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中國 東北에서의 滿鐵의 情報宣傳活動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中國 東北에서의 滿鐵의 情報宣傳活動"

Copied!
29
0
0

Teks penuh

(1)

中國 東北에서의 滿鐵의 情報宣傳活動

全 京 先 (釜山大)

Ⅰ. 머리말

Ⅱ. 정보선전기구의 조직과 업무의 일원화

Ⅲ. 미디어를 통한 정보선전

Ⅳ. 해외사무소의 설치와 대외 정보선전

Ⅴ. 맺음말

Ⅰ. 머리말

러일전쟁 결과 맺어진 포츠머스 조약(1905)에 의거하여, 일본은 러시 아로부터 중국 요동반도-關東州의 租借權, 東淸철도(1911년 이후 中東 철도)의 남부지선과 거기에 부속된 이권들을 양도받았고, 그 해 말, 淸 日滿洲善後條約을 강제로 체결하여 이것을 청조가 승인하게 하였다.

이러한 이권을 기초로 1907년 南滿洲鐵道株式會社(이하 만철로 약칭) 라는 국책회사가 만들어졌다.

이로부터 만철은 철도뿐만 아니라, 광산, 항만, 제철 등 만주의 주요 산업을 지배하고, 철도 인접 지역의 ‘부속지’를 경영함으로써, 군사적 색채가 농후한 국가기관 성격의 주식회사로서의 그 지위를 부여받았 다.1)

이러한 성격을 가진 만철은 출발 당초부터 당시로서는 보기 드문 1) 고바야시 히데오 지음, 임성모 옮김,만철-일본제국의 싱크탱크(서울: 산처

럼, 2004), p.34.

(2)

강력한 조사기관을 가지고 있었다. 즉, 초대 총재인 고토 심페이(後藤 新平)의 “文裝的武備”라는 만주 경영 구상에 기초해서, 우선 1907년 4 월 본사에 조사부를, 다음으로 1908년 11월 도쿄에 東亞經濟調査局을 설치하여 광범위한 영역에 걸친 과학적 조사활동을 전개하였다.2) 만철 조사부는 만주사변 이후에는 滿鐵經濟調査會로 재편되어, 관동군의 점 령 정책을 조사, 입안하는 역할을 하면서 경제 통제를 목표로 ‘만주국’

의 설계도를 완성시켰던 기획자, 즉 ‘두뇌집단( 知の集團 )’으로 설명되 기도 한다.3)

이렇듯, 조사 부문은 만철의 독자적 활동 분야로 널리 알려지고 연 구된 반면, 정보 수집, 선전 부문은 조사부의 그늘에 가려진 존재가 되 어 왔다. 그러다가, 최근에 와서야 주목을 받으면서 활발한 연구가 이 루어지고 있다.

만철에서는 조사활동과 아울러 그것과 유사한 성격을 가진 정보, 선 전활동 역시 이른 시기부터 적극적으로 시행하였다. 만철의 정보선전 활동은 대부분의 시기, 조사과, 자료과, 홍보과 등에서 행해지고 있었 다.4) 1923년에는 정보 수집을 목적으로 하는 정보계를 서무부 조사과 에, 홍보, 선전을 목적으로 하는 홍보계를 사장실 직속으로 설치하였 다. 1927년에는 총재실에 정보과가 신설되어 정보 수집과 소개, 홍보에 관한 사항을 담당하였다.

만철에서는 만주국 성립 이전부터 이러한 사내의 정보선전활동 전 담 부서를 중심으로, 팜플렛, 사진첩, 포스터 등 각종 인쇄물의 제작 배포, 신문, 영화, 강연회, 전시회, 박람회 개최 등 다양한 매체를 동원 한 정보선전활동을 전개해 왔다. 더욱이 만철은 일본 내지, 유럽(파리), 미국(뉴욕) 등지에 일찍부터 해외사무소를 설치하고, 그것들을 통해 적 극적인 대외선전을 행하기도 하였다.

2) 만철 조사부의 연구동향에 대해서는 박장배, 만철 조사부의 확장과 조사 내 용의 변화 (中國近現代史硏究43, 2009) 참조.

3) 小林英夫,滿鐵: 知の集團 の誕生と死(東京: 吉川弘文館, 1996).

4) 磯村幸男, 滿鐵の情報․弘報活動 (アジア經濟1988.4), p.84.

(3)

1931년 9월 발발한 만주사변에서 만철은 관동군에 적극 협력하면서 그 동안 구축한 정보망과 선전의 경험과 기술을 동원해서 초보적인 사 상전, 선전전의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이러한 만철의 정보선전공 작은 만주국으로 계승되어, 만주국의 정보선전정책에 기본적인 틀을 제공했다고도 할 수 있다. 즉, 만철이 배양했던 토양 속에서 관동군도 만주국도 만철의 선전 전술, 전략을 배우지 않으면 안 되었던 것이 다.5) 이렇듯, 만철은 만주국이 성립되기 이전부터 관동군의 보도부와 신문반, 일본 외무성의 재외공관과 함께 유력한 홍보기관이었다.6)

만철에서는 1936년 10월의 대 직제 개정에 의해, 정보와 선전업무를 총괄적으로 관할하는 부서인 홍보과가 설립되었다. 만철 홍보과는 만 주국 정보선전기관인 총무청 홍보처(1937년 6월 설립)와의 긴밀한 협 력 하에, 만주국의 국책에 따라 만주국의 괴뢰성을 지우고, 오족협화 , 왕도낙토 의 이미지를 대내외적으로 선전하는 만주국의 홍보에 나 서게 되었다.

만철에 관한 연구는 1960년대부터 시작되면서, 현재 상당한 연구성 과가 축적되었다고 할 수 있겠으나,7) 만철의 중요한 활동 분야 중의 하나인 홍보 방면의 연구는 국내에서는 물론, 해외에서도 그다지 진행 되지 않았다. 최근에 들어서야 만철의 홍보 방면에 관한 연구가 활기 를 띠기 시작하였는데, 주목할 만한 선행 연구는 다음과 같다.

우선, 만철 홍보과에 근무했고(1936), 동경지사의 홍보과장을 역임했 던(1942) 이소무라 유키오(磯村幸男)의 증언을 정리한 논문을 들 수 있 다.8) 이 글은 당시 홍보업무 관계자의 증언이라는 점에서 만철 홍보 부문에 관한 1차 사료가 극히 부족한 상황을 보충할 수 있고, 만철의 홍보 활동의 전반적인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고

5) 山本武利 外,メディアのなかの 帝國 (岩波講座 帝國 日本の學知 4)(東 京: 岩波書店, 2006), p.9.

6) 貴志俊彦,滿洲國のビジュアル․メディア(東京: 吉川弘文館, 2010), p.7.

7) 김기훈, 滿洲國 史 硏究의 國際的 動向 (中國史硏究16, 2001) 참조.

8) 磯村幸男, 앞의 논문.

(4)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만철 홍보 업무의 계보와 내용을 대략적으로 정리하면서 대외 홍보 부분을 언급한 사토미 슈우(里見 脩)의 짧은 글이 있다.9)

그리고 최근에는 만철에서 제작 배포한 다양한 자료의 발굴을 통해 서 만철의 홍보활동을 조명하려고 하는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니 시하라 카즈미(西原和海)는 만철 홍보과의 대표적인 정기간행물인 사 진잡지

만주그래프

(1933년 창간)의 분석을 중심으로 만철 홍보과의 선전활동을 서술하고 있다.10) 또한 키시 토시히코(貴志俊彦)는 만주국 에서 발행한 포스터, 삐라, 기념우표 등 비쥬얼 자료의 발굴과 정리를 통하여 만주국의 프로파간다에 대해 얘기하고 있다.11) 아울러 현재 부 분적으로 남아 있는

弘報內報

(만철 홍보과에서 발행한 내부 기관지) 의 내용을 통해서 만철의 홍보활동을 서술하고 있는 시라토 켄이치로 (白戶健一郞)의 연구가 있다.12)

그러나 이상의 연구성과들에서는 만철 정보선전활동의 전체상은 물 론, 상황 변화에 따른 만철 내부의 조직 재편과 이에 따른 정보선전활 동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기는 힘들고, 더욱이 만주국이 건국되 고, 정부 행정기구 내에 정보선전정책을 수행하기 위한 기관들이 신설 되어감에도 불구하고, 만철 내에서는 정보선전 관련 부서가 신설 확충 되고, 그 활동이 더욱 체계화․일원화되어가는 이유에 대해서 해명되 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상의 선행 연구를 참조하면서, 우선은 만철 내 부의 정보선전 관련 기구의 재편과 아울러 특히, 1931년 9월 18일의 만주사변, 1932년 3월 1일의 만주국 건립을 전후한 시기의 만철 정보 9) 里見 脩, 卓越した對外弘報(宣傳)活動 (滿鐵とは何だったのか, 東京: 藤原

書店, 2006).

