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결과 처분요구서
[부서․기관명] 인천광역시 계양구(0000과, 00과) [행정상 조치] 시정
[재정상 조치] 없음 [신분상 조치] 없음
[제 목] 어린이활동공간 확인검사 미실시에 관한 사항 [지 적 사 항]
○「환경보건법」제23조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11조의2에 따르면 ‘14. 9. 25일 이후부터 어린이활동공간1)을 신축 또는 신규 인가를 신청하는 시설은 신축 또는 인가 후 30일 이내에 환경안전관리기준 적합여부를 검사받아야 하며 이를 위반할 경우 같은 법 제31조 규정에 따라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 환경보건법령의 개정에 따른 어린이활동공간 확인검사제도가 ‘14. 9. 25일 부터 시행됨에 따라, 2014.10.15일 市 0000과로부터 공문 시달된 “어린이 활동공간 확인검사)제도 시행안내 및 전파요청(0000과-12221)”호에 따르 면 어린이집 신규 설치 등 인가 시 어린이 활동공간 확인검사(이하 “확인 검사”라 한다)를 완료할 수 있도록 어린이집에 전파하도록 하고 있다.
○ 계양구청(0000과)에서는 “[표] 어린이집 신축 등 현황”과 같이 구립 효성 00어린이집외 1개소에 대하여「영유아보육법시행규칙」제5조 및 제5조의2 규정에 따라 어린이집의 설치 및 변경인가를 처리하면서「환경보건법」제23 조 규정 등에 따라 어린이활동공간을 신축하여 신규 인가를 신청하거나, 그 소재지 변경인가를 신청하는 시설은 인가 후 30일 이내에 환경안전관리기준
1) 어린이놀이시설, 어린이집 등 영유아보육시설 - 구청 소관, 유치원, 초등학교 등 -교육청 소관
적합여부를 검사토록 안내하고, 이러한 인가사실 등을 관리부서(계양구청 0 0과)에 통보하여야 함에도 이를 이행하지 아니하여, 구립 00샛별어린이집 외 1개소에서는 이러한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여 확인검사를 받지 못하였고, 확인검사 관리부서인 계양구 00과에서도 적절한 행정조치를 취하지 못하게 한 사실이 있다.
[표] 어린이집 신축 등 현황
시설명 소재지 대표자 연면적
(㎡) 인허가일 비고
구립 00샛별
어린이집 마장로 *** 000 436.59 ‘14.12.19. 신규 인가 00솔 어린이집 효서로 ***번길 3 000 431.63 ‘15. 3.11. 소재지변경
※ 계양구(0000과) 제출자료
[처 분 요 구] 계양구청장께서는
① (0000과) 확인검사를 미실시한 구립 효성00어린이집외 1개소에 대하여 는 즉시 확인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조치하시고, 관내 어린이집에 확인검사 에 대한 사항을 안내하여 동일한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조치하시고,
② (00과) 구립 효성00어린이집외 1개소에 대하여 확인검사 실시 여부 및 그 결과에 따라 관련법에 따라 적의 조치하시고, 대상시설물 등에 대한 안내 에 철저를 기하여, 향후 유사한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감독에 철저를 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결과 처분요구서
[부서․기관명] 인천광역시 계양구(00과) [행정상 조치] 시정
[재정상 조치] 없음 [신분상 조치] 없음
[제 목] 무신고 대기배출시설 행정처분에 관한 사항 [지 적 사 항]
○「대기환경보전법」제38조 및 제84조 규정에 따라 배출시설을 설치 허가를 받지 않거나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배출시설을 설치하거나 사용하는 자에게 는 그 배출시설의 사용중지를 명하여야 하고, 그 설치장소가 다른 법률에 따라 그 배출시설의 설치가 금지된 경우에는 그 배출시설의 폐쇄를 명하여야 하고, 같은 법 제90조 제1호 규정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이나 3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하여야 한다.
