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 버클리 캠퍼스 교양교육 1)
김 지 현(서울대학교) 신 의 항(전 서울대학교)
1. 버클리(Berkeley) 대학 교육의 개요
버클리의 주요 단과대학은 교양필수로 읽기와 작문(2개 학기),수리적 추론(2개 학기), 외국 어 외에 “Seven-course breadth requirement”를 둔다. 이는 ‘예술과 문학’, ‘생물과학’, ‘역 사연구’, ‘국제사회 연구’, ‘철학과 가치’, ‘물리 과학’, ‘사회와 행동 과학’ 등 7개 영역에서 한 과목씩 반드시 이수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버클리 디스커버리는 학생들이 많은 분야를 두 루 섭렵하는 것(Breadth)을 만족시키기 위한 단과대학 차원에서 규정하는 분배필수에 대한 우 등 프로그램 형식의 이수로 해석할 수 있다.
캘리포니아 주립대학은 여러 주요 지역에 나뉘어진 캠퍼스로 이루어져 있다. 이 가운데 버 클리 캠퍼스는 전체 세계 대학 평가에서 순위에서 20위권 안에 드는 우수한 학업성취와 연구 성과를 보이는 주립대학의 대표적 사례이다. 버클리 대학 학부생들의 교육과정 이수는 ① 캘 리포니아 주립대학 전 대학 차원의 이수규정(University Requirement): U. California, ② 버클리 캠퍼스 차원 ‘미국문화’의 이수규정(Berkeley Campus American Cultures requirement):, ③ 단과대학 별 이수규정(College or School requirements):, ④ 전공 및 학과별 이수규정(Major/Department requirements):의 네 가지 위계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가운데 교양필수는 앞의 세 차원에서 필수로 이수하는 커리큘럼을 지칭한다.
버클리 대학은 기존의 전공교과목을 교양과정 교과목으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사실 교양과정 교과목은 미국문화(American Cultures) 교과목과 글쓰기 교과목에 한정되어 있어 교양과정이 광범위하지 않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이러한 비판과 반성을 기반으로 버클리 대학은 최근 ‘독서 및 작문(R&C: Reading and Composition)’교양 과목을 확대 지원하여 모 든 학생들이 저학년기에 글쓰기 교양과정을 마치도록 하고 현재 글쓰기 교양과정을 거치지 못 한 고학년들의 교과목 접근도를 높이고, 2012년에는 학생들이 2학년 말 전까지 독서와 작문 과목을 필수적으로 수강하는 규정 도입하였다. 이와 더불어 재학생의 문리대학(College of Letters & Science)에서 개발하여 전체 대학생들이 교양으로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최우수 전 임교수들이 담당하는 ‘디스커러버리 프로그램(Discovery Program)’의 운영은 대형의 복수 단 과대학들이 학부안에 존재하는 종합대학에서 보다 나은 교양교육의 발전을 위해 문리학부를 중심으로 학교전체가 노력하는 좋은 예를 보여준다.
1) 이 글은 김지현.신의항(2015) ‘ 대학 학부교육의 실제’ (교육과학사) 내용의 일부를 발췌 수정한 것임
2. 위계적 교양 필수 과정
①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수준 필수 교양
A. 대학입학작문 (Entry Level Writing : 과거 Subject A) : 캘리포니아 대학교에
입학하는 학생은 모두 주에서 시행하는 ‘분석적 글쓰기 배치고사(Analytical Writing Placement Examination)’를 통과해야 한다. 이 자격을 만족시키지 못한 학생들은 대학입학 후 첫 학기에 ‘대학작문 RIA (College Writing RIA)’ 교과목을 수강해야한 다. ‘대학작문 RIA’는 6학점 단위의 교과목으로 대학입학가능 수준의 작문실력 필수 요건을 만족시키면서 ‘읽기와 작문 필수 (Reading and Composition requirement)’
의 전반부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B. 미국의 역사와 제도(AH&I: American History and Institutions)
• 미국대학을 졸업하는 미국에 영구 거주할 수 있는 시민이라면 누구나 미국의 역사와 정부제도에 대해서 알고 있어야 한다는 원칙을 전제로 필수로 이수해야 하는 교과목이다(외국 유학생 제외).