10) 西原和海, 滿洲における弘報メディア -滿鐵弘報課と滿洲グラフのことなど (國文學:解釋と敎材の硏究51-5, 2006).

11) 貴志俊彦, 앞의 책.

12) 白戶健一郞, 中國東北部における日本のメディア文化政策硏究序說 -滿鐵弘報 課の活動を中心に (京都大學生涯敎育學․圖書館情報學硏究9, 2010).

(5)

선전활동의 특징적인 양상을 정리함으로써, 그 정보선전활동의 추이와 내용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만주국 건립 이후 만철 정보선전활동의 존재와 필요성을 만철이 만주국에서 수행한 국제선전 부문에 중점을 두고 서술하고자 한다. 이로써 만주국 정보선전 정치에 서의 만철의 역할과 아울러, 국책회사로서의 만철의 특성은 더욱 확연 히 드러날 것이라고 생각한다.

Ⅱ. 정보선전기구의 조직과 업무의 일원화

만철은 1923년, 정보 수집을 목적으로 하는 정보계를 서무부 조사과 에, 홍보, 선전을 목적으로 하는 홍보계를 사장실 직속으로 설치하였 다. 당시 홍보계의 조직과 그 업무의 실시는 전적으로 촉탁 다카야나 기 야스타로우(高柳保太郞)의13) 입안 지도 하에 행해졌다.14) 이리하여 만철에 있어서 정보 와 홍보 라는 이름이 붙여진 부서가 설치되기 시작하였다.15)

당시는 마쓰오카 요스케(松岡洋右)가16) 만철의 이사로 있었던 시기

13) 다카야나기는 시베리아 출병(1918) 때, 파견군 내에 홍보반 이라는 명칭의 조직을 만들어, 육군성 정보계(신문반)와 제휴해서 현지에서 선무 활동을 전개 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 그는 사소한 사건으로 예비역으로 전역하게 되 었는데, 1921년 7월 만철의 섭외정보담당 이사로 취임한 마쓰오카 요스케(松岡 洋右)의 제안을 받고, 이사대우의 촉탁으로 만철에 근무하게 되었다. 里見 脩, 卓越した對外弘報(宣傳)活動 (滿鐵とは何だったのか, 東京: 藤原書店, 2006), p.232.

14) 南滿洲鐵道株式會社,南滿洲鐵道株式會社三次十年史(大連: 南滿州鐵道株式 會社, 1938→ 復刊本, 東京: 龍溪書舍, 1976), p.2449.

15) 홍보계 창설과 같은 시기에, 유사한 정보기관으로서 육군성 신문반이 1921년 에, 외무성 정보부가 1922년에 설치되었다. 白戶健一郞, 中國東北部における日 本のメディア文化政策硏究序說-滿鐵弘報課の活動を中心に (京都大學生涯敎 育學․圖書館情報學硏究9, 2010), p.135.

16) 마쓰오카(松岡洋右)는 1921년 7월부터 1926년 3월까지 이사로서, 야마토(山本 條太郞) 총재 시기인 1927년 7월부터 1929년 8월까지 부총재로서, 1935년 8월

(6)

로, 시베리아로부터 北滿에 걸친 정세가 매우 복잡하게 전개되고 있었 다.17) 1917년 러시아에서 혁명이 일어나고 제정 러시아가 붕괴하자, 일 본, 미국, 영국, 프랑스를 중심으로 한 연합국은 시베리아 출병에 의해 혁명에 대한 간섭을 행하였고, 제정 러시아의 北滿 지배의 근간이었던 中東鐵道를 둘러싸고도 복잡한 상황이 전개되었다.

연합국의 철병 이후에는 당시 동삼성의 지배자였던 군벌 장쭤린(張 作霖)과 소련이 협정을 체결함에 따라, 중동철도는 소련의 영향력 하 에 놓이게 되었다. 이에 만철은 중동철도와 경쟁, 긴장관계에 놓이게 되었다. 즉, 하야카와(早川千吉郞) 총재시대의 만철은 그야말로 중동철 도=소련과의 철도전쟁을 시작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마쓰오카의 방안은 만철배양선의 계 획이었다. 마쓰오카는 그러한 계획을 장쭤린과의 제휴를 통해 실현하 고자 하였다. 또한 그는 대소강경론을 제창하고 철도노선 계획을 진행 시켰다. 즉 그는 소련의 국내 정국이 혼란스럽고 소련군의 재편이 진 행되지 않아 군사력 역시 안정되지 못한 이 절호의 기회를 이용해서, 안으로 동삼성에 있는 중국 측 실권자와 결탁하여 동삼성은 물론 몽고 에서도 러시아의 세력을 축출하고자 하였다.

이 시기 마쓰오카를 중심으로 한 만철은 소련에 대한 정보수집에도 적극적으로 힘을 기울이기 시작하였다. 오조문고로 알려진 러시아어 도서 2만 권의 구입과 이후 만철 조사부의 소련 연구를 대표하는 인물 이 된 미야자키 마사요시(宮崎正義)의 소련 파견, 소련 연구를 담당할 만철하얼빈사무소 조사과의 신설, 육군의 대소 정보 수집에 대한 편의 제공 등을 통해서 만철이 소련 연구의 최선봉이 될 기초를 만들었던 것이었다.18)

부터 1939년까지는 총재로서 만철에서 활동하였다. 사토미(里見 脩)는 정보과 (1927)와 홍보과 (1936)의 신설은 마쓰오카가 관계하고 있다고 하였다. 즉 마쓰오카의 부총재 취임을 전후해서 정보과 가 신설되고 부총재를 사임하자 동과는 폐지되었고, 그가 총재로서 복귀하자 홍보과 가 신설되었다는 것이다 (里見 脩, 앞의 논문, p.233).

17) 加藤聖文,滿鐵全史 國策會社 の全貌(東京: 講談社, 2006), pp.72-75 참조.

(7)

1923년 4월에 있었던 만철의 직제 개정은 이상에서 서술한 정세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보여진다. 이 때의 직제 개정에서 서무부 조사과에 정보계가, 사장실 직속으로 홍보계가 창설되었다. 아 울러 하얼빈공소(1917년 개설)를 하얼빈사무소로 격상시키고, 거기에 조사과를 설치하였다. 하얼빈사무소 조사과는 북만과 극동소련령에 대 한 기본적인 조사를 행하고, 시사문제에 대한 조사와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주업무였다.19)

홍보계가 창설되고 가장 먼저 착수한 것은 신문 잡지 등을 통해 사 업을 광고하고, 사내 홍보업무의 실시기관에 대해 홍보 자료와 기타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었는데, 이후 점차 조직의 내실이 기해짐에 따라 다양한 매체를 통한 직접 선전에 나서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정보선전 조직이 갖추어진 초기 단계인 까닭인지, 그 활동은 회사의 사업 선전 이 주가 되었던 듯하다.20)

홍보계를 중심으로 한 만철의 선전공작은 1931년 9월 18일에 발발한 만주사변에서 한층 더 가속화되었다. 홍보계에서는 기록영화 제작,21) 일본 내지로의 선전반 파견, 간행물의 제작 배포, 사진 촬영 및 제작 등을 통해서 관동군의 군사행동을 적극 지원하였다.22)

1932년 3월 건립된 만주국은 그 건국과 존재의 정당성을 대내외적으 로 인정받아야 하는 상황이었음으로, 만주국에 있어 선전공작은 더없

18) 加藤聖文, 위의 책, pp.81-82 참조.

19) 磯村幸男, 앞의 논문, p86.

20) 松本豊三, 滿鐵と弘報業務 (宣撫月報, 1938年 10月).

21) 홍보계 창설과 같은해, 만철에서는 영화반을 설립하여 사장실 문서과에 소속 시켰다. 이후 1928년, 이 영화반은 홍보계의 관할이 되었고, 아쿠타카와 고조 (芥川光臧)가 책임자가 되었다. 만주사변이 발발하자, 영화반은 관동군을 따라 종군하여 기록영화를 촬영하였고, 홍보계에서는 선전반을 일본 내지 각지와 중 국 동북 각 지역으로 파견하여 필름을 상영하고 관동군의 전과를 선전하였다.

