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 록
부록 1. 핵심 신규과제 리스트
대과제 제목: 한국 FUTURE 프로젝트 신규과제
중과제 1: 동해 대양저 규모 생태계 기후변화 반응 연구 (COVE-K)
중과제 2: 인간활동과 연안 생태계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AICE-K) 세부과제 2-1. 광양만 사례연구
세부과제 2-2. 영일만 사례연구 세부과제 2-3. 경기만 사례연구 세부과제 2-4. 사례별 비교 연구
중과제 3: PICES FUTURE 지원 체계 구축 (SOFE-K)
중과제 1: 동해 대양저 규모 생태계 기후변화 반응 연구 (COVE-K)
1. 사업개요
□ 사업목적
ㅇ PICES FUTURE COVE 대응 연구
ㅇ 동해 대양저 규모의 해양생태계가 지구 기후변화에 어떻게 반응하고 향후 어떻게 적응할 것인가를 구명하여 북태평양해양과학기구(PICES)의 FUTURE
/COVE 프로그램에 한국의 역할 수행
□ 사업목표
ㅇ 동해 남북방향 대륙사면의 생태계 요소별 변동 모니터링 및 인과 관계를 바탕으로 한 기후변화 예측 시스템 구축
□ 추진근거
ㅇ 해양환경관리법 제6조 1항, 제11조, 해양수산발전기본법 제17조(해양과학 조사 및 기술개발 등)
□ 사업내용
ㅇ 단계별/연차별 추진내용 포함 - 1단계(2011-2014)
․1차년도 : 동해 기후변화 관련 기존 연구결과 검토 및 조사 계획 수립 a) 생태계 상태 평가 및 관련 지표들이 포함된 신기술 활용 모니터링 체제 구축 b) 동해 기후변화 모니터링 국제공동연구 네트워크 구축(특히 한․러․일 간)
․2-4차년도 : 신기술 적용 모니터링 및 동해 생태계 연차평가 - 2단계(2015-2017)
․기후변화에 따른 동해 분지규모 생태계의 내적 탄력성과 취약성 평가연구 a) 동해 중․심층수계의 형성과 분포 및 생․지화학적 feedback 구명
b) 유용 해양생물의 교체현상과 군집 동태의 취약성 평가 - 3단계(2018-2020)
․기후변화 영향에 의한 동해 생태계의 반응 및 미래 변화 예측 연구 a) 생태계 관련 지표들의 반응을 평가하는 새로운 기후지수 개발
b) 동해 중․심층수계 장기(10-50년) 해양생태 예측 시뮬레이터 개발
□ 투자계획
(단위 : 백만원)
사업별 예산
구분 2011 2012 2013 2014 합계
합 계 500 500 500 500 2,000
<국토해양부>
해양영토개발과 500 500 500 500 2,000
2. 2011년 세부추진계획
ㅇ 단계별(3단계) 10개년 사업계획 수립 ㅇ 1단계 1년차
ㅇ 동해의 분지규모 남북방향 신규 모니터링 라인 설정
- Sea Glider, Laser Optical Plankton Counter, Acoustic device 등 활용한 동해 남북방향 신규모니터링 라인 설정
- 중․심층수 형성 및 순환과정 모니터링 - 물질순환 및 영양준위별 생물과정 모니터링 ㅇ 동해 분지규모 생태계의 평가
- 기존 연구결과․자료의 재분석 및 생태계의 장기변화 추세 파악 - 1차 평가보고서 작성
ㅇ 한․러 공동연구 네트웍 구축
- 한․러 동해 연구 관련 기관 및 전문가 pool 구성
3. 사업성과 및 성과지표 [과제 담당 현황]
담 당
기관(실․국)명 직 위 성 명 전화번호
<국토해양부>
해양영토개발과
해양영토개발과장 주현종 02-2110-8452
담 당 최민영 02-2110-8458
담당자 정정희 02-2110-8729
※ 담당자이메일 : [email protected]
중과제 2: 인간활동과 연안 생태계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AICE-K)
1. 사업개요
□ 사업목적
ㅇ PICES FUTURE AICE 대응 연구 ㅇ 인간사회와 연안생태계 상호작용 연구
□ 사업목표
ㅇ 인간활동이 연안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
ㅇ 연안생태계 변화가 인간 사회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 ㅇ 생태계 상태 지표, 관리 기준점 개발
ㅇ 위험도 분석에 의한 생태계 평가, 예측 및 이용관리 시스템 개발 ㅇ 3차 NPESR(북태평양 생태계 보고서) 작성
□ 추진근거
ㅇ 해양환경관리법 제6조 1항, 제11조
ㅇ 해양수산발전기본법 제17조 (해양과학조사 및 기술개발 등)
□ 사업내용
ㅇ 단계별/연차별 추진내용 포함
1단계 (3 년): 연안 생태계 연구 (광양만) 2단계 (3 년): 연안 생태계 연구 (영일만) 3단계 (3 년): 연안 생태계 연구 (경기만) 4단계: 해역별 비교, 종합, 결론 도출.