• 버클리 대학에 입학하기 전: 고등학교에서 관련 교과목 ‘한 과목’을 이수하거나
‘International Baccalaureate Higher Level (IBHL)’ 시험에서 5점 이상 취득, Advanced Placement 교과목 가운데 US History, US Government & Politics 과목에서 3점 이상 취득, SAT Ⅱ Subject Test in U.S. history에서 550점 이상 취득하면 이수한 것으로 인정됨.
• 버클리 대학에 입학한 후
- ‘미국사(American History)’와‘미국 제도( American Institutions) 에 해당하는 두 개 과목을 수강
② 버클리 캠퍼스 차원의 ‘미국 문화(American Cultures)’ 필수
• 1991년 입학생 이후부터 버클리 캠퍼스의 전체 학부생이 필수로 해당 교과목들을 이수 해야 한다.
• 교과목은 다음과 같은 기본 원칙을 준수한다.
- 원칙1. ‘American Cultures’ 교과목에서는 인종주의, 차별, 억압과 같은 주제들 에 특별히 초점을 맞추지 않음.
- 원칙2 & 3. ‘American Cultures’ 교과목은 다문화적(multicultural)이어야 함.
학부과정 소속학과
College of Letters and Sciences
- Biological Sciences - Arts and Humanities - Physical Sciences - Social Sciences
교수진들이 학생들에게 제시해야 할 질문은 ‘무엇이 우리를 하나의 나라로 만드는 가(what is the connecting link that makes us one people)’이며, 본 교과목 을 통해 학생들이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얻을 수 있도록 해야 함.
- 원칙 4. ‘American Cultures’프로그램의 참여를 통해 대중문화와 같은 주제, 다 학문적 접근 가능함.
• 적용대상: 학부 과정에서 0-55 이수 학점 사이(저학년 lower division 시기에 해당)를 수강하고 있는 1993학번 이상
• 이수요건 충족 학점기준: ‘American Cultures’인정과목으로 지정된 과목 중 1개 과목에서 C학점 이상 혹은 P (합격)
• 수강시기: 학부과정 재학 중 아무 때나 수강
• 담당교수: 다양한 학과출신의 교수 (그러나 교과목 내용은 동일한 틀 내에서 이루어진다.)
• 교과목 내용: 이 교과목에서는 미국의 역사와 사회, 문화를 다루며, 인종, 문화, 민족성에 관한 이론적이며 분석적인 주제들을 통합하여 다룸. 특히 미국 사회에서 소수자인 집단 (아프리카계 미국인, 원주민, 아시아계 미국인, 멕시코와 라틴계 미국인, 유럽계 미국인 등)을 최소한 3개 이상 다루어야 한다는 규정이 있음.
• 2010년까지 ‘미국 문화’로 인정되어온 교과목 목록 예시:미국학(American Studies) 법학(Legal studies), 민족학(Ethnic Studies),
환경과학정치경영학(Environmental Science, Policy, and Management) 등 50여개
③ 단과대학별 교양필수
• 버클리 캠퍼스 전체는 6개의 학부과정(College) 및 8개의 대학원 과정(School)으로 구성되어 있는 복합적 종합대학이다. 이 가운데 문리대 (Letters and Science)가 가장 큰 규모로 60여개의 학과와 학부생 전체의 78% (2007년 기준)를 수용하고 있다.