胡昶․古泉 著, 橫地剛․間ふさ子 譯,滿映 -國策映畵の諸相(東京: 現代書 館, 1999), p.14.

22) 南滿洲鐵道株式會社,滿洲事變と滿鐵(大連: 南滿洲鐵道株式會社, 1934), pp.408-414 참조.

(8)

이 중요한 것이었다. 만주국이 오족협화 , 왕도낙토 의 구호를 부르 짖는 선전공작의 대열에 물론, 만철도 합류하여 국책회사로서의 사명 을 다하게 된다.

만주국 초기의 정보선전정책은 초기 資政局을 거쳐 國務院 總務廳 情報處(1933년 2월 설립)에서 주관하였으나, 대내선전에 그 업무의 중 점이 두어졌으며 더욱이 일원화된 정보선전정책을 추진할 수 있는 체 계가 갖추어져 있지 않았다. 만주국이 정보선전정책 상에서 안고 있던 이러한 문제점은 1937년에 이르러 弘報處가 설립될 때까지 해결되지 않았다.23) 이렇게 볼 때, 만주국은 특히 초기 정보선전공작의 상당 부 분을 만철에 의존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물론 만주국에 홍보처 가 설립한 이후에도 홍보과를 중심으로 한 만철의 정보선전활동은 이 전 홍보계에서 추진했던 정보선전활동과 연속성을 지니면서 지속되었 다.24) 1933년 7월 관동군은 만철에 조직 개편을 요구하기 시작하였고, 결국 만철은 철도부문, 탄광부문, 거기에 조사라는 세 가지 부문으로 사업을 축소시키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 되었다. 만주에 있는 철도의 경우는 만주국으로부터 만철이 경영을 위임받았기 때문에 철도업무는 확대되었지만, 만철이 경영하고 있던 대다수의 산업 부문은 만주국의 1業1社 방침에 의해서 만주중공업개발주식회사(滿業)로 이관되었다.25)

이러한 상황 속에서 만철은 1936년 10월 1일 창업 이래, 대규모의 직제 개정을 단행하였다.26) 1936년의 직제 개정에서 만철은 정보와 선 전업무를 일원적으로 주관하게 되는 弘報課를 신설하였다. 야마모토 타케요시(山本武利)는 이러한 홍보과의 신설은 다음해에 곧이어 만주 국에서 홍보처가 설립되는 것과 연관을 가지는 것이며, 관동군의 영향 력이 작용한 것으로 보고 있다.27)

23) 만주국 정보선전기구의 변천과 업무에 관해서는 전경선, 만주국 정보선전정 치의 중추, 총무청 홍보처 (역사와 경계74, 2010년 3월) 참조.

24) 松本豊三, 滿鐵と弘報業務 (宣撫月報, 1938年 10月).

25) 磯村幸男, 앞의 논문, p.88.

26) 財團法人 滿鐵會 編,滿鐵四十年史(東京 : 吉川弘文館), p.595.

27) 山本武利 外, 앞의 책, p.8.

(9)

소관처 소관업무

서무계

․ 과내 간행물 인쇄 배포

․ 社史의 편집,三十年略史,三次十年史간행

․ 다른 계의 주관에 속하지 않은 사항

홍보 제1계

․ 내외 선전, 홍보기관과의 연락

․ 언론기관의 이용

․ 간행물, 영화필름 및 사진의 정비 및 운용

․ 박람회 및 전람회의 주최 및 참가

․ 홍보선전용 간행물의 편집 및 출판

․ 회화(포스터, 카렌더 등)의 작성

․ 사진의 작성

만주그래프의 편집, 발행 홍보 제2계 ․ 대외선전

정보 제1계 ․ 서무, 정치, 경제, 교통의 4반으로 분과

․ 정보의 수집, 통보 및 공표에 관한 사항을 분장 정보 제2계 ․ 정보기관의 연락통제, 정보의 정리 편집

․ 조사기관연합회사무소를 주관

*南滿洲鐵道株式會社,南滿洲鐵道株式會社第三次十年史(大連: 南滿洲鐵道株式會 社, 1938; 복간본, 東京: 龍溪書社, 1976), pp.2447-2457)에 의거하여 작성.

<표 1> 홍보과 내의 분과와 소관 업무

만철에서는 홍보과가 생기고 나서, 정보 업무와 홍보 업무가 일체의 조직으로서 장악되고, 또한 홍보의 개념이 정착하여 홍보라는 것은 정 보, 선전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여겨지게 되었다고 한다.28) 이제 만철의 정보선전정책은 홍보과의 전략에 따라서 활성화되기 시작하였다.

홍보과 내의 분과와 그 담당 업무는 다음의 표에서 보는 바와 같다.

이상에서 볼 때, 이전 홍보계에서 주관하던 대부분의 업무는 홍보과 내의 홍보 제1계로 이관되었고, 유럽과 미국을 대상으로 한 대외선전 부문은 신설 홍보 제2계에서 주관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홍보계 시기의 만철의 선전은 회사 사업을 선전 소개하는 데에 중점이 두어졌 다면, 만주국 수립 이후 홍보과 시기의 선전은 만주국 측과의 협력 제 28) 磯村幸男, 앞의 논문, p.85.

(10)

新京지사 서무과 홍보계

철도총국 자료과 각 지역 철도국 총무과 자료계 각 지역 주요 역

東京 지사

업무과 조사계 철도과 홍보계 大阪사무소 조사계 東京, 大阪, 門司의 鮮滿案內所 名古屋, 新瀉의 주 재원

본사(大連) 총재실 홍보과

중일전쟁 이전 중일전쟁 이후 天津사무소

서무과 홍보계 북중국사무국 北平사무소 홍보반

자료계 靑島, 濟南, 다 륜, 張家溝, 太 原, 受湲, 大 同, 通州의 주 재원

包頭公所

上海사무소 서무과 홍보계

上海사무소 조사과 홍보계 南京, 漢口, 福

州, 홍콩의 주

재원 홍콩 주재원

구주사무소(파리) 뉴욕사무소

<표 2> 만철이 구축한 정보선전의 조직망

휴 하에서 국책 선전으로 나아가게 되었다. 특히 1937년 중일전쟁이 시작되고, 1941년 일본이 태평양전쟁에 돌입하게 되는 급박한 상황 전 개에 따라 만철의 선전도 국책 선전으로 방향을 잡게 되었다.29)

29) 白戶健一郞, 앞의 논문, pp.126-127.

(11)

*松本豊三, 滿鐵と弘報業務 (宣撫月報, 1938年 10月)에 의거하여 작성.

이상의 표에서 보듯이, 만철 홍보과는 회사 내의 각 부서뿐만 아니 라, 만주국, 일본 내지, 중국 내지, 유럽과 미국 등 광범위한 지역에 걸 쳐 조직망을 구축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大連 본사의 홍보과 는 이들 소위 출장기관(出先기관)과 모든 통신 방법을 동원해 긴밀한 연락을 가지면서 정보선전활동을 추진하였다.

만철이 가진 이러한 조직망은 오랜 기간에 걸쳐서 지속된 정보선전 부문에 대한 주의와 투자 속에서 구축된 것이라고 볼 수 있고, 신생국 가인 만주국에서 단번에 구축할 수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만주국은 정보선전 부문에 있어 상당 부분 만철에 의존할 수밖 에 없는 상황이 아니었는가 생각한다.

Ⅲ. 미디어를 통한 정보선전

만철 정보선전활동의 특징 중 하나는 당시의 모든 미디어를 총동원 하였다는 점에 있다. 선전의 중요한 매체였던 신문, 영화, 라디오는 물 론 팜플렛, 단행본, 잡지의 출판, 그림엽서, 포스터, 카다로그, 카렌더, 종이인형극 등의 제작․배급, 사진전시회, 저명작가와 평론가 초청 강 연회 개최 등 모든 수단을 동원한 다방면에 걸친 선전공작이 진행되었 다. 이러한 만철의 축적된 홍보활동의 기술과 경험은 만주사변에서 그 역량이 유감없이 발휘되었고, 만주국이 건립된 이후에도 만철의 홍보 계․홍보과를 중심으로 한 이러한 정보선전활동은 지속적으로 이루어 졌다.