□ 투자계획
(단위 : 백만원)
사업별 예산
구분 2011 2012 2013 합계
합 계 500 500 500 1,500
국토해양부 해양영토개발과 500 500 500 1,500
2. 2011년 세부추진계획
ㅇ 단계별 사업 계획 수립 (1. 광양만, 2. 영일만, 3. 경기만) ㅇ 1단계 광양만 생태계 연구
- 기존 연구 결과 및 자료 분석과 종합 (중과제 3과 연계)
- 조사 계획 수립과 생태계 평가, 예측 및 이용관리 연계 체제 구축 - 물리, 화학, 생물학적, 지질학적 변수 모니터링
- 생태학적 과정 연구
- 사회 경제적 자료 수집과 분석 - 생태계 위험도 분석 기초 연구 - 생태계 구조 평가 1차 보고서 발간
[과제 담당 현황]
담 당
기관(실․국)명 직 위 성 명 전화번호
국토해양부 해양영토개발과
해양영토개발과장 주현종 2110-8452
담 당 최민영 2110-8458
담당자 정정희 2110-8729
※ 담당자이메일 : [email protected]
세부과제 2-1. 인간활동과 연안생태계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I
- 사례연구 I: 광양만-
1. 사업개요
□ 사업목적
ㅇ PICES FUTURE AICE 대응 사례 연구 I
ㅇ 연안역 개발 및 이용이 주변 연안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구명
ㅇ 연안역 개발 및 이용이 주변 연안생태계 미치는 파급 영향 사례별 비교연구
□ 사업목표
ㅇ 광양만 주변 산업단지가 광양만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구명 ㅇ 광양만 생태계 상태 지표, 관리기준점 개발
ㅇ 광양만 생태계 위험도 분석에 의한 생태계 평가, 예측 및 이용관리 시스템 개발
ㅇ 광양만 생태계 변화가 인간 사회경제에 미치는 영향 평가 ㅇ 한국 해양생태계 현황 보고서 작성
□ 추진근거
ㅇ 해양환경관리법 제6조 1항, 제11조
ㅇ 해양수산발전기본법 제17조 (해양과학조사 및 기술개발 등)
□ 사업내용
ㅇ 연차별 추진내용 - 2011년도:
• 광양만 생태계 관련 기존수집 및 현황분석
• 광양만 생태계 실시간 모니터링 네트웍 구축 - 2012년도:
•광양만 생태계 집중 현장조사 및 분석
•광양만 생태영향 지수 개발 및 평가 연구
•광양만 생태계변화가 사회경제에 미치는 파급영향 조사 및 평가 - 2013년도:
•광양만 생태계 상태 종합분석 및 평가
•광양만 생태계 평가, 예측 및 이용관리 시스템 개발: 관리기준점 개발, 사회경제 파급영향 평가, 위험도 분석 등
□ 투자계획
(단위 : 백만원)
사업별 예산
구분 2011 2012 2013 합계 합 계
인간활동과 연안생태계 상호 작용에 관한 연구- Case I
- 광양만-
국고 500 500 500 1,500
2. 2011년 세부추진계획
ㅇ 광양만 생태계 관련 기존 자료수집 및 현황분석 - 광양만 생태계 관련 자료 종합 수집 및 현황 분석
• 생태계 현황관련 기존자료 수집 및 현황분석
• 광양만을 중심으로 한 사회 경제적 기존자료 수집 및 현황분석 - 광양만 생태계 현황 통합 분석 및 문제점 도출
ㅇ 광양만 생태계 개괄적 현장조사 및 분석 - 현장 개괄적 조사: 연 4회/ 10 ~ 20개 정점
• 부유생태계 조사: 수질 물리환경 및 동 식물플랑크톤 등
• 저서생태계 조사: 퇴적물환경 및 저서동물, 해조류 등
• 유영생태계 조사: 어류, 두족류, 갑각류 등 어획물조사 - 현장 조사결과 종합 분석 및 현황도 작성
