위
- 아래 혈우병환자의 본인일부부담금에 관 한 사항은 의료보험요양급여기준(보건복
지부고시) n—3—나一(2)규정에 의하고
• 처음 혈우병약제를 투여받는 환자
• AIDS환자 또는 면역기능이 손상된 환자
• 면역기능이 약한 만 8세이하의 어린이 환자 - 그 이외의 혈우병환자의 본인일부부담 금에 관한 사항은 의료보험요양급여기 준(보건복지부고시) n—3—나-(2) 규 정에 의하되 최고 1IU당 400원(보험자 부담금 320원, 환자 본인부담금 80원)
까지 인정하고, 초과하는 약제비용에 대 하여 는 환자 본인부담으로 처 리 함.
(급여 65720—10242호, 2000. 6. 17.)
질 의: 산전진찰의 건강보험 급여에 따른 산정기준에 대하여 회신 : 1. 의료보험법에서는「질병, 부상, 사망」
등에 대해서만 보험급여를 하도록 규정하고 있 어서 산전진찰 등 예방 진료에 대해서는 보험급 여가 불가능하였으나, 2000. 7. 1. 시행하는 국 민건강보험법에서는「질병 -부상에 대한 예 방 - 진단 • 치료 - 재활과 출산 • 사망 및 건강증 진」에 대하여 보험급여가 가능하도록 확대 규정 하고 있습니 다.
2. 모든 예방 진료에 대한 보험급여의 전면적 확대는 현행 건강보험 재정 여건상 어려움이 많 지만 그동안 보험급여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 되었던「산전진찰」에 대해서는 국민건강보험법 시행과 동시에 보험급여를 실시하게 됨에 따라, 진찰 • 검사 등 현행 보험급여가 되는 의료행 위 • 약제 . 치료재료 등을 산전진찰 목적으로 사 용하였을 때에는 과거에는 일반수가로 산정한
진료비를 전액 가입자 본인이 부담하였으나, 2000. 7. 1.부터는 보험수가로 산정한 진료비의 일부만을 본인이 부담하게 됩니다.
3. 그러나, 초음파검사 또는 유전성 질환 등 태 아의 이상유무를 진단하기 위한 세포 유전학적 검사(양수검사) 등 아직 보험급여가 되지 않는 의료행위에 대해서는 현행과 마찬가지로 일반수 가로 산정한 진료비를 전액 본인이 부담하여야 하며, 또한, 산전진찰이 건강보험 급여대상이 됨 에 따라 종합전문요양기 관에서 요양급여를 받기 위 해서 는「종합전문요양기 관에서 의 요양급여 가 필요하다는 의사 소견이 기 재된 건강진단 • 건강 검진 결과서 또는 요양급여의뢰서」를 건강보험 증과 함께 제출하여야 함을 알려드립니다.
(급여 65720-349호, 2000. 6. 30.) rs-
39
입/무/인/내
의료보험 진료수가 및 약제비 산정기준 주요 개정사항
심사지원실 심사기준부
보건복지부 고시 제2000 - 26호
■ 시행일 : 2000년 7월 1일
제1부 일반원칙
O「nr약가의 산정 및 IV.진료용재료의 산정」
기준을「국민건강보험 법」시행에 따라 별도 고시하여야 하므로 행위 수가기준에서 삭제 O요양기관 종별가산율 산정 예외대상에「퇴
장방지의약품 사용장려비」항목을 신설
「V-2-자.항」
제2부 진료수가(약제비) 기준액 i 및 산정지침 제1장기본진료료
O 의약분업 시행에 따라 환자가족이 대신 방 문하여 진료담당의사와 상담없이 약제만 수 령하는 경우 진찰료의 50% 산정기준(1- 라-(2) 항) 을 삭제
O 원외처방전 발행으로 처방한 주사제를 약국 에서 구입한 후 당일 요양기관에 재내원하 여 투여한 경우 진찰료를 별도 산정할 수 없 도록 명시「산정지침 1-사.항신설」
O 간호인력확보수준에 따른 등급별 입원료 차 등 보상기준 관련
• 일반병상수 및 일반간호사수의 산정방법 변경
현 행 개 정
반기별(6월말, 12월말) 기준 = 직전 분기의 평균
• 별도의 병동으로 구분 운영하지 않는 격 리실, 무균치 료실 등을 일반병상수 산정대 상에 포함 r산정지침 2-마.항」
• 종합전문요양기관이 아닌 요양기관에서