1931년 발발한 만주사변은 1200km 전후의 철도와 관동주, 그리고 연선 부속지에서 사업을 전개하는 데에 지나지 않았던 만철의 활동 범 위를 일거에 확대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12)

사변이 발발하자, 만철은 결국 수뇌부로부터 사원에 이르기까지 적 극적으로 관동군을 지원하고, 사변의 확대에 일익을 담당하였다. 우선 관동군이 계획하고 있던 만주 전역에서의 작전행동은 철도가 신속하게 운행되어야 비로소 가능한 것이었다. 즉, 철도수송 방면에서부터 만철 의 적극적인 협력이 이루어졌다는 것이다.30) 조사과는 이미 마쓰오카 (松岡) 이사 시대부터 소련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관동군과 관계가 깊 었고, 그 관계는 사변까지 이어졌다. 조사과장이었던 사타 코우지로우 (佐多弘治郞)는 사변 전부터 관동군 참모 이시하라 간지(石原莞爾)와 빈번하게 접촉하고 이시하라의 구상을 실현하는 데에 적극적으로 관계 하였다.31)

사변 발발 후, 특히 만철 조사부 내에서는 관동군과 결합하여 만철 조사부를 군의 조사기관으로 조직 개편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났고, 마 침내 1932년 1월 관동군의 점령 정책을 조사․입안하는 기관으로서 경 제조사회가 발족되기도 하였다.32) 만철사원회 역시도 군경, 사원 위문 과 구휼금 모금, 국내외에서의 홍보활동에 의해 사변을 이면에서 지지 하는 역할을 적극적으로 다하였다.33)

아울러 만철은 자료과 정보계와 총무부 서무과의 홍보계를 중심으 로 정보선전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하였다. 앞서 언급한 <표 2>에서 보 듯이, 당시 만철의 정보망은 전 만주지역은 물론, 중국 내지의 주요 도 시, 일본, 뉴욕, 파리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구축되어 있었다. 본사 조사과 정보계에는 사변 발생에 따라, 각 지방 사무소 등 출장기관으 로부터 시국 관련 각종 정보가 접수되었다.

당시 수집된 정보는 크게 두 종류로 나누어 처리되었다. 첫째, 정치, 30) 만철의 만주사변에 관련한 군사협력은, 이후 계속해서 32년 3월 1일의 만주 국 건국, 33년 3월의 만주국유철도의 경영수탁과 新線 건설, 더욱이 33년 3월 의 熱河 침공으로 이어진다. 財團法人 滿鐵會 編,滿鐵四十年史(東京: 吉川 弘文館, 2007), p.118.

31) 加藤聖文,滿鐵全史 國策會社 の全貌(東京: 講談社, 2006), p.128.

32) 고바야시 히데오 지음, 임성모 옮김, 앞의 책, pp.125-132.

33) 加藤聖文, 앞의 책, p.132.

(13)

외교, 산업, 교통 및 기타 일반 정보는 사변 이전과 같이 직접 본사로 통보하여 적절히 처리하게 하였고, 둘째, 군사 그 중에서도 匪賊의 동 정에 관한 정보들은 각 출장기관에서 직접 그 소재지의 수비대, 헌병 대, 혹은 경찰서 등에 제공하게 하였다.34)

한편, 선전활동은 사변의 진상을 대내적으로 선전해서 널리 알리는 일이었다. 여기서 말하는 사변의 진상이란 당연히 일본 측의 입장, 즉 관동군의 군사행동을 정당화하는 것임은 말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만 철은 사변의 중대성과 회사 독자의 입장에 비추어, 자신들의 입장을 세계 여러 나라에 선전할 필요를 인식하고, 육군 측과 협조하여 즉시 선전공작을 시작하였다. 회사의 선전활동의 범위는 만철이 구축해 놓 은 사내외의 각 기관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지극히 다방면에 걸쳤다.

만철은 社線 연선의 경우는 각 지방사무소로 하여금 그 업무를 담당하 게 하고, 社外線 연선의 경우에는 각 출장기관이 그 업무를 담당하게 하였다. 이외에 상하이, 도쿄, 멀리 파리, 뉴욕 등 각지에서는 여러 사 원을 선전에 동원하였다. 그 선전의 방법은 때와 장소에 따라 달라졌 지만, 대개 선전 삐라의 살포, 팜플렛의 배부, 강연회의 개최, 라디오방 송, 활동사진의 상영 등이 주요한 것이었다.35)

이 시기 만철이 가장 주요하게 활용했던 선전방법 중의 하나는 기 록영화 제작과 제작 영화의 상영을 통한 선전이었다.36) 앞서 언급했듯 이 이러한 기록영화는 홍보계 영화반에서 제작되었다. 홍보계는 9월 19일 새벽부터 활동사진촬영반을 현장으로 급파하여, 奉天을 시작으로, 長春, 吉林 등 기타 각지의 사변 경과를 촬영하게 하였다. 파견된 사원 들은 관동군의 일원으로서 사변의 전 과정에 걸쳐 자료를 수집하고 그 제작을 담당하였다. 만주사변 시기 이러한 기록영화의 제작에서는 사 변의 경과를 내외에 알리는 것에 가장 역점을 두었다. 그 결과물은 다 음과 같다.

34) 南滿洲鐵道株式會社,滿洲事變と滿鐵, p.399.

35) 南滿洲鐵道株式會社,滿洲事變と滿鐵, pp.407-408.

36) 南滿洲鐵道株式會社,滿洲事變と滿鐵, pp.409-412.

(14)

․滿蒙破邪行第一篇(전5권 1543미터) : 사변발발 후, 奉天에서의 전투경 과로부터 長春, 吉林에 이르는 주요 각지의 사변 현장을 기록 편집

․滿蒙破邪行第二編-嫩江越えて(전5권 1540미터) : 1931년 11월 중순, 洮昻線 치치하르 이남에서 흑룡강군에 대한 관동군 제2사단의 전투경 과를 중심으로, 洮昻線 부설 당초부터의 사정을 보여줌

․遼西の掃匪(전5권 1132미터) : 1931년 12월 말부터 다음해 1월까지의 관동군에 의한 錦州, 山海關 방면의 비적토벌의 상황과 만철과 관동군 이 협력해서 행한 奉天, 山海關 일대의 수리 작업과 일본군의 수송 정 황을 기록 편집

이들 작품은 일본 내지 각지에서 상영되고, 동시에 만철연선의 각지 에서도 상영되었다. 일본 내지의 영화 상영은 우선, 만철의 출장기관인 東京支社, 도쿄, 오오사카, 시모노세키의 각 鮮滿案內所, 뉴욕사무소와 동아경제조사국 등을 통해서 상영되었는데, 각종 집회를 이용한 상영, 필름 대여를 통한 상설관 상영, 순회강연과 병행한 상영도 진행되었다.

또한 만철 홍보계는

滿蒙破邪行第一篇

이 완성되자, 3-6명 정도로 구 성된 선전반 4반을 조직하여 일본으로 파견하였는데, 약 1개월에 걸쳐 서 도쿄, 오오사카, 홋카이도, 큐슈, 타이완을 제외한 내지 각지에서 강 연과 병행하여 필름을 상영하고 관동군의 戰果를 선전했다.

1932년 2월, 관동군 제4과는 만철과 자치지도부의 인원으로 구성된 두 개의 선전영화반을 편성, 중국 동북 각지로 파견하여 영화 상영을 통해서 일본의 문화를 소개하고 일본군의 위용을 선전, 만주국 건국의 분위기를 조장하였다.37)

이렇듯, 만주사변 시기 만철의 영화 제작과 상영은 관동군의 군사침

37) 제1반은 만철과 자치지도부의 각 3명으로 구성되어, 32년 2월 18일부터 3월 18일까지 四平街, 八面城, 鄭家屯, 通遼, 開通, 兆南, 泰來, 치치하르, 하이라르, 滿州里, 하얼빈, 吉林, 朝陽鎭, 海龍, 山城鎭에서 선전 상영을 행하였는데, 관객 수는 42,150여 명에 이르렀다. 제2반은 만철 소속 4명과 자치지도부 소속 2명 으로 구성되어, 32년 2월 18일부터 3월 27일까지 奉天, 新民, 大虎山, 黑山, 溝 帮子, 錦州, 大凌河, 興城, 綏中, 義縣, 雙臺子, 北鎭, 撫順, 安東, 鳳凰城, 本溪 湖, 蓋平, 營口, 海城 각 지에서 선전 상영을 하였는데, 관객수는 40,500여 명에 이르렀다. 南滿洲鐵道株式會社,滿洲事變と滿鐵, p.414.

