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실증사례 투자비 낮음

단점

이동불가 높은 투자비

폭발위험

실증사례없음. 환경유해

고온환경유지

환경유해 낮은 변환 효율

❙표 2-14❙ ESS 종류별 가격 및 장단점

□ 대용량 전력저장 시스템은 미래 친환경 에너지 시스템의 핵심이 될 것이며, 이를 상 용화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의 저가격화, 높은 에너지 밀도 및 효율, 친환경화, 안 정성 등이 확보 되어야함. 특히 석유생산국이 아닌 한국의 경우, 향후 에너지를 둘 러싼 국제 갈등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신재생 에너지 저장 기술개발 노력이 절실함.

(1) 해양 등부표

Ÿ

국제항로표지협회(IALA)는 등대와 등부표 등 항로표지의 기술 개발 및 표준화를 위해 1957년 설립된 기구로 프랑스 파리에 본부를 두고 있음. 1962년 IALA에 가 입한 한국은 2006년 이사국, 2014년 부의장국으로 선출됨

Ÿ

해양수산부는 스티로폼에 깃발을 꽂아 경계구역을 표시했던 어장과 양식장을 적정 규격의 항로 표지로 표준화 시행계획임. 이는 IALA가 항해선박의 야식장 침벅사 고 방지를 위해 일정 규모 이상의 어장과 양식장에 항로표지를 배치하도록 권고함 에 따른 것임

Ÿ

해양수산부는 오는 2024년까지 향후 8년간 175억원을 투입해 ‘항로표지 관리운영 시스템’ 고도화에 사업을 수행하고 있음.

Ÿ

해양 등부표를 포함한 해양모니터링시스템이 가장 발달된 미국에서는 2006년부터 2010년까지 1.8~2.2억달러의 해양모니터링시스템 설치 및 운영 관련 예산이 책정되 었으며, 관련 사업의 경제, 사회, 군사 및 과학적 측면으로의 파급효과가 매우 방 대함

Ÿ

해양모니터링시스템의 시장은 고성장세에 있으며 특히 아시아 시장에서는 아직 초 기단계이기 때문에 해양모니터링시스템 구축의 필요성 및 발전 가능성은 매우 높 음

Ÿ

북미와 유럽을 비롯한 해양선진국에서는 현재 부이 등 고정 플랫폼을 이용한 구축 기술은 상당히 진행되어 왔으나, 고효율/저비용 관리기술, 높은 신뢰도의 데이터 처리 기술 및 예측판단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임

Ÿ

최근 IT 및 Blue 에너지 기반 등부표를 포함한 항로표지 기술 경쟁력 제고 및 산 업화 바람이 불고 있음. 이를 위한 항로표지 후보 4대 전략분야는 아래와 같음 - 친환경 에너지 기반 항로표지용 차세대 전력생산시스템

- IoT 기반 항로표지 설치, 운용 및 관리 시스템

- IT기반 다기능 복합(광파, 음파, 전파) 항로표지

- 전자항법 (e-NAV) 대응 기술

(2) 스마트 가로등 (가) 시장 현황

Ÿ

세계적으로 2억 8천만개의 가로등은 2025년에 3억 3천만개로 증가 예정

Ÿ

스마트 가로등 시장은 2016녀에서 2022년 사이에 CAGR 40.3% 증가 추정

Ÿ

독일, 영국, 미국이 스마트 가로등 시장 선도 국가, 이어서 인도, 중국, 필란드

Ÿ

Key player: GE lighting, Philips lighting, Acuity Brands, Osram and

Honeywell lighting

Ÿ

ABI research 발표 자료에 따르면 스마트 가로등 시장은 2014년 6.5억 달러에서 2018년 16억 달러로 연평균 25% 성장률을 보일 전망임

Ÿ

국내 시장의 경우, 한국조명협동조합은 2014년에 561억원에서 연평균 18% 성장 하여 2018년에는 1,081억원으로 성장 전망

❙그림 2-20❙ 세계 스마트 가로등 시장 전망

(출처: ABI research, 2015, KISTI 재작성 자료)

❙그림 2-21❙ 한국 스마트 가로등 시장 전망

(출처: 한국조명협동조합, KISTI 재작성 자료)

