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모바일 서비스 제공시 고려사항 3.4.1 IPTV

모바일의 특성을 극대화시킨 모바일 IPTV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단말 네/ 트워크 서비스특성 이용자 등의 이용 환경을 고려한 서비스 기술 개발이 요구/ /

된다 다음. <그림 3-6>은 모바일 IPTV 서비스 제공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내 용으로 이용환경에 대한 특성들을 나타낸 것이다.

모바일 IPTV가 실현되기 위해서는 주파수 확보 문제 기존 서비스와의 경쟁, 력 차별화 전략 그리고 국제표준의 미 제정 등 넘어야 할 산이 많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기존. IPTV 이상의 시장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로 모바일 분야이며 큰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그림

< 3-6> 모바일 IPTV 서비스 고려사항

<Fig. 3-6> Considerations for mobile IPTV Service

우리나라는 3G/4G 분야에 있어서 우수한 이동통신 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므 로 향후 광범위하게 다양화될 모바일, IPTV 단말 및 서비스 시장 선점을 위해 서는 반드시 모바일의 특성을 반영하고 이에 따른 사용자와 콘텐츠 및 서비스, 중심적인 특화된 모바일 IPTV 서비스 기술 및 표준개발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이에 모바일 IPTV 서비스의 성공적 제공을 위해 이종사업자망간 보다 빠른 핸드오버 처리를 위해 단말 및 사용자에 대한 통합인증 방안이 요구되며 더불어 모바일 환경 특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이용자의 네트워크 환경을 고려한 일정 수

준의 QoS/QoE를 유지해 주기 위한 품질정보관리 방안이 연구 개발되어야 한다/ . 다음의 <그림 3-7>은 IEEE NGSON에서 제안하고 있는 미래 네트워크 및 서비스 구조를 보여준다 이처럼 여러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들은 하나의 통합. 망으로 인해 모두 연동을 이루게 되며 서비스 이용 중 이동을 하게 될 경우 사 용자의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적합한 품질의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 을 목표로 네트워크 및 서비스 제공 프레임워크가 발전하고 있다.

그림

< 3-7> NGSON 기반 동적 서비스 구성

<Fig. 3-7> Dynamic service composition based on the NGSON

에서는 미래 네트워크 및 서비스 제공에 있어 단말 및 서비스 ITU-T SG13

이용자의 식별 이종망간 연동 및 이동성을 주요 기능으로 요구하고 있다 특히, .

네트워크 관련 요구사항으로는 자기 조직화 자원 관리 및 이종망간 연동 기능, 을 필요로 한다 여기서 자기조직화는 사용자 위치 및 액세스 기술의 조건을. 고려하여 다이내믹하게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향후 모바일 IPTV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는 다양한 액세 스 기술을 수용할 것이며 이 이종망간 서비스 및 단말의 이동성을 제공하고 네 트워크는 서비스 이용자의 위치 및 상황을 인지하여 그에 적합한 서비스를 자 동적으로 구성하여 제공하게 될 것이다.

최근의 모바일 서비스 기술 동향

3.4.2 IPTV

현재 TV는 디지털 TV에서 테이크 아웃 TV인 모바일 TV (DMB, DVB, 등 로 는 계속 진화하고 있다 최근 서비스와 관련하여 방

MediaFLO ) TV . IPTV

송 영역과의 조율이 활발하게 진행됨에 따라 향후 IPTV 시장은 더욱 확산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림

< 3-8> 모바일 IPTV 전체 구성도

<Fig. 3-8> Composition of mobile IPTV

그림 과 같이 모바일 는 기존 기술에 무선 기술과 이동성

< 3-8> IPTV IPTV

기술을 확장한 형태의 새로운 서비스를 가리키며 여기서의 모바일, IPTV서비 스는 특정 무선 기술상에서의 서비스에 국한되지 않는다[6].

현재 IPTV 관련 대부분의 표준화 및 관련 기술 개발은 시급한 사업적 이유 로 QoS가 지원되는 안정된 네트워크 환경에서 충분한 화면 크기와 성능을 가 진 고정형 ITPV를 통해 고화질(SD/HD 급 콘텐츠를 송수신하는 것에 중심을) 두고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가까운 미래에 많은 사람들은 IPTV서비스를 이동 단말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사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무선 기술과 이동성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모바일 IPTV는 전형적인 디지털 방송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IP기반의 오디 오 비디오 및 다양한 콘텐츠들을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방식이며 방송과 통신, 융합의 가장 대표적인 형태이다 따라서 모바일. TV는 단방향 형태로 안정된 무선 방송전송방식을 사용하므로 서비스가 안정적이며 양방향 서비스로의 확장 을 위해 리턴채널을 결합하는 형태로 개발 중이다.