• U. C. Berkeley 14개 학부 및 단과대학:
의 네 영역에 60여개의 학과가 소속
College of Engineering
- Bioengineering
- Civil & Environmental Engineering - Electric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s
- Industrial Engineering & Operations Research
- Materials Science & Engineering - Mechanical Engineering
- Nuclear Engineering
College of Chemistry
- Chemistry
- Chemical Engineering
College of Environmental Design
- Architecture
- Landscape Architecture - City and Regional Planning
College of Natural Resources
- Agricultural and Resource Economics
- Environmental Science, Policy, and Management
- Nutritional Science
- Plant and Microbial Biology Haas School of Business
College of Letters and Science
College of Engineering University
Requirements
• Entry Level Writing
• American History and Institutions
• Entry Level Writing
• American History and Institutions
Berkeley Campus
Requirements American Cultures American Cultures College & School
Requirement
• Reading & Composition : 2개 교과목
• Reading & Composition : 2 개 교과목 수강
• 버클리 캠퍼스의 단과대학 수준의 교양필수는 주로 ‘읽기와 작문( Reading &
Composition), 수리적 추론(Quantitative Reasoning), 외국어, 학문분야별 배분필수(Seven-course breadth requirement)로 구성되어 있다. 문리대와 공과대학의 필수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Quantitative Reasoning : 2개 교과목
• Foreign Language
• Seven-course breadth requirement: 7개 영역에서 한 과목씩 반드시 이수하고 한 학과에서 제공하는 것은 두 개 교과목까지 이수 허용.
- Arts and Literature - Biological Science - Historical Studies - International Studies - Philosophy and Values - Physical Science
-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 인문학과 사회과학분야 : 6개 교과목 (3 unit 혹은 그 이상)을 수강해야 함.
학사학위 학점이수규정
졸업학점 120학점 중
- 최소 60학점 문리대 교과목으로 수강해야 함.
- 36학점은 upper division 교과목으로 수강해 야 함. (이 중 6학점은 전공학과 이외의 학과 에서 개설한 교과목이어야 함)
3. 특별 교양교과과정 ‘디스커버리 프로그램(Discovery Program)’
버클리 대학은 학부교육 강화를 위하여 2005년부터 특별 학부교육 프로그램으로서 ‘버클리 디스커버리’를 개발하여 운영해 왔다. ‘디스커버리 교과목’은 버클리 문리대학이 1990년대에
‘7 breadth’ 교양필수과정을 재구성한 이래로 교양과정의 내실에 별다른 노력을 기울이지 않 았다는 반성에서 만들어진 것이다. 기존에 학생들이 ‘7 breadth’ 필수과목을 수강하는 방법으 로는 개별 학과에서 전공과정 학생이나 전공준비과정에 있는 학생들을 위해 만들어진 교과목 을 그대로 수강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로버트 홀럽(Robert Holub) 총장이 교양교육 혁신을 위해 문리대학 디스커버리 교과목(L&S Discovery courses)군을 만들었다.
이 프로그램의 목표는 학부 학생들에게 진정으로 의미 있는 자유교육적 경험을 주는 것이 다. 학생들이 학내의 뛰어난 교수들에게서 학부생들의 진정한 자유교육을 위해 디자인된 주제 에 대하여 강의를 수강할 기회 제공한다. 디스커버리 프로그램은 문리대학의 우수교수들이 담 당하는 교과목이다. 대부분 해당 학과의 ‘전공교과목’이기도 하다. 이 교과목은 지적인 모험을 추구하면서 최고 수준의 넓은 경험을 쌓기를 원하는 전공이 아닌 학생들(non-major students)을 위해 설계되었다. 이 교과목들은 탁월한 교육자상(Distinguished Teaching Award)’을 받은 가장 뛰어난 교수진들에 의해 가르쳐지며, 개론 과목보다 더 깊은 수준의 관 심사를 다룬다. 교수들은 일종의 사명감과 같은 열정(missionary ardor)을 가지고 모든 학
생들이 전공의 종류에 상관없이 과학적인 원리와, 방법, 개념에 적극적으로 노출되어야 한다 는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믿음을 가지고 교과목을 진행한다.
‘버클리 디스커버리’를 수강하는 경우, ‘교양분배필수(Seven-course breadth requirement)’를 충족시킨 것으로 인정해 준다. 특별히 7영역 분배필수는 단일 학과에서 2개 이상의 교과목을 분배필수 이수로 인정받을 수 없다는 버클리대학교 이수규정에서도 예외로 하고 있다. 이것은 해당 학과의 영역을 넘는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고 학생들의 이 수를 권장하기 위한 의미인 것이다.