(15)

략과 보조를 맞추어 진행된 것으로, 관동군의 입장을 대변하는 것이라 고 할 수 있다.

1932년 3월 만주국이 건립된 이후, 만철에서 제작한 기록영화는 소 재가 다양해지긴 했지만, 日滿協和 를 선전하고 관동군의 입장을 지 지하는 것으로 일관하였다.38) 이렇게 하여 만철이 제작한 영화들은 일 본 내지와 중국 동북에서 순회 상영되었다. 하지만 만철 영화의 주요 사명은 영화를 통해서 일본 내지에 만주의 사정을 소개하는 것이었고, 대외적으로 만주를 소개 선전하는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39)

만주국 건립과 함께 만철의 영화 제작은 만주국 측과의 제휴, 협력 하에서 국책에 이바지하는 쪽으로 나아가게 되었다. 만주국 정부기관 의 각 부서는 선전의 필요로부터, 영화에 대해 아주 적극적이었다. 그 들은 자체적으로 영화설비를 갖추는 동시에, 만철과 일본의 영화회사 에 위탁해서 기록영화를 제작하게 하였다. 1933년 3월, 만주국에서는 총무청에 정보선전기관인 정보처를 설립하여 사상 선전과 정보 수집을 총괄하였다. 정보처는 국내외의 선전에 영화를 이용하기 위해, 만철 홍 보계와 협력하여 기록영화

新興滿洲國大觀

(5권)을 제작하였다. 이어 서 일본어,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판 등을 제작하고 일본의 재외공관 을 통해서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소련, 스위스 등으로 배 급하였다.40)

그 후, 만철의 촬영 범위는 더욱 확대되어, 1935년에는

秘境熱河

(5 권),

草原バルガ

(2권)를 완성시켰다. 1936년 11월, 만철은 영화반을 확충하여 만철영화제작소를 정식으로 발족시켰다. 이렇듯 만철 영화반 의 영화제작 활동은 이후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1938년 무렵에는 제작 영화의 편수가 160편 이상에 달하였다.41)

38) 1932년에는建國の春,滿洲少女使節,學童使節,結成協和,本庄將軍 の凱旋,敢然承認へ,滿洲に於ける國際聯盟調査團,北滿曠野を拓く者 8개 작품이 만들어졌다. 南滿洲鐵道株式會社,滿洲事變と滿鐵, p.410.

39) 古市鴉子,滿映 電影硏究(北京: 九州出版社, 2010), p.11.

40) 胡昶․古泉 著, 橫地剛․間ふさ子 譯, 앞의 책, pp.19-20.

41) 松本豊三, 滿鐵と弘報業務 (宣撫月報1938年 10月).

(16)

날짜 사설의 제목 1931년 9월 20일 日支兩軍의 충돌

23일 日支兵衝突과 국제법규, 不戰조약과 국제연맹 24일 국제연맹이사회의 결의, 해결을 곤란하게 할 것이다 25일 누가 사건을 확대하는가

26일 제1단계의 문제, 중대한 시기와 우리 官民의 靜思 27일 국제연맹의 양해

28일 滿洲의 특수성, 구미인에게 보급시켜야 하다

29일 滿洲 良民의 원망, 권한을 훔친 군벌의 절멸, 왕도자치의 시행 30일 東四省(遼寧省, 吉林省, 黑龍江省, 熱河省)의 자치

10월 1일 영토에는 욕심이 없다

<표 3> 만주사변 시기 滿日의 사설 제목

다음으로, 만철은 만주사변이 발발하자, 기관지인

滿日

42) 동원 하여 관동군의 군사행동을 지지하는 논조를 전개하였다. 만주사변의 발발 소식을 제일 먼저 전한 것도 만철의 기관지

滿日

이었다.43)

이어서

滿日

은 9월 18일의 사건에 관해서 중국이 국제연맹에 제 소한 것은 부당한 것이고, 그것은 사변의 책임을 일본으로 돌리려는 음모라고 중국 측을 비난하는 사설을 게재하였다. 사건 발생 후, 1개월 간의

滿日

사설의 제목을 종합해 보면, 사건을 정당화하는 논조로 일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2)滿日은 창간 이래, 신문의 이름(題號)을 몇 번 변경하였다. 창간 당초는滿州日日新聞이었는데, 1927년 10월 31일遼東新聞을 매수했을 때에는滿 州日報로 이름을 바꾸었다. 그 후 1935년大連新聞을 매수하고 나서는 이 름을滿州日日新聞으로 다시 되돌렸으나, 1944년 4월 新京의滿州新聞 매수하고 나서는 또滿州日報로 변경하였다. 李相哲, 滿洲のすべての新聞に 關與 (滿鐵とは何だったのか, 東京: 藤原書店, 2006), p.230.

43) 봉천 교외의 柳條湖에서 중일 양 군대의 무력충돌이 시작된 것은 9월 18일 오후 10시 반 경이었다. 그로부터 몇 시간 후인 9월 19일,滿日의 조간은 일 면 전부에 사건 관련 기사를 게재하였다. 탑 기사로부터 전체가 무력 충돌에 관한 보도였다. 李相哲,滿洲における日本人經營新聞の歷史(東京: 凱風社, 2000), p.276.

(17)

3일 정권은 중국인의 선택, 일본인의 不關與, 蔣公使의 엉뚱한 판단 4일 南京, 廣東의 타협, 합류정권의 외교방침

6일 공존공영의 낙토, 영원한 평화선린의 交誼

8일 중부 支那의 위기, 우리 정부의 항의, 支那의 반성의 要 11일 사건확대는 支那의 책임, 支那 적대행위 國聯결의 위반 13일 國聯이사회와 사실의 인식, 日支관계내력, 支那兵의 소질 16일 일본의 권익과 그 공적, 芳澤대표 外人의 인식을 촉구하다 17일 미국대표의 國聯 참가, 法理上의 不當, 이사회의 면목 20일 시국의 원인과 국민의 주장, 列國의 深慮를 바란다

*李相哲,滿洲における日本人經營新聞の歷史(東京: 凱風社, 2000), pp.283-284에서 재인용.

한편, 일본의 동북 점령은 이미 중국 내지의 반일 감정을 자극하여, 중국 각지에서는 배일․반일활동이 전개되고, 일본 상품불매운동이 전 국 규모로 확대되고 있었다. 이러한 중국 국내의 반일 감정에서 대해 서도,

滿日

은 이처럼 사태를 악화시키고 있는 것은 어디까지나 중국 측이라고 하고 그 대응방식을 비난하였다.

만주국 건국에 즈음해서도,

滿日

은 日滿不可分 을, 만주에서 왕 도정치 가 시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함으로써44) 만주국의 건국을 적극 적으로 지지하고 나섰다.

1907년 말부터 만주사변 발발에 이르는 시기까지, 만주에 있는 대부 분의 신문은 만철의 자금에 의한 조종 을 받고 있었다. 만철은 그 기 관지인

滿日

을 통해서

遼東新聞

을 비롯해서 大連의 유력지를 차례 로 합병․매수하고, 만주에서 패권적 지위를 확립하고 있었다.45) 이러 한 상황에 근거해 볼 때, 당시 만철이 절반 이상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던

盛京時報

,

哈爾濱日日新聞

,

The Manchuria Daily News

,

奉天日日新聞

,

大新京日報

등의46) 신문도 만철의 기관지인

滿日

44) 李相哲, 앞의 책, pp.287-288, pp.291-293 참조.

45) 李相哲, 앞의 책, p.22.

46) 李相哲, 앞의 책, p.83의 표 <滿鐵資本投下의 新聞社一覽> 참조.

(18)

의 논조를 따르고 있었을 것이고, 만철은 자신들의 영향력 하에 있는 신문을 통해서 만주사변과 곧이은 만주국 건립의 정당성을 호소하고 지지하는 선전활동을 행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특히 상해에서는 만주사변에 이어, 1932년 1월 18일 상해사변이 발 발하였다. 당시 만철 상해사무소가 중심이 되어 대외선전기관인 프레 스․유니언(Press Union)이 설립되었다. 프레스․유니언에서는 일본공 사관, 육해군무관, 만철 등에 의해 직접 공급받는 정보 가운데, 대외선 전에 적당한 것을 취사선택하여 매일 영문 뉴스를 발행하고, 그것을 외국신문, 통신사, 통신원 및 각국의 외교관계자에게 배포하였다. 만철 은 상해사무소를 중심으로 프레스․유니언의 대외선전에 적극 협력하 였다.47)

만철은 그 출장기관인 東京支社, 각지의 鮮滿案內所, 뉴욕사무소, 파 리사무소 등을 통해서도 현지의 신문 잡지를 대상으로 滿蒙의 사정을 알리기 위한 대외선전을 적극 전개하였다.

