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KAERI에서 처분장 운반 시나리오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Halaman 66-69)

Fig 33. KAERI에서 처분장까지의 WTS 예상 시나리오

예시로 KAERI에서 발생된 유기폐액이 드럼에 처분되어 제 2 방사성폐기물 저장시설 에 저장이 된다고 하면 AR-OL01-AR2라는 코드가 생성되어진다. 그 후 육상전용 운반트 럭 3호차로 운반 하여 처분장까지 운반되어 진다면 L03-KD라는 코드가 생성되어 진다.

최종적으로 AR-OL01-AR2-LO3-KD 코드가 생성되어 진다. Fig 32는 KAERI에서 처분장까 지의 WTS 예상 시나리오 코드를 작성한 것이다.

Fig 34. KAERI에서 처분장까지의 WTS 예상시나리오 코드

제6장 결론 및 제안

본 논문에서는 운영중인 국내·외 WTS(Waste Tracking System) 현황을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국외 방사성폐기물 추적관리 시스템들은 미국을 제외하고, 통합적인 Waste Tracking System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미국은 DOE에서 모든 시스템을 관리하기 때문에 시스템끼리 연계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원자력발전을 통해 폐기물이 발생하는 국가들은 통합적으로 Waste Tracking System을 운영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하지만 국내 실정은 각기 폐기물 발생기관별로 Waste Tracking System이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 및 효율적인 폐기물 추적관리를 위해 본 노문에서는 폐기 물의 분류기준의 통합, 폐기물 발생기관, 위치, 처리공정 등의 Code 부여 등을 수행 하였다.

폐기물 분류기준의 통합은 가연성, 비가연성, 무기, 유기로 대분류 하여 각 폐기물 기관에서 발생하는 Streaming을 모두 포함할 수 있게 재분류하였다. 또한 Waste Tracking System 시나리오 작성을 위한 Code 부여를 원전의 위치, 저장소, 처리공정, 연구소, 핵연로제조 등을 고려하여 수행하였다.

위 내용을 바탕으로 두 가지의 Waste Tracking System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첫 번째는 한빛 원전에서 발생한 폐기물이 경주 처분장으로 이동되는 시나리오 이며, 두 번째 시나리오는 KAERI에서 발생한 폐기물이 경주 처분장으로 이동하는 시나리오이 다. 본 논문에서는 KNFC와 한빛 원전을 제외한 타 원전 시나리오는 제시 하지 못하였 으나, 본 연구에서 제시한 분류 Code 및 처리 공정, 통합적 Waste Streaming을 적용 한다면 충분히 구현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Waste Tracking System 시나리오 작성은 완벽하다고 할 수 없 다. 따라서 미국의 WTS 연계성, ReVK의 Web을 활용한 실시간 폐기물 관리, 해체폐기 물의 고려, Bar-code 및 Qr-code 활용 등을 고려하여 국내 Waste Tracking System을 보완한다면 보다 효율적으로 가시적인 System을 운영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Halaman 66-69)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