Berkeley Discovery 교과목 예시2)
○ 약물과 뇌(Drugs and the Brain, 교양분배필수/분자 및 세포 생물학과 전공과목) 화 목 90분씩, 3학점
약물이 인간 뇌와 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만큼 화학, 세포생물학, 생리학, 심리학, 사회 학, 공공정책, 헌법이 더 생생하게 논의되는 분야는 드물다. 이 강의가 그러하다. 흥분제, 진정제, 환각제 등이 뇌와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약물의 성분들이 인간과 깊은 역사적 관계가 있음을 강 조할 것이다. 필요한 생물학, 화학, 심리학적 배경 지식은 강의안에서 제공될 예정이다.
○ 인권의 역사와 실제 (교양분배필수/역사학 전공과목) 화 목 90분 4학점
인권이란 무엇인가? 어떠한 제도와 실천이 이를 옹호하는가? 어떻게 인권은 그 자체로 명증한 가? 우리의 인권이 초고속 인터넷 접속 등도 포함하는가?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역사 자체가 답 을 주는 것은 아니나 역사적 이해가 도움이 된다. 본 강의는 인권이 오늘날까지의 역사적 발전을 보고 19세기와 20세기 중심으로 고찰한다. 법적 고찰이 기본이나 영화, 문학, 음악, 예술 등과 같 은 인문학적 소통학적 통찰도 할 것이다. 인류 역사에서 인권과 혁명, 왕정, 인종, 대량학살 등의 문제도 다룬다. 강의에서 학생들은 인권에 관한 국제적 세계적 주제와 실제 제도를 시간적 공간 적으로 비교하며 그 진화과정을 이해할 것이다.
○ 미래 대통령을 위한 물리학 (물리학 전공과목) 화 목 90분 강의 3학점
대통령, 대법관, 경영자, 외교관, 법관, 미식축구 코치 등 세계의 지도가가 될 당신을 위한 강의 이다. 이 강의는 기술적인 측면에 관한 문제를 결정하거나 투표를 행사할 때 통찰력있는 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물리학의 아름다움은 수학공식에 담겨있을지도 모른다. 그 러나 미래 대통령은 그것을 익힐 시간이 없다. 따라서 수학은 생략하고 바로 당신이 세상을 위해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핵심적 물리학의 결과를 획득하도록 할 것이다. 에너지 보존, 에너지 자원, 폭발, 방사능, 핵분열, 핵무기, 지진, 쓰나미, 레이더, 전자파, 광섬유, 집적회로, 스파이 위성, 전 지구위치추적시스템, 의학적 이미지 등을 다룬다. 백악관 저녁식사 시간 대화를 제외하고는 정말 알아둘 필요가 없는 몇 가지도 다룰 것이다
○ 당신 뒷마당의 지진( 지구과학부 전공 과목) 화목 90분. 3학점
당신은 얼마나 단층 가까이서 살고 있나? 아래 지도에서 확인해 보라. 이번 학기에 지진이 일어 날 가능성은? 그것이 캘리포니아 경제에 미칠 영향은? 이 강의의 목적은 미래 사회의 리더가 될 여러분에게 지진과 쓰나미와 연계된 다양한 위험에 대하여 알게 하는 것이다. 과학적 정보를 판 단하고, 문제를 해결하고 사례를 활용하여 정책결정 영향을 이해한다.