이러한 만철의 미디어를 통한 선전공작은 만주국 건립 이후에는 오족협화 , 왕도낙토 의 이미지를 만들어내야 하는 만주국의 국책에 기반하여 전개되었다. 특히 그러한 사명을 충실히 수행한 선전물 중의 하나가 만철 홍보과에서 발행했던 사진 잡지

만주그래프

였다.

만주 그래프

는 1933년 9월에 창간되어 1944년에 폐간된 사진 잡지이다.

만주그래프

는 만주에서 최초로 시도된 사진 잡지로, 만주국과 만철의 프로파간다를 목적으로 만들어졌던 것이다. 독자로서 상정되었던 대상 은 주로 일본인이었는데, 해외 선전도 염두에 두었기 때문인지, 게재 사진의 설명은 일본어와 영어로 병기되었다. 지면의 대부분은 수도 新 京의 건설, 철도 신설 등 만주국의 발전상, 철도연선의 관광지와 대자 연, 중국․조선․몽고․러시아 제 민족의 행사와 생활 모습, 만철의 사 업을 비롯한 각종 산업의 현황, 도시 풍속과 농촌 풍속, 문화, 스포츠 등에 관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48) 만철 홍보과에서는

만주그래프

47) 南滿洲鐵道株式會社,滿洲事變と滿鐵, p.419.

(19)

라는 미디어를 도구로 민족협화 , 왕도낙토 의 이상경을 강조하며 선전해 보였던 것이다.

다양한 미디어를 통한 만철의 선전공작은 1937년 중일전면전이 시 작되면서 만주국 홍보처와의 제휴 하에서 이루어졌다. 중일전쟁은 1938년 말 무렵부터 전선이 교착 상태에 빠지고 장기화 국면으로 들어 갔고, 1941년에는 일본이 태평양전쟁에 돌입하는 상황이 전개되었다.

이러한 장기간에 걸쳐 국가의 총력을 동원해서 총력전을 수행해야 하 는 만주국의 상황에서 사상전, 선전전에 대한 중요성은 날로 더해갔고, 그렇다면 만주국에서 국책회사로서의 만철이 수행해야 할 의무와 부담 도 그 만큼 증대되었음을 짐작할 수가 있을 것이다.

Ⅳ. 해외사무소의 설치와 대외정보선전

만철의 정보선전활동 중에서 또 하나 주목되는 것이 해외사무소의 설치와 그것을 통한 대외정보선전이다. 마쓰오카 요스케(松岡洋右)가 섭외담당이사로 재임했던 1923년 만철의 본격적인 해외 홍보활동이 시 작되었다. 그 조직화와 업무를 담당했던 사람이 앞서 언급했던 다카야 나기 야스타로우(高柳保太郞) 촉탁이었다.

만철의 해외홍보는 당초부터 미국을 중시하고 있었다. 파리에 파견 원이 두어졌던 것은 1929년의 일이고, 유럽 여러 나라에서의 홍보활동 은 상당히 뒤에 시작되고 있었다.49)

뉴욕사무소는 애초에는 미국 쪽에 회사의 사정을 소개하고, 조사(주 48) 西原和海, 滿洲における弘報メディア-滿鐵弘報課と滿洲グラフのことなど

(國文學: 解釋と敎材の硏究51-5, 2006).

49) 이 시기 만철이 해외 홍보에 본격적으로 매진하게 되었던 주요한 이유는 첫 째, 중국 내셔널리즘의 고양에 따라서 중국 측이 미국 등지에서 적극적인 반일 선전을 했다는 점, 둘째, 만철이 미국에서 철도자재의 조달과 재정 상황 개선 을 위한 起債를 필요로 했다는 것이었다. 井村哲郞, 滿洲事變後滿鐵海外弘 報․情報活動の一齣-ヘンリ․W․キニー覺書 (アジア經濟10, 1993), p.62.

(20)

로 사채의 모집과 구매 사무에 관한 사항), 회사용품 구매, 출장간 사 원이나 유학간 사람들에게 편의를 제공할 목적으로 설치된 것이었다.

만철은 1920년 4월 미국 뉴욕에 4명의 사원을 출장 보낸 것으로써 그 업무를 시작하였고, 1922년 11월에는 출장원 주재의 형식을 바꾸어서 뉴욕사무소를 설치하였다.50)

뉴욕에 상설사무소를 개설한 것은 이후 있을지도 모를 회사채 모집 에 대비한 조처였다. 그러나 미국 내의 일본 제국에 대한 여론이 악화 됨에 따라, 미국 내의 정치, 경제, 정세, 여론의 동향을 파악하고, 미국 측을 대상으로 극동 시국에 대한 자료 제공, 홍보, 선전 등의 업무를 맡으면서 사무소의 성격이 점차 변화하였다.51)

만주사변이 발발하자, 미국은 일본의 군사행동을 비판하고 뉴욕에서 는 일본 상품불매운동이 일어나면서 미국 내 여론은 악화되었다.52) 이 러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서 뉴욕사무소를 중심으로 재미일본유력기 관, 일본상업회의소 등이 연합하여 대미선전을 시작하였다. 각종 인쇄 물 배포, 라디오 방송, 보통 강연 등을 통해서 사변에 있어서 일본 행 동의 정당성을 역설하고 진상을 알리는 것이었다. 20여 종의 사변 관 련 팜플렛을 직접 출판하고, 다른 곳으로부터 접수된 출판물도 미국 정부와 국민을 대상으로 배포하였고 신문, 잡지 등을 통한 선전도 함 께 진행되었다.

50) 南滿洲鐵道株式會社,南滿洲鐵道株式會社第三次十年史, pp.2576-2577.

51) 南滿洲鐵道株式會社, 위의 책, p.2577.

52) 미국 역시 경제적 가치와 더불어, 해양출구를 지닌 한반도의 인접 지역이라 는 점에서 만주를 주목하였다. 미국이 제국주의 시기에 펼친 문호개방정책은

‘만주=시장’으로 인식한 것 못지 않게 ‘만주=국가안보를 위한 국경’으로 간주하 였다. 제1차 세계대전 후 미국은 문화개방의 영토 보전 및 행정적 실체 보전 조항을 국제법화하기 시작하였다. 윌슨이 주창한 국제연맹이 그것이다. 미국이 마련한 중국의 영토보전조항은 1930년대에 들어 도전받기 시작했다. 1931년 만 주사변을 통해 만주에 괴뢰국을 세움으로써 중국에서 만주를 분리하려던 일본 의 기도는 미국을 중심으로 한 국제사회의 비난을 불러 일으켰다(최정수, 미 국의 세계안보전략과 만주 개방정책의 실체 (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 각의 제국주의 정책, 동북아역사재단, 2007년 참조).

(21)

영어가 능숙한 일본인교포 등을 동원하여 각종 모임에서 강연회를 개최하여 미국인에게 일본의 행동이 정당하다는 것을 설명하게 하였 다. 또한 사변 당초 라디오방송국과 계약을 맺어서 매주 1회 니토베 이나조우(新渡戶稻造) 박사, 쯔루미 유우스케(鶴見祐輔) 등이 방송에 출현하여 미국인에게 만주의 사정을 알리고 일본의 입장을 피력하였 다.53)

또한 사변 전부터 뉴욕사무소에 보관된 만철 사업소개에 관한 활동 사진을 토키판으로 개조하여 미국 각지의 영화관에서 상영하게 하였 다. 당시 미국 내에는 만주에 관한 적당한 사진이 없었던 까닭에, 백 퍼센트의 선전 가치를 발휘하였다고 한다.54)

뉴욕사무소는 회사의 직제 상 총무부의 관리에 속하고 그 업무는 회사 사업의 소개 선전에 관한 사항, 조사에 관한 사항, 특별히 지시받 은 사항을 수행하는 것이었다. 즉 사무소는 만철의 구미 출장기관으로 서 정보 및 조사에 관한 업무를 분담하고 있었다.