「정신과 폐쇄병동(정신보건법에 의한 정 신보건의료시설에 의한 경우)」을 산정대 상에서 제외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종합 전문요양기관의 기준”에 따라 산정. 다만, 이 경우 폐쇄병동의 병상 입원료는 6등급 을 적용「산정지침 2-바.항 신설」
O「의약품관리료(가-11)」산정 에 있어 처 방 • 조제료나 주사료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약가를 산정하는 경우에는 의약품관리료를 산정할 수 있도록 변경「산정지침 가一11- 가—(3)」
제2장 검사료
O「24시간 지속적 혈압 침상감시(Bed Side BP Monitoring)」를 한 경우「24시간혈압측 정 검사료 : 8,810원」을 산정 토록 명시「나- 654—1-주.2 항신설 J
O 수가 항목 신설
• ADA 검사 (나一272 : 9,460원)
• ACE 검사 (나一273 : 19,930원)
• 조갑주름모세혈관현미경검사 (나-719 : 8,120원)
O 유권해석의 고시화
. DHEA-S(나-364:14,370원) q (별표己 항목에 추가
• CA-15-3 (나-433:14,000원)」“ ° 거
• 유세포분석 법 에 의 한 HLA 교차시 험 T세 포 (나—519—나 : 36,790원) : (별표2)
항목에 추가
• 비디오연속뇌파검사 (나-663 —1 : 153,200원)
• 타각적청력역치검사 (나一690: 40,610원)
• 방사선흡수측정기 방식에 의한 골밀도 검 人} (나一700—다 : 20,210원)
• 객담유도채취 (나—710 : 2,590원)
제3장 영상진단 및 방사선 치료료
O「핵의학영상진단」을 만8세미만 소아에게 실시한경우 소정금액의 10%를 가산「제3 절 주.3항 신설」
제4장 투약 및 처방, 조제료
O 의약분업 시행과 관련, 동일인에게 같은 날 에 원외 처 방전과 원내처 방으로 분할 투여 한 경우 처방 - 조제료 산정기준(산정지침-
(8) 항) 을 삭제
O「처방 • 조제료(라-1)」및「원외처방료
(라-3)」산정기준을 진찰료 산정기준과 동 일하게 개정
현 행 개 정
■허”해하여 전문과목 또는 전 문분야별로 각각 산정 종합전문요양기관 및 종합병 2개이상 진료과목이 설치되 원에서 진료과목을 달리한 . 어 있고 해당과의 전문의가 경우각각산정 ■" 상근하는 경우 각각의 상병
0 의약분업 시행에 따른「원외처방료(라-3)」 상향 조정
= 매 처방당 현행 고시가에 1,020원 인상 내복약 .1 일분: 490원 = 1,510원
• 2일분 : 990원 = 2,010원
• 3일분 ; 1,470원 = 2,490원 등 외용약 또는 주사제 : 720원 = 1,740원 0「일반주사제] 에 대한「주사제 무균조제료
(라-4)」산정기준 마련 (1일당, 1,300원)
「라-4-다.항 신설」
*산정대상 : 만8세미만의 소아 또는 면역 기능이 저하된 환자에 한하여 항생제, 생 물학적제제 등
주.항에 명시한 약제를 수액제와 혼합 조제하는 경우에 산정
0「퇴장방지의약품 사용장려비 (라-5)」항목 신설
= 단, 종별가산율은 적용하지 아니하도록 제1절 일반원칙에 명시
제9장 처치 및 수술료등
<제1절 처치 및 수술료>
0 의약분업 시행에 따라 포괄수가 항목인 “정 관절제술 또는 결찰술 등 4개 항목”에 대하 여「약제비용」을 제외토록 명시 (단, 처방료 는 포괄수가에 포함)
- 정관절제술 또는 결찰술(자—389—1—라)
- 자궁내장치 (자-427)
- 난관결찰술 (자—434)
월경 조절술 (자-445-가.주)
O 유권해석의 고시화
• 중심정맥내 카테타 유치술 (종전 자-165 컷다운방법에 의한 중심정맥 카테타삽입 술 항목)을 재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