2) http://lsdiscovery.berkeley.edu/index.php
4. 리더십 교육
버클리 대학은 학생생활원(Office Of Student Life)를 두어 학부생을 위한 리더십 프로그램 을 마련하고 있다.1) “대안적인 봄방학 보내기(Alternative Break)”, “버클리 대학 워싱턴 프 로그램(UC Berkeley Washington Program)”등 12가지 리더십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학생생활원은 버클리 대학의 여러 조직에서 제공하는 “리더십 교육협동과정 (Leadership Collaborative)”을 관리하고 있다. 버클리 대학에서 제공하는 리더십 교과목의 교과내용을 알아보기 위해서 2006년 수강편람(course catalog)을 검색했다. 과목명에
“leadership”이 포함된 과목을 검색한 결과 총 26개가 검색되었다. 이 중에 ROTC 프로그램 의 리더십 과목이 12개로 가장 많았다(육군 ROTC 7과목, 공군 ROTC 3과목, 그리고 해군 ROTC 2과목).2) 이 과목들은 군사학에서 개설된 리더십 과목이기 때문에 특수한 교육목적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 경영학석사과정(MBA)에 4개의 리더십과목이 개설되어 있었고, 공공정책 대학원(Graduate School of Public Policy)이 리더십과 사회변동이라는 4학점짜리 과목을 제공하고 있었다. 교육대학원과정과 공과대학원 과정에도 각각 4학점짜리 과목이, 정 치학대학원 과정에 “정치적 리더십”과목이 있다. 대학 전체에 개설된 과목 중 리더십이 교과 명에 포함된 경우는 정치학과 과목인 “정치․ 윤리 및 리더십(POLSCI 108A: Politics, Ethics and Leadership)”이다. 이 과목은 매주 3~4시간의 강의와 3시간 정도의 토론을 진행하고 있 으며 성실성(honesty), 대중설득력(public rhetoric), 부패(corruption)와 신뢰(public trust), 영향력과 적절한 권력행사(influence and appropriate exercise of power), 과정에서의 공 정성과 정책의 성과(fairness in process and policy outcome), 정치적 계산(political calculation)에 관한 지도자와 시민들의 정치적 선택을 검토한다.3) 이 과목에서 사용하는 교 재는 정치적 선택사례연구, 소송사건사례, 비교정치학, 윤리이론 등에 관련된 단행본과 정치지 도자 경험이 있는 초청강사의 발표내용이 포함된다. 앞에서 언급한 버클리 대학의 워싱턴 프 로그램에 참여하는 학부생을 위해서도 POLSCI 108AW(4학점)을 필수과목으로 개설하고 있 으며 이 과목의 내용은 POLSCI 108A와 동일하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버클리 대학의 학부생을 위한 리더십교육의 특징은 워싱턴에서의 여 러 인턴십, 캘리포니아의 주도(州都)인 새크라멘토 주정부기관에서의 현장체험실습, 그리고 정 치연구소(Center on Politics)의 특별강좌시리즈 등 연방 및 주정부기관에서의 현장체험학습 을 강조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지원하기 위해서 워싱턴에 버클리 대학 워싱턴센터 (U.C. Berkeley Washington Center)를 설립했으며, 이 센터는 강의 개설과 현장체험을 위한 학생지도를 체계적으로 담당하고 있다.4)
버클리 대학 리더십 교육의 또 다른 특징은 차세대 학문후계자 양성을 위한 다양한 소수민족 과 대학교육 1세대 학부생을 위한 장학제도와 교수특별지도를 포함한다는 점이다. 이 중 맥내 이어 장학생(McNair Scholar), 밀러 장학생(Miller Scholar), 새이지 장학생(Sage Scholar) 프로그램을 보면 전 전공분야의 학부생들에게 지도교수의 연구에 참여하고, 하계방학 기간 중 의 연구 활동, 교수의 개인지도, 연구방법론 수강, 글쓰기 및 컴퓨터 프로그램 훈련 등을 경험
하면서 학부과정을 성공적으로 마치도록 돕는다.5) 동시에 학부생들이 대학원 과정에 성공적으 로 진학하여 차세대 학자로 성장하기 위한 기본훈련을 제공한다. 특히 자연과학과 공학을 전 공하는 학부생을 위한 장학제도가 별도로 마련되어 있다. 찰스턴스탈 다문화 공학 프로그램 (Charles Tunstall Multicultural Engineering Program), 물리학 장학생(Physics Scholars), 화학 장학생(College Chemistry Scholars), 생물학 장학생(Biology Scholars), 그리고 나탄 바이올렛 대이비드 장학생(Nathan & Violet David Scholars) 프로그램이 있 다.6)
이 중 대이비드 장학생 프로그램은 자연과학계열 전공학부생 중 지역사회봉사에 관심을 갖는 학생들을 선발해서 그들에게 차세대 과학자의 진로를 위한 준비교육을 제공하며, 장학생들로 하여금 지역 중고등학교 빈곤층 학생들에게 과학교육 과외지도를 포함한 봉사활동을 통해 “과 학전도(Scientific Evangelism)”을 하게 한다. 버클리 대학은 학부생 중 저소득 가정 또는 소 수민족 출신, 그리고 가족 중에서 최초의 대학교육을 받는 학생들에게 특별한 관심을 갖고 있 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학생들에게 재정지원과 학문지도를 제공하여 학문 후계자가 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버클리 대학 리더십 교육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이는 리더십 개념의 포용적인 정의를 실질적으로 적용 하면서 대학교육의 리더십 관련 교육과정을 효율적으로 실행하는 사례이다.