대표적으로는 DVB-CBMS이며 DVB-IPTV CM(Commercial Module)을 통 해 IPTV에 필요한 구조 및 요구사항들을 연구한 후 DVB-IPI TM(Technical 을 통해 모바일 를 위한 표준 초안을 개발하였다 의 경우

Module) IPTV . DVB

유럽지역의 표준이며 유럽전역에 서비스가 가능한 3GPP기술을 주로 리턴채널 로 사용하여 양방향 모바일 IPTV를 연구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모바일 TV 기술로 DMB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리턴채널 을 위한 기술로 와이브로를 접목한 양방향 형태의 모바일 IPTV 초기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또한 IPTV 서비스와 같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해당 무선 기술상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무선기술을 확장하고 있다 즉 와이브로의 기반기술. , 인 IEEE 802.16e에서는 MBS에 대한 전송 방식에 대한 표준이 완료되었으며,

포럼에서는 에서 에 대한 요구사항을 정의하였고 이

WiMAX Release 1.5 MBS

를 위한 표준화 작업에 현재 WiMAX NWG에서 진행 중이다.

그림

< 3-9> 모바일 IPTV를 위한 네트워크 구성

<Fig. 3-9> Construction of network for mobile IPTV

현재 국내에서 이동통신상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는 이동통신사업자들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동통신 영역에서 모바일. IPTV 서비스를 보다 원활하게 제 공하기 위해 연구되고 있는 가장 대표적인 표준화는 OMA BCAST이다 이는. 다양한 이동통신 단말들이 IPTV와 같은 형태의 서비스들을 원활하게 수신할 수 있도록 Enabler라는 기능을 표준화한다. 3GPP에서의 MBMS 표준이 정의 되었으며, 3GPP LTE 망에서 방송 서비스의 전송 효율을 높이기 위한 기능 확 장을 포함하는 진보된 eMBMS 규격 개발이 진행 중이다.

제 4 장 이종 무선망 간 이동성 제공 기술 분석

기반의 코어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유무선 환경의 통합 가속화와 다중 All-IP

인터페이스 단말의 발달 각종 콘텐츠 활용의 확대 등 통신서비스 환경은 개별, 사용자를 위한 유비쿼터스 환경으로 발전해 가고 있다.

특히 이동 중인 사용자에게 이종망 간 IPTV 서비스를 끊김 없이 제공하기 위해 모바일 IPTV에서는 이동성 기술 및 다양한 단말에 대한 통합 인증 기술 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이종망간 끊김 없는 이동성 서비스를 위한 관련 기술은 경제적 사회, 적 그리고 문화적 측면의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으며 사회 전반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예측된다.

이동성 기술은 IT 산업뿐만이 아닌 국내 관련 산업 전반에 막대한 영향을 가져오고 있다 개인의 통신 단말은 더 이상 음성통화 서비스 기능에 국한되지. 않고 정보 전달과 각종 오락 수단으로 개인 생활의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 며 이는 양방향, DTV, VoD, 게임뿐만 아니라 차세대 IPTV 시장의 급성장을 가져올 것으로 예측된다.

그리고 화상전화 원격진료 원격교육 등 장소와 시간의 제약 없이 원격지, , 간 다양한 응용서비스의 활용 기회도 확대될 것이다.

이처럼 이종망간 끊김 없는 이동성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사 용자의 이용 기회 확대로 인해 데이터 트래픽의 증대 고속서비스 사용자 증, 가 등 점차적으로 유무선 통신 및 방송서비스의 질과 양적인 성장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이동성 제공을 위한 임베디드(Embedded) 시스템 등 각종 장비의 제품 화가 가능하며 이로써 관련 제조업 시장의 성장과 중소기업의 매출증대 및 고, 용촉진 효과 등 부가적인 경제적 파급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이종망간 이동성 제공을 위한 기술의 중요성은 매우 크며 이를 위해 다양한,

관련 연구들이 국제 표준화 기구 및 관련 업체의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이동성 기술 개발의 필요성은 충분히 인식되고 있으나 현, 재 NGN 등 국내외 관련 연구의 진행 상황은 요구사항 도출 이후 이동성 제공 을 위한 기술의 기초적 연구단계에 머물러 있는 상태이다.

더구나 이종망간 이동성 제공을 위한 기술은 서로 다른 접속 기술과 서로 다른 사업자가 관리하는 접속망 간에서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 다 이를 위해 이동성 기술을 개발함에 있어서 각 접속망에서 요구하는 사용자. 인증 파라미터 및 서비스 정보의 관리, QoS 지원 등의 문제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이종망간 서비스 이동성 제공 기술의 개발을 위해서는 현재까지 연 구된 선행 이동성 제공 기술 및 이종망간 이동성 제공을 위한 요구사항의 분석 이 필요하다.

그리고 사용자 인증 파라미터 및 서비스 정보, QoS 정보를 통합 관리하기 위한 메커니즘의 연구가 요구되며 이를 기존에 제안된 이종망간 이동성 제공, 방안과 연계시키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사용자 인증 파라미터 서비스 정보, , QoS 정보 등의 통합 관리 방안에 대한 실증 시험을 통해 실제 시장에서의 사용 가능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이종망간 이동성 지원 기술 4.1

세계 각국들은 네트워크 분야의 서비스 품질에 관한 주요 연구 이슈로서 이 동성 기술에 관한 자체 기술을 확보함으로써 세계 기술을 선도하고 단일화 된 표준을 개발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들의 공통된 특징은 사. 용자 이동 상황에 대해 사용자 중심의 끊김 없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함 으로써 진정한 이종망간 이동성 제공 기술의 구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