만주국 성립 이후, 뉴욕사무소는 만주 특산물의 해외수출과 관련해 서 세계 주요 농산국이었던 미국의 농업 경제사정에 대한 조사에도 착 수하였다.55)

<뉴욕사무소의 정보 조사방침>

․ 만주국, 일본의 대륙정책 및 일반 극동정세에 대한 미국 여론의 반향 내지 동향에 관한 정보

․ 만주국, 일본의 대륙정책 및 일반 극동정세에 특수한 의의를 가질 수 있는 미국 官民의 제3국, 특히 러시아, 중국에 관한 각종 계획, 작위 내지 정책에 관한 정보

53) 만주사변 후인 1932년, 나토베, 쯔루미가 미국을 방문하여 CBS라디오 방송에 출연하고, 미국 전국 각지에서 100회 이상 강연을 하면서 일본의 입장을 호소 하였는데, 라디오방송은 만철 뉴욕사무소가 라디오국과 계약했기 때문에 강연 회의 절차도 뉴욕사무소가 준비하고, 또한 이들의 1년 간에 걸친 미국 체재비 도 만철이 부담하였다고 한다.(里見 脩, 앞의 논문), p.235.

54) 南滿洲鐵道株式會社,滿洲事變と滿鐵, pp.426-427.

55) 南滿洲鐵道株式會社,南滿洲鐵道株式會社第三次十年史, p.2577.

(22)

․ 만주국, 일본의 대륙정책 및 극동정세에 간접, 직접 영향이 큰 미국 내 중요 정책의 조사정보

․ 미국 내에서의 여론의 구성, 여론 지도기관의 연구 조사

․ 만주국 특산물(을 원료로 하는 제품)의 해외시장 경쟁품인 미국 농산 물(을 원료로 하는 제품)에 관한 조사

․ 미국 진출을 목표로 하는 만주국 농산품의 미국 내 농산물시장에서의 상황, 미국 내 농산물공업(특히 油脂공업, 사료공업) 사정과 그 제품 및 원료의 수급관계의 조사

․ 이상에 관한 미국 경제정책의 조사정보와 시국문제에 관한 정보

․ 각 부서로부터 특별히 의뢰받은 사항의 조사

(南滿洲鐵道株式會社, 南滿洲鐵道株式會社第三次十年史, p.2577) 뉴욕사무소가 실시했던 조사의 내용을 보면, 제1차세계대전 이후 국 제사회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던 미국의 일본 제국, 특히 만 주국에 대한 인식과 여론을 파악하고, 미국 내의 여론이 만주국에 유 리하게 조성되게끔 하는 것이 국책회사인 만철의 대외 선전부문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만주국 농업 부 문의 경쟁국으로서 미국을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에 미국의 농산물을 중심으로 한 경제 부문에도 상당한 관심을 가지고 조사가 진행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구주사무소는 1929년 5월 사원을 파견하였다가, 1934년 파리사무소 로 승격되었고, 1937년에는 구주사무소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구주사무 소는 총재실의 관리에 속했으며, 회사의 소개 및 선전, 조사, 국제철도 회의, 특별히 지시받은 사항을 관장하였다.56) 즉, 구주사무소는 만철의 유럽 방면의 출장기관으로서 정보, 조사, 홍보의 업무를 담당하였다.

1931년의 만주사변은 유럽인들에게도 큰 충격을 준 사건이었다. 구 주사무소에서는 일본군의 군사행동이 침략이라는 인상을 가지고 있었 던 유럽인들을 대상으로 회사의 불·독 유학생과 기타 여러 방면에서 협력을 얻어 이러한 대일 분위기를 호전시키기 위해 노력하였다.

파리에서의 대외선전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되었다.57) 첫째, 56) 南滿洲鐵道株式會社,南滿洲鐵道株式會社第三次十年史, p.2578.

57) 南滿洲鐵道株式會社,滿洲事變と滿鐵, pp.427-429.

(23)

프랑스 언론계를 통한 대외선전이었다. 파리파견원은 회사의 유학생들 과 협력해서

La Nation

(週刊: 공화사회주의 동맹의 정치 기관지),

Le Pigaro

(日刊),

La Libérté

(日刊),

La Petite Gironde

(日刊) 등의 신문 잡지에 소논문을 게재 발표하고 사변에 관한 일본 측의 입장을 선전 하였다.

둘째, 소책자를 간행 배포하는 것이었다.

L'Affaire de Mandchourie

(만주사변),

Ce qu'on apprends en Chine

(우리가 중국에서 배우는 것),

La Mandchourie-hier et aujourd'hui

(만주의 어제와 오늘),

Second Report on Progress in Manechouria

(1931)의 불역판, 본사 다 른 부서로부터 송부받은 수십 종의 책자 등을 배포하였다. 이 책자들 은 대체로 국제연맹, 프랑스 정부, 프랑스 상하양원, 상업회의소, 은행 가, 실업가, 신문사 아울러 영국, 독일, 벨기에 등 여러 나라의 要人에 게 배포되었다. 또 리튼조사원의 접견 시에도 사용되었으며 동시에 위 원들에게도 송부되었다. 셋째, 신문기자의 조종을 통한 선전이었다. 프 랑스 신문기자의 조종은 파리파견원이, 러시아 신문기자의 조종은 유 학생들이 맡았다. 독일 쪽에 대한 선전은 1932년 11월 4일 파리파견원 을 베를린으로 특파하여 약 2개월에 걸쳐서 체류시키고 각 정당을 대 표하는 저명한 신문사의 대표 24명과 개별적으로 매회 수 시간에 걸쳐 회견을 가지면서 극력 만주에 있어서의 일본의 입장을 피력하였다. 넷 째, 파리파견원을 통해서 프랑스정부와 의회에 대해 이른바 諒解운동 을 전개하였다.

만주국의 건국과 함께 만철의 해외 홍보활동은 더욱 활발하게 진행 되었다. 만철은 이제 만주국의 선전도 담당해야 했기 때문이다. 1932년 12월 신설된 총무부 자료과 정보계의 주요한 업무에 정보의 수집, 통 보와 아울러 국제 선전이 포함되었다. 그것은 당시 각 부서에서 행해 지고 있던 국제 홍보의 연락을 밀접하게 해서 능률화를 도모하기 위한 것이었고, 국제홍보위원회가 신설된 것도 이 때문이었다.58)

58) 井村哲郞, 앞의 논문, p.64.

(24)

이후 정세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대외 선전업무를 확대할 필요성 이 커짐에 따라, 1936년 8월에는 뉴욕사무소, 구주사무소 등의 재외기 관을 확충하였다. 동시에 재외기관의 유기적인 업무 수행을 위해 총무 부 자료과에 국제선전계를 설치하였다. 국제선전계는 같은 해 10월 홍 보과가 신설됨에 따라 홍보 제2계가 되었다.59)

1931년 9월, 만주사변이 발발하자, 중국은 국제연맹에 제소하였고 효 과적인 조치를 취할 수 없었던 연맹에서 조사단을 파견하기로 결정하 였다. 1932년 5월, 이른바 리튼조사단이 만주에 도착하여 약 5개월에 걸친 조사활동을 시작하였다. 만철은 만주국에서의 리튼조사단의 행적 을 촬영하였다.60)

주지하다시피, 리튼의 보고서에서는 만주국의 성립은 인정되지 않았 다. 1933년 2월, 이 보고서의 채택을 둘러싸고 개최된 국제연맹 총회에 서 일본은 유일한 반대표를 던지고, 일본의 전권대표로 참가했던 마쓰 오카 요스케는 총회에서 퇴장하였고, 일본은 국제연맹에서 탈퇴하였다.

세계로부터 고립된 일본은 식민지 조선과 대만, 조차지인 관동주 등 과 함께, 만주국과의 연대를 강화하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에 내몰리 게 되었다. 이후 日滿 양국 정부는 여러 가지 홍보와 선전을 이용하여 만주국 내의 질서를 회복하는 데에 힘쓰는 한편, 대외적으로는 만주국 의 승인을 촉구하였다. 이런 상황에서 홍보의 역할은 나라 안팎에 대 해 긴요한 의의를 가지는 것으로 이해되고 여기에 막대한 경비와 인재 가 투입되었다.61)

신생국가 만주국을 둘러싼 국제적 상황이 악화됨에 따라, 만주국의 대외 선전은 중요성을 더해갔다. 하지만 만주국이 처한 내외의 위기 상황 속에서 정보선전업무를 담당하기 위해 1933년에 설립된 정보처 59) 磯村幸男, 앞의 논문, p.89.

60) 이 영화가 The League of Nations Commission of Inquiry in Manchuria (전 9권, 8000피트)이다. 1932년 4월부터 6월까지 만주에서의 리튼조사단 일행 의 동정을 중심으로 해서 만주 사정을 소개한 것이다. 井村哲郞, 앞의 논문, p.65.