미국의 많은 대학들이 지원학생에 대한 자격 심사에서 가정환경, 인종 등 학생특성을 참고하 여 저소득, 소수민족 출신 학생들에 특별한 고려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입학 후 의 교육과정에서 과연 이들을 위하여 어느 정도의 특별한 지원과 지도가 제공되는지에 대해서 많은 의문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이러한 측면에서 버클리 대학의 저소득층, 소수민족 출신의 학생을 위한 프로그램은 매우 교훈적이라 하겠다.7)
5. 학습지원을 위한 피어튜터링
피어튜터링은 학생들이 서로 가르치고 배우는 협동교육을 의미한다. 특별히 부진한 학습 부분을 우수한 학부생이 지도해 주는 형태로 진행된다. 버클리대학은 대학 본부에 ‘학생학습 센터(Student Learning Center)’에서 피어 튜터링을 총괄하여 학과차원에서 구체적으로 운영 하도록 지원한다. 한 해 약 250명의 튜터가 활동하며 약 20명의 전문 직원이 학습지원센터에 서 일하고 있으며 해당 프로그램을 활용용하는 학부생은 총 8000여명 가까이 된다. 튜티의 경우는 학부생중 원하는 학생 모두가 될 수 있으며 튜터는 학과별로 추가적인 조건이 더 있기 는 하나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자격 요건과 활동내용을 만족시켜야 한다.
· GPA 3.0 이상
· 가르치려는 과목/ 비슷한 과목에 B학점 이상 받은 자
· 두 개 이상의 “미완(incomplete)” 점수가 있어서는 안된다.
· 우수하고 모범적인 학업태도(Good academic standing)‘를 보여야 하며 ‘학사징 계(academic probation)’을 받은 자는 제외함.
· University and SLC Policies에 준수해야함.
· 학기 2번째 주부터 튜터 트레이닝 세미나를 참석해야함. Math and Statistics New Tutor Training Seminar이 매주 금요일 10-11에 이루짐 (2011년도에는 경우)
· 일주일에 4시간 정도 강의, 퀴즈, 문제풀이, 모의고사, drop-in tutoring 및 새 로운 튜터 육성프로그램에 시간 투자해야함.
튜터와 튜티를 연계해주는 방식으로는 튜터 튜티 모두 본부에 원서를 접수하고 연결해 주며 튜터링 기간은 수업 시작 셋째 주부터 종강 때까지로 되어 있다. 학습지원센터의 튜터링은 다 음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진행되는데 많은 부분 또래나 조교인 학생들이 가르치게 된다.
