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㜈 ⋼ 㡃 - S-Space - 서울대학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㜈 ⋼ 㡃 - S-Space - 서울대학교"

Copied!
2
0
0

Teks penuh

(1)

118

서울대학교 명예교수회보2012,제8호

▻㜈⍆⋼㡃⌽⍆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고 영 근

독문학자이자 수필가였던 김진섭 선생은 ‘창(窓)’이라는 수필에서 창은 우리에게 광명을 가져다주는 태양이라고 하였다.창을 통하여 광명을 찾듯이 우리는 길을 통하여 새로운 세계 를 경험한다.어릴 때 사립문을 나서면 아래 동네와 위 동네를 가는 길이 우리 집 앞에 나 있 었다.주말이면 고성 방면의 진주 마산 유학생들이 쌀자루를 짊어지고 기차를 타러 반성역으 로 걸음을 재촉하는 길이기도 하였다. 고성에는 기차가 지나가지 않기 때문에 고개를 넘어 수십 리를 걸어와서 기차를 이용하였다.앞에는 들판으로 벋어 나간 논길이 있었고 소를 몰 고 잔데이(작당산성)로 올라가면 성안으로 올라가는 길이 있었다.새터로 가는 길을 따라가 면 큰 저수지가 있고 한골 재 너머 산길을 올라가면 고성 땅으로 접어든다.자동차 다니는 한 길[신작로]을 따라 가수개를 거쳐 논길을 지나 고개를 넘어 한참 걸으면 나의 모교인 이반성 초등학교가 나온다.

어렸을 때 내가 걷던 길은 나에게 많은 것을 가르쳐 주었다.한 여름철 논길을 따라가면 논 두렁에 콩이 무더기로 자라고 있었다.논길 옆 도랑에는 밤이면 통발을 대고 미꾸라지를 잡 는 풍경도 예사로 볼 수 있었다. 아버지는 해마다 나락이 한창 자랄 때면 한 밤중에 간조기 한 손과 밥을 지어 나를 데리고 논두렁에서 농신제를 지내곤 하셨다.그해 농사가 잘 되라는 뜻으로 농신에게 고사(告祀)를 지내는 것이다.논길을 따라 구석진 곳으로 가면 웅덩이를 만 난다.가물 때에는 웅덩이에서 물을 퍼서 논에 물을 대었다.나도 형들을 따라 물을 푼 기억 이 있다.그러던 웅덩이도 저수지가 생기면서 논으로 변하였다.농촌의 낭만이 서려 있던 논 길도 지금은 농로로 바뀌어 트럭터가 오고간다.

산길을 따라가면 특히 가을철이면 빨갛게 물든 망개며 굴밤[도토리]이며 뽈똥이며 온갖 산 과일이 지천으로 널려 있었다.뽈똥[보리수나무]은 내가 예닐곱살 때 시사를 지내러 발치산 선산으로 오를 때, 익을 대로 익은 뽈똥을 따 먹은 기억이 생생하다.다년생 나무에 열리는 붉게 익은 뽈똥 열매를 입에 넣으면 시금털털한 액이 온 입안을 상큼하게 적셨다.고려가요 의 <동동>에 나오는 ‘ꩱꢥ’이 이 뽈똥을 가리키는지,표준말은 ‘보리수나무’이다.성안에는 돌 배가 주렁주렁 열려 있어 따 먹으면 어찌 그리 떫었던지.작년 시제 때 올라가보니 옛 모습은 자취도 없이 사라지고 이름 모를 무덤 한 쌍이 그 자리를 지키고 있었다.

나에게 새로운 세계를 알려 준 그 많은 길들은 이제 자취도 없이 사라지고 있다.어머니의 손을 잡고 외갓집으로 갈 때 걷던 발산재 너머 그 길은 수풀로 뒤덮여 있으며 그 대신 진주- 마산간 사차선 산업도로가 선산 중허리를 뚫고 지나가고 있다.옛날 걸어 다니던 길들은 모

(2)

2부 칼럼

119

두 묻혀 버리고 논길은 농로로,한길은 산업도로 아니면 고속도로, 고속화도로가 그 자리를 메꾸고 있다.산길 또한 흔적도 없이 사라져 가고 있으며 예전에 없던 ‘임도(林道)’가 새로 생 겨 산불 퍼지는 것을 막는 역할도 하고 자동차로 목재를 운반하기도 하는 세상으로 변모하 였다.‘임도’에 해당하는 고유어는 없다.이에 대응됨직한 ‘숲길’은 있어도 지칭개념이 다르다.