61) 貴志俊彦, 앞의 책, p.51.

(25)

의 업무의 내용은 여전히 대내 선전에 중점이 두어졌다.62) 이러한 점 에서 생각할 때도, 적어도 1937년 홍보처가 만들어질 때까지의 만주국 대외 정보선전의 상당 부분은 만철에 의해 수행되었을 것으로 짐작된 다.

Ⅴ. 맺음말

국책회사라는 특성을 지닌 만철에서는 이른 시기부터 정보선전활동 이 적극적으로 시행되었다. 1923년 만철은 정보 수집을 목적으로 하는 정보계를 서무부 조사과에, 홍보, 선전을 목적으로 하는 홍보계를 사장 실 직속으로 설치하면서 정보선전업무를 전담하는 부서를 설립하여 정 보선전활동을 시작하였다.

홍보계의 초기 업무는 신문 잡지를 통해 회사의 사업을 선전하는 것이 주가 되었고, 회사 내 홍보 업무의 실시 기관에 대해 홍보 자료 와 기타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었는데, 이후 점차 조직의 내실이 기해 짐에 따라 다양한 매체를 통한 직접 선전에 나서기에 이르렀다.

1931년 9월에 발발한 만주사변은 만철이 홍보계를 중심으로 본격적 인 정보선전활동을 전개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홍보계는 기록영화 제작, 일본 내지로의 선전반 파견, 간행물의 제작 배포, 사진 촬영 및 제작 등을 통해서 관동군의 군사행동을 적극 지원하였다.

1932년 3월, 건립된 만주국은 그 건국과 존재의 정당성을 대내외적 으로 인정받아야 했기에, 만주국에 있어 정보선전공작은 더없이 중요 한 것이었으나, 만주국 초기의 정보선전정책을 추진할 정부기구들이 가지는 한계로 인해, 만주국에서는 특히 초기 정보선전공작의 상당 부 분을 만철에 의존하였을 것으로 보여진다.

1936년 10월 1일, 만철은 창업 이래 대규모의 직제 개정을 단행하였 62) 전경선, 앞의 논문 참조.

(26)

는데, 이때 정보와 선전업무를 일원적으로 담당하게 되는 홍보과를 신 설하였다. 홍보과는 서무, 홍보 제1, 홍보 제2, 정보 제1, 정보 제2의 다섯 개 분과로 구성되어 각 업무를 분담하였고, 이러한 大連에 있는 본사의 홍보과를 중심으로 만주국, 일본 내지, 중국 내지, 파리, 뉴욕에 이르기까지 만철은 광범위한 정보선전망을 구축하고 있었다.

1937년 만주국에서는 정보선전정책을 일원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홍 보처가 설립되었다. 홍보처 신설 이후에도 홍보과를 중심으로 한 만철 의 정보선전활동은 이전 홍보계에서 추진했던 정보선전활동과 연속성 을 지니면서 지속되었다. 만철 홍보과는 만주국 홍보처와의 제휴 협력 하에, 만주국의 국책에 따라 만주국의 괴뢰성을 지우고, 오족협화 , 왕도낙토 의 이미지를 대내외적으로 선전하는 만주국의 홍보에 나서게 되었다.

이러한 만철의 정보선전활동에서 드러나는 특징 중 하나는 당시의 모든 미디어를 총동원하였다는 점에 있다. 선전의 중요한 매체였던 신 문, 영화, 라디오는 물론 팜플렛, 단행본, 잡지의 출판, 그림엽서, 포스 터, 카다로그, 카렌더, 종이인형극 등의 제작․배급, 사진전시회, 저명 작가와 평론가 초청 강연회 개최 등 모든 수단을 동원한 다방면에 걸 친 선전공작이 진행되었다. 이러한 만철의 축적된 정보선전활동의 기 술과 경험은 만주사변에서 그 역량이 유감없이 발휘되었고, 만주국이 건립된 이후에도 이러한 형태의 정보선전공작은 지속되었다. 또 다른 하나는 해외사무소의 설치와 그것을 통한 대외 정보선전활동이었다.

만철은 1922년 미국 뉴욕에 사무소를 설치하였고, 파리에는 1929년 사 원을 파견하였다가 1934년 파리사무소로 승격시키고 1937년에는 구주 사무소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이들 해외사무소에서도 만주사변이 발발 하자 미국, 유럽의 여러 나라를 대상으로 사변에 있어서 일본의 정당 성을 강조하고 악화된 대일여론을 호전시키기 위한 다양한 대책을 모 색하여 정보선전공작을 전개하였다. 즉 해외사무소 역시 만철이 가진 강력한 조사 정보기관이자 선전기관이었던 것이다.

이렇듯 만철이 정보선전활동에서 축적한 전술, 전략은 만주국으로

(27)

계승되어, 만주국의 정보선전정책에 기본적인 틀을 제공했다고도 할 수 있으며, 특히 대외 정보선전부문에 취약했던 만주국 정보선전기관 의 역할을 대신했다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이 관동군이 지배하 는 만주국에서 만철이 끝까지 존재할 수 있었던 이유 중에 하나였고, 바로 국책회사라는 만철의 특성을 그대로 드러내는 것이라 하겠다.

1931년 만주사변, 1937년에는 중일전면전, 1941년의 태평양전쟁으로 일본의 침략행위가 가속화되는 상황에서는 만철의 정보선전공작만으로 는 재만 각 민족들을 안으로 통합시킬 수도 없었고, 국제적으로 악화 된 대일여론을 호전시키는 것 역시 불가능하였다. 그러나 만철에서는 일찍부터 정보선전에 대한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였고, 정세 변화 속에 서 정보선전활동을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조직과 체계를 끊임없 이 손질해 나갔던 것은 주목해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된다.

(28)

(Abstract)

Propaganda Activities of the Mantetsu (South Manchuria Railway Corporation) in

North-Eastern China

Jeon, Kyoung Su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the progress and details of propaganda activities of the Mantetsu(滿鐵) which was organized with the features of the state-run corporation. The Mantetsu has already started its propaganda activities by 1923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departments in charge of propagandas.

Upon the outbreak of Manchurian Incident(滿洲事變) in 1931, the Mantetsu got actively involved Public Relations Section(弘報係) in supporting the military actions for Guandong Army(關東軍). There are many propaganda activities, such as producing documentaries, dispatching propaganda teams to the inland of Japan, publishing and distributing the periodicals, extra.

Soon followed by the founding of Manchukuo(滿洲國) in March of 1932, it commenced the public relations, the legitimacy of the establishment of Manchukuo according to the national policy of Manchukuo.

In October of 1936, the Mantetsu has founded Public Relations Departmentn(弘報課) solely in charge of information and propagandas. The corporation, centered on the Public Relations Department(弘報課) of the head quarter in Dalian(大連), built the

(29)

networks for propaganda information which was extensive ranging from Manchukuo, inland of Japan , inside of China, Paris to New York.

In 1937, even after Public Relations Agency(弘報處) was set up as the administrative agency in charge of propaganda policies in Manchukuo, the Mantetsu’s propaganda activities continued consistently and actively under the concerted efforts with Public Relations Agency of Manchukuo.

As it mentioned, the accumulated experiences and technologies by the Mantetsu passed on to Manchukuo and provided the fundamental framework for policies on propaganda for Manchukuo.

In particular, it is safe to say that it has replaced the role of propaganda agency for Manchukuo which was vulnerable in terms of foreign propaganda.

주제어: 만철, 홍보계, 홍보과, 정보선전활동, 만주국, 홍보처 關鍵詞: 滿鐵, 弘報係, 弘報課, 情報宣傳活動, 滿洲國, 弘報處

Keywords: Mantetsu, Public Relations Section, Public Relations Department, propaganda activities, Manchukuo, Public Relations Agency

(원고접수: 2010년 11월 15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12월 11일, 수정원고 접수: 12월 24일, 게재 확정: 12월 27일)

Referensi

Dokumen terkait

다시 말해 기존의 연구는 만주로 이주한 중국인들이 무엇 때문에 이미 뿌리가 뽑혀나간 고향 땅으로 발길을 돌려야 했는 지, 그들이 만주국에서 정착하지 못한 배경이나 원인 혹은 만주국 사회의 정치적 민족적 상황이 어떠했는지, 그들의 눈에 비친 관내 및 만주국 사회의 모습과 인식이 어떠했는지, 이것들이 그들의 귀향에 어 떤 영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