•생태계의 기능 및 구조를 중심으로 한 생태학적 과정 분석
•생태계 주요 요인에 대한 현황도 작성
ㅇ 생태계 관리 체제 구축 및 위험도 분석 기초연구 ㅇ생태계 평가 1차보고서 발간
[과제 담당 현황]
담 당
기관(실․국)명 직 위 성 명 전화번호
국토해양부 해양영토개발과
해양영토개발과장 주현종 2110-8452
담 당 최민영 2110-8458
담당자 정정희 2110-8729
※ 담당자이메일 : [email protected]
세부과제 2-2. 인간활동과 연안생태계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II
- 사례연구 II: 영일만-
1. 사업개요
□ 사업목적
ㅇ PICES FUTURE AICE 대응 사례 연구 II
ㅇ 연안역 개발 및 이용이 주변 연안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구명
ㅇ 연안역 개발 및 이용이 주변 연안생태계 미치는 파급 영향 사례별 비교연구
□ 사업목표
ㅇ 영일만 주변 산업단지가 영일만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구명 ㅇ 영일만 생태계 상태 지표, 관리기준점 개발
ㅇ 영일만 생태계 위험도 분석에 의한 생태계 평가, 예측 및 이용관리 시스템 개발 ㅇ 영일만 생태계 변화가 인간 사회경제에 미치는 영향 평가
ㅇ 한국 해양생태계 현황 보고서 작성
□ 추진근거
ㅇ 해양환경관리법 제6조 1항, 제11조
ㅇ 해양수산발전기본법 제17조 (해양과학조사 및 기술개발 등)
□ 사업내용
ㅇ 연차별 추진내용 - 2014년도:
• 영일만 생태계 관련 기존수집 및 현황분석
• 영일만 생태계 개괄적 현장조사 및 분석 - 2015년도:
•영일만 생태계 집중 현장조사 및 분석
•영일만 상태 지표개발 및 관리기반 연구
•영일만 생태계변화가 사회경제에 미치는 파급영향 조사 및 평가 - 2016년도:
•영일만 생태계 상태 종합분석 및 평가
•영일만 생태계 평가, 예측 및 이용관리 시스템 개발: 관리기준점 개발, 사회경제 파급영향 평가, 위험도 분석 등
□ 투자계획
(단위 : 백만원)
사업별 예산
구분 2014 2015 2016 합계 합 계
인간활동과 연안생태계 상호작용
에 관한 연구- Case II.- 영일만- 국고 500 500 500 1,500
2. 2014년 세부추진계획
ㅇ 영일만 생태계 관련 기존 자료수집 및 현황분석 - 영일만 생태계 관련 자료 종합 수집 및 현황 분석
• 생태계 현황관련 기존자료 수집 및 현황분석
• 영일만을 중심으로 한 사회 경제적 기존자료 수집 및 현황분석 - 영일만 생태계 현황 통합 분석 및 문제점 도출
ㅇ 영일만 생태계 개괄적 현장조사 및 분석 - 현장 개괄적 조사: 연 4회/ 10 ~ 20개 정점
• 부유생태계 조사: 수질 물리환경 및 동 식물플랑크톤 등
• 저서생태계 조사: 퇴적물환경 및 저서동물, 해조류 등
• 유영생태계 조사: 어류, 두족류, 갑각류 등 어획물조사 - 현장 조사결과 종합 분석 및 현황도 작성
•생태계의 기능 및 구조를 중심으로 한 생태학적 과정 분석
•생태계 주요 요인에 대한 현황도 작성
ㅇ 생태계 관리 체제 구축 및 위험도 분석 기초연구 ㅇ생태계 평가 1차보고서 발간
[과제 담당 현황]
담 당
기관(실․국)명 직 위 성 명 전화번호 국토해양부
해양영토개발과
해양영토개발과장 주현종 2110-8452
담 당 최민영 2110-8458
담당자 정정희 2110-8729
※ 담당자이메일 :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