‘숲길’은 숲속에 난 길을 가리키는데 모두 산책로로 바뀌고 있으니 이 또한 조만간 폐어가 되 지 않을까.내 어렸을 적의 산은 삶의 터전이었다.나무꾼들은 지게를 지고 산길을 따라 나무 를 한 짐 해 와서 땔나무를 마련하거나5일 장에 지고 가서 팔아 생계를 꾸려 나갔다.봄철이 면 아낙네들은 깊은 산중에 가서 현입(홋닢,화살나무)을 훑거나 산나물을 뜯어 춘궁기를 넘 겼다.험한 산중을 헤매면서 채취하던 산먹을거리를 지금은 양식장에서 조달한다.

옛날의 산길은 등산로로 모습이 바뀌어 가고 있다.작년 준봉[고경명 선조의 장남]묘소에 가서 어렸을 때 다니던 산길을 찾으니 역시 자취도 없어지고 그 대신 등산로가 나 있었다.길 은 길이로되 내 어렸을 적의 산길은 등산로라는 용도가 다른 길로 변하여 있었다.옛날 길은 삶의 터전이었지만 지금 길은 건강의 터전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산길이든 등산로든 길은 우리에게 새로운 세계를 경험하게 하는 창구의 역할을 한다.옛날에는 산길을 통하여 삶의 터전을 일구었고 지금은 등산로를 통하여 건강을 누리고 있으니.

Referensi

Dokumen terkait

소비재로서의 토지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토지의 용도가 완전히 시장에서 결정되도록 내버려 둘 경우 시장의 구조적 문제 탓으로 소비재로서의 토지가 지나치게 적게 공급되는 경향이 있다.. 생산요소로서의 토지에 대한 수요는 땅값에 반영되지만 대체로 보면 소비재로서의 토지에 대한 수요는 땅값에 잘 반영되지

거대개발의성공조건과각이해주체의역할 : 거대 개 발에서는 민간 디벨로퍼와 공공 디벨로퍼가 역할하는 조 직체계, 세심한 도시정책, 부동산 시장에 대한 이해와 분 석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CDCCommunity Development Corpo- ration는 사회적 기업으로서 미국 저소득층 주거 개발에 서 핵심적 역할을 담당하고

2 학설에서는 이 문제에 대하여 변제자대위우선설과 후순위저당권자대위우선 설이 대립하고 있었다.3 이에 대하여 대법원은 1994년에 이 문제에 대하여 입장 을 표명할 기회를 가지게 되었고, 여기서 명시적으로 변제자대위우선설을 수용하 였다.4 즉 “공동저당의 목적인 채무자 소유의 부동산과 물상보증인 소유의 부동 산에 각각 채권자를

그리고 다른 측면에서는 제품에 대한 고객들의 평가자료, 피드백을 보다 효율적으로 확보하고 관리함으로써 제 품 개선, 신제품 개발 등에 있어 off-line 대비 장점을 확보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아마존이 보유하고 있는 특허로써 예측배송anticipatory shipping도 고객의 편의성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선고 2009도9807 대법원판결은 이와 같은 입법자의 요구에도 불구하고 “행정상의 단속을 주안으로 하는 법규라 하더라도 명문규정이 있거나 해석상 과실범도 벌할 뜻이 명확한 경우를 제외하고 는 형법의 원칙에 따라 고의가 있어야 벌할 수 있다.”고 판시하여 ‘[명문규정이 없 더라도] 해석상 과실범도 벌할 뜻이 명확한 경우’에는

다치바나키는 80년대 이후, 특히 버블 형성과 붕괴과정에서 일본의 경제적 불평 등도는 선진국 중에서도 가장 높은 편에 속하며 또한 계속 높아지고 있어서 이의 시정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한편, 오타케는 경제적 불평등도 확대의 상당 부분은 인구고령화 등에 따른 ‘겉보기’みせかけ 또는 みかけ에 불과한 것으로 보 고 있다..

특히 미국종교사를 통해 일관 되게 반복적으로 나타났던 이러한 종교적 정체성을 다시 살려낼 수 있는 주인공 으로 다양한 형식의 천년왕국주의 millennialism가 꼽히고 있다 38 그것이 바로 다가올 시대를 지배하고 순수합율 다시 회복할 것을 약속하는 미국 문화의 새 주 류와 민주적 대다수의 종교 및 미국의 공식적 얼굴올

문을 열고 밖을 보게 되고 마침 권훈을 구경하러 온 사람들 틈에서 청의를, 입은 동자를 발견하게 되어 부르게 되는 것으로 서술되어 있지만 권홍랑, < 전 에서는 권훈이 꿈에서 깨어 바로 동자와 대면하게 되는 것으로 서술되어> 있다 그리고 권훈이 동자를 보내면서 이소저의 태도까지 살펴달라고 당부.. 하는 장면 또한 다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