Ÿ 스마트 조명 시장은 2013 년 10 억불 이하의 규모였지만, 앞으로 스마트폰과 결 합된 기능확대 및 IoT와 연결된 기능 ᄋ 시장의 확대가 예측되므로 2016년 20억불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더 나아가 2017년에는 40억불 규모, 2018년에는 60억불 규모, 2019년에는 90억불 규모 2020년에는 100억불 이상 규모의 시장으 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그림 2-22❙ 세계 스마트 조명 시장 전망

(출처: NanoMarkets 2013)

(3) 전력저장 시스템 세계시장

᠆ 2010년을 기준으로 미국, 일본 등 일부 선진국을 중심으로 2조원 규모의 초 기 시장이 형성되었음

᠆ Global 전력 수요의 증가 및 신재생 에너지 보급 확대에 따라, 중대형 에너지 저장 수요가 급속도로 확대될 전망. 세계 전력수요는 ’10년 21.0조 kWh에 서 ’20년 27.5조 kWh로 연 2.7% 증가 예상

᠆ 50년까지 세계적으로 189~305GW 수준의 에너지 저장시설 수요가 예상됨

᠆ 향후 10년간 시장이 급팽창하여 ’20년에는 47.9조원에 달할 전망이며, 저장 수요는 약 16배 성장 예상(’11년 1,206MW → '20년 20,105MW)

᠆ 2011~2020 대용량 저장 누적 세계시장규모는 총 70조 (2020년 연간 시장규모 20.6조)로 예상(신재생에너지 관련 저장시장규모는 신재생에너지의 30% 예 상)

᠆ 지속적인 성장으로 ’30년에는 120조원 규모의 에너지 저장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됨.

□ 국내 시장

᠆ 10년 기준 국내 ESS 시장 규모는 세계시장 대비 약 1% 수준이나, 투자 확대를 통해 ’20년 세계시장 점유율 30%(약 14조원)를 목표로, 총 6.4조원 규모의 R&D및 설비 투자를 추진할 계획임.

᠆ 12년 9.15 정전사태를 계기로 업계가 국가 인프라로 ESS 구축을 요청하는 등 국내시장 창출이 촉진될 전망.

᠆ 2012년 국내 에너지저장기술 시장 규모는 약 710억 원으로 추정

᠆ 15년에 5조원 규모의 ESS 시장이 형성되고 지속적인 성장으로 ’20년에는 14 조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

᠆ 현재는 시장 형성전의 실증단계이나, 향후 전력 소비량 증가 및 신・재생 에너 지 확대에 따라 중장기적으로는 수요가 급팽창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지식경제부의 ESS 수요 예측(에너지저장 기술개발 및 산업화 전략, K-ESS

2020)에 따르면 ’15년까지 960MW, ’20년까지 1,680MW규모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필요할 것으로 예측됨.

᠆ 국내의 경우, 미국, 유럽 및 일본 등에 비하여 ESS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낮기에 자발적 으로 ESS 시장이 활성화되기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이 라는 전망도 있음.

❙그림 2-23❙ ESS 시장규모 비교

가. 에너지저장 산업의 현황과 특성

□ 산업구조 현황 및 추이

◦ 환경/에너지 기술 관련 국내의 현황은 개발된 기술이 자동차, 소재, 제조 등 주요

산업에 활용되기 시작하는 상황으로 2015년 6조원에 달하고, 2020년에는 14조원에 달

하는 등 비약적인 증가가 예측됨

❙표 2-15❙ 분야별의 국내 시장 전망

출처: 나노기술영향평가보고서, KISTEP (2005) (단위: 10억원) 연 도

분 야 2000 2005 2010 2015 2020 연평균 증감률(%)

‘01~10 ‘11~20 전자통신 5,069 18,277 56,449 151,48

4

333,46

5 27.3 19.4

의료 238 726 2,792 6,978 14,694 27.9 18.1 환경/에너지 333 813 2,725 6,255 14,673 23.4 18.3 생명공학 730 1,342 3,103 5,873 10,920 15.6 13.4 소재/제조 2,591 9,4686 22,113 45,473 97,869 23.9 16.0 항공우주/수송

기계 692 2,389 8,876 26,625 66,176 29.1 22.2

국방/기타* 500 2,354 8,853 22,277 55,227 33.3 20.1

Dalam dokumen 해수전지의 활용 기술 기획연구 (Halaman 42-48)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