i. 스터디 그룹 (Study Group): 스터디 그룹 리더 (Study Group Leader)가 이끄 는 스터디 그룹 (Study Group)을 단위로 수업에서 다룬 중요한 컨셉 정리 및 시험 준비를 하고 스터디 그룹 리더가 스터디 그룹 시간 이외에 일주일에 몇 시간씩 시간을 내어 (office hours) 스터디 그룹 참가자를 우선시하여 일대일 과외 형식을 제공한다. 스터디 그룹 리더는 자격이 되는 학부생 및 대학원생 으로 이루어진다. 스터디 그룹은 Math/Science, Science, Social Science 및 추가적으로 Interdisciplinary Resources for Transfer Students에서 모 두 활용한다. 한 스터디 그룹은 보통 14명 단위로 이루어진다. Study Group 과 Discussion Section의 차이는 “Discussion Section”은 큰 강의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들이 여러개의 작은 조로 나뉘어 교수가 지정한 조교 지도 하에 강의 내용 복습 및 심층적인 논의를 하는 시간이다. 반면 Study Group은 심 화 학습의 개념 보다는 본 강의에 어려움을 느끼는 학생들 대상으로 수업 보 조 역할을 한다
ii. 방문형 튜터링 (Drop-in Tutoring): 일반적으로 “Walk-in basis(학생이 찾아오 는)” 튜터링이다. 1시간당 8-10명의 튜터가 근무를 하고 학습지원이 필요한 학생이 찾아온다. 학생에 따라 개인적으로 혹인 그룹 단위로 도움을 준다.
iii. 검토(Review): 중간/기말 고사 전에 3-4회 정도 학기 동안 배운 핵심 개념을 정리하는 기회다. 보통 조교가 이끈다.
iv. 연계수업(Adjunct Courses): 본 강의와 병행하여 진행되는 보충과정 형태의 수 업으로 본 강의를 수강하는 학생에 한하여 수강할 수 있다. 본 강의에서 배우 는 개념과 내용을 다시 배우고 그 개념을 이용한 문제 풀이 능력을 키우고 공 부 방법을 익히는데 시간을 쓴다. 조교와 피어튜터가 가르친다.
v. 모의고사(Mock Exams): 중간 고사가 실시되기 직전 주말에 중앙 ‘학습지원셈 터’에서 제공하는 모의고사를 일컫는다. 학생들은 모의고사를 치고 튜터가 채 점을 한다. 본 강의의 시험을 보기 전에 공부한 내용을 검토해 보는 의미가 크다.
vi. 무학점 기초강의(Non-credit bearing course): 예를 들어 “화학 P (Chem P)”
가 해당된다. “Chem P”는 Chem 1A (Introduction to Chemistry)를 듣기 전 고등학교 때 화학을 배우지 못한 학생, 혹은 고등학교때 배운 화학이 기억 이 잘 나지 않은 사람들을 위해 개설한 강의로 학점을 부여받지 않으나 학습
지원이 이루어지는 보조 강의를 말한다.
vii. 전이적 교과목 (Transition Courses): 한 학년의 삼분의 일이 전학생이라는 점 을 고려하여, 전학생 및 소수 집단 (minority)을 위하여 학습 자료를 제공하고 일반 연구방법 자료 준비를 도와주는 교과목들이다. 교수가 이끄는 것도 있고, 학문에 개요를 설명하는 (사회학이라는 큰 범위에 여러 가지 전공들을 가르치 는) 학생이 이끄는 강의 시리즈도 있어서 이것은 학생들의 경험을 토대로 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연계강의(Adjunct Courses)’와 마찬가지로 본 강 의를 수강하는 자에 한하여 지원자를 받아, 수업에서 다루는 자료를 보충하고 지원해 주는 의의가 크다. 대표적인 예로 ‘아프리카계 미국연구(African American Studies 39B)’와 ‘대학안내(Introduction to the University)’와
‘학습전략( Study Strategies)’ 수업 시리즈도 있다.
피어 튜터링을 하게 되면 튜터학생에게 수업료가 지불되는데 개인과외의 경우는 시간당
$12. 18/시간, 그룹 과외는 시간당 $14.44 이다. 튜터의 과정 수준에 따라서도 차등이 있는데 학사 학위를 받은 튜터의 경우에는 개인과외는 시간당 $12. 18 이지만 그룹과 외는 시간당 $15. 11이다 피어튜터링 수업료는 대학교가 부담한다.
1) http://students.berkeley.edu/osl/leadprogs.asp?id=1914 2) http://sis.berkeley.edu/catalog/gcc_search_sends_request 3) Ibid.
4) http://ucdc.berkeley.edu/grogram.htm
5) http://www.aad.berkeley.edu/coalition/f-ccsp.html 6) Ibid.
7) Ib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