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유식 방파제에 의한 조파해석에 관한 연구. 연안 환경 및 건설 비용 측면에서 부유식 방파제는 오랫동안 연구되어 왔으며, 실제 해양 지역에 건설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序論
本 硏究의 背景
本 硏究의 目的과 構成
固有函數展開法에 의한 2次元 波動場 解析
理論解析
- 支配方程式과 境界條件
- 流體運動과 空間速度포텐셜의 一般解
- 浮防波堤의 運動方程式
- 速度포텐셜의 未定係數 決定
- 波의 變形係數
유동영역 II의 경우 보조차단기 바닥면과 해저면의 조건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식을 얻을 수 있다. 에 해당하는 속도 전위 불확정 계수 A는 다음과 같습니다.
數値解析
- Open Mooring
- Vertical Mooring
- Cross Mooring
- Open Catenary Mooring
- Cross Catenary Mooring
2l/L≒0.8 부근에서 나타나는 최대값은 2차 방파제의 자연적인 회전진동주기를 나타내는 영역이라고 한다. b) 에서. 즉, 단기측으로 갈수록 가치는 감소합니다. c)의 수직진동은 수평진동과 마찬가지로 개방계류와 동일한 경향을 보인다. 개방형 계류에 비해 수직계류는 개방형 계류에 비해 낮은 값을 갖는데, 그 이유는 계류가 수직 흔들림에 대한 저항력이 더 크고 일반적으로 매우 안정적인 값을 갖기 때문이다. d)는 회전운동에 대한 값으로 이전의 개방형 계류에 비하여 최고값이 주기가 짧은 쪽으로 이동하여 다소 큰 값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주기가 짧은 파도가 흔한 해양해역에서는 따라서 2차 방파제 역할을 하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는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없을 것입니다.
즉, 안정투수면적이 넓기 때문에 전달력만으로 보면 위에서 언급한 두 가지 계류형보다 부유식 방파제에 더 적합한 계류형이라고 할 수 있다. b)의. 위에서 언급한 3가지 텐션 계류 방식보다 우수한 계류 방식입니다. b)의. 이는 초기 장력으로 인한 복원력이 없음을 의미합니다. c)의 수직진동에서는 기존의 장기계류형과 마찬가지로 장기밴드에 걸쳐 피크값이 작아지고 단기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d)의 회전요동의 경우 수평운동의 피크값 생성구간에 회전운동이 발생하고 그 크기는 매우 크지만 장주기 쪽으로 이동한 것을 알 수 있다.
境界要所法과 固有函數展開法에 의한 3次元 波動場 解析
理論解析
- 支配方程式과 境界條件
- 空間速度포텐셜 φ( x,y,z) 의 表示
- Green 公式과 포텐셜函數 φ( x, y)
- Green 函數에 의한 f 1 , f 1 (n) , ψ o , ψ s ,ϕ o , ϕ s 의 表示
- 各 領域에서의 接合境界條件
- 離散化
- 回折係數
경계요소법은 그린의 정리를 이용하여 편미분방정식을 적분방정식으로 변환하므로, 면적분법에 의해 3차원 문제를 2차원 문제로 해석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a(x.y)와 b(x,y)가 다음 헬름홀츠 방정식을 만족하는 함수인 경우를 고려해보세요. 반경 ε의 원형 경계 C로 둘러싸인 부분이 없는 면적을 B로 하는 그린의 정리를 적용하면 다음 방정식을 얻습니다.
여기서 Xb는 경계 C와 Γ 위의 점이고 r은 Xp와 Xb 사이의 거리입니다. 경계 C에서 ε → 0인 경우 다음 점근 식이 성립한다는 점을 상기하십시오. 닫힌 영역의 평면 전위는 r → 무한 거리의 구조에서 발산하는 파동을 나타내기 때문에 Sommerfeld의 다음 방사형 경계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만났다.
유체 운동으로 인한 질량 유속과 에너지 유속은 외부 영역과 내부 영역을 구분하는 수직 경계 상의 임의의 지점(ξ, , z)에서 연속적이어야 하므로 다음과 같은 결합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외부 영역 I의 임의 지점에서의 수면 파형은 다음 식으로 주어진다.
數値解析
- 數値解析結果의 檢證
- 二列 二基 配置에 의한 波高分布의 解析
- 二列 三基 配置에 의한 波高分布의 解析
-8과 유사하게 입사파의 파장과 2차파 사이의 이격거리에 따른 공명 및 중첩파 효과로 인해 2차 방파제 앞쪽에 높은 파고가 나타나고 파고가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2차 방파제 뒤 해역. 따라서 2차 파동간의 이격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파동제어함수가 증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2차 파동의 파동 사이의 개구부 폭이 증가했지만, Fig.
3-13(a)를 비교하면 2차 방파제의 개구폭이 증가할수록 배후해역의 잔잔해역의 범위가 확장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2차 방파제 앞쪽에서는 공명현상과 중첩파의 영향으로 파고가 증가하고 뒤쪽에서는 파고가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잔잔의 범위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해수면 온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2차 방파제 양단부에서는 회절의 영향으로 파향의 변화가 나타난다.
3-15는 보조방파제를 일렬로 배치한 경우로, 보조방파제 전방에 파고가 발생하고, 보조방파제의 개구부 폭 사이에 중첩 및 간섭으로 인해 높은 파고가 보이는 경우이다. 파도의. 3-17은 2차 방파제를 3가지 형태로 배치한 경우의 파고분포이며, Fig.
結論
상태 1에서 부유체가 수평방향으로 서서히 이동하면 Fig. 2에서 알 수 있듯이 고정된 앵커 지점의 체인은 해저와 ψb의 각도를 형성합니다. 또한 체인 상단의 수평 변위를 ΔH라고 하면 수직 변위 AV, 부체 중심의 이동 변위를 각각 α, β, w라고 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따라서 부체에 작용하는 계류라인에 의한 수평 반력(RH), 수직 반력(RV) 및 반력 모멘트(MR)는 다음과 같다.
이 방법은 자유부체의 운동량을 아무런 제약 없이 미리 계산하여 부유체 바닥 접촉점에서의 변위량을 예측하는 방법이다. 여기서는 자유롭게 부유하는 물체의 흔들림량보다 작은 값을 고려한다. 스프링 상수는 자유 부유체의 운동 변위 지점 사이의 평균 기울기로부터 구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