○ 계양구청(00과)에서는 대기 배출시설에 대한 지도감독 업무를 수행하면서 2014년 9월 11일 전화민원(민원인 000)으로 효성동 ***-2번지 00농장2) 에 무허가 연마공장이 설치되고 있다는 민원을 접수받아 현지 확인한 결과, 신고절차 없이 대기배출신고를 설치중임을 확인하고 행위자(000)에게 동 지역이 배출시설 설치가 불가능한 지역임을 고지한 사실3)이 있으며,
2014년 10월 10일 당초 전화민원 신고자(000)로부터 효성동 ***-2번지 같은 장소에 배출시설이 설치되어 몸에 안 좋은 물질을 배출하고 있다는 민원을 재차 접수하여 현지 확인한 결과, “[표] 무신고 대기배출시설 현황”과 같이 당초 무신고 배출시설 설치 지역에 00산업(대표 000)4)이라는 상호
2) 지목 田(24,473㎡, 그린벨트), 무허가 공장이 밀집한 지역임.
3) 배출시설 설치가 불가한 지역이므로 시설설치가 진행되지 않도록 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지 아니함.
4) 2014. 10. 7. 북인천세무서에 일반과세자로 사업자등록 신고
로 스푼, 나이프, 포크 등 제조업체로 대기배출시설인 동력 10마력×4기, 5마력×1기 등 총5기의 연마시설을 설치하고, 이중 2기의 연마시설을 가동 하여 불법·조업5)중인 사실을 확인, 위반확인서를 징구하였고, 「행정절차법」
제21조, 제22조 규정에 따라 청문절차를 2014년 10월 14일부터 10. 29일 까지 실시하고, 2014년 11월 5일 00산업(000)에게 2014년 11월 5일부터 2015 년 2월 4일 까지 3개월 이내에 배출시설을 폐쇄토록 하는 행정처분(폐쇄명령) 을 하고6), 2014년 11월 17일 인천지방검찰청으로 사건을 송치하여 2015년 1 월 6일 벌금150만 원이 위 00산업의 대표 000에게 부과되었다.
[표] 무신고 대기배출시설 현황
소재지 상호(대표자) 위반사실
적발일 불법시설현황 비고
공장면적
효성동 ***-2
00산업(000) 2014. 9. 11.
2014. 10.11.
연마기 총5기 10마력×4기, 5마력×1기
‘14. 10월부터 조업 165㎡
00산업(000)
2015. 3. 27. “ ‘15. 3월부터 조업 165㎡
※ 계양구(환경과) 제출자료 재작성
○ 2015년 3월 10일 계양구청(00과)에서는 위의 무신고 배출시설의 폐쇄명령 이행실태를 확인하였으나 폐문으로 확인치 못하였고, 2015년 3월 24일 현지 확인한 결과, 양도양수를 통하여 00산업(000)이 00산업(000)에게 시설물을 인 수받아 동일하게 조업 중인 사실을 적발7)하여, 2015년 4월 10일현재 행정처 분(폐쇄명령)을 위한 청문절차 등을 진행 중에 있는 등,
○ 불법사항 발생 적발시점인 2014년 9월 11일부터 무 신고 배출시설이 가동이 되지 않도록 관리감독에 철저를 기하지 못하였고, 폐쇄명령 이행기간을 당초 행정처분일인 2014년 11월 5일부터 2015년 2월 4일까지로 과도하게 3개월 로 처분, 이 기간 중 불법적인 양도양수가 이루어져 가동 중에 있으며, 그린 벨트 훼손 및 농지불법 전용사실에 대하여도 관리부서인 계양구 0000과 와 0000과에 통보하지 아니하여, 이에 대한 적법한 행정처분이 이루어지 지 아니한 사실이 있다.
5) 동력 20마력 이상의 연마시설은 대기배출시설 신고대상임.
6) 위 00산업이 생계형 소규모사업장으로 주문량해소 및 오염물물의 발생이 적고 원심력집진시설의 방지시설을 설치하여 3개월의 폐쇄명령 기간을 주었다고 주장(담당자 : 007급 000)
7) 위 00산업 대표자인 000는 무신고 시설인줄 모르고 인수받았다고 주장
① (00과장) 무 신고 배출시설을 가동 중인 00산업(대표 : 000)에 대하여는 관련법령에 따라 폐쇄명령 및 고발조치하시고 관련자에게는 엄중 주의 조치하고, 향후 유사한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감독에 철저를 기하여 주시기 바라며,
② 각종 불법사항 적발 시 관련사항을 반드시 해당 부서에 통보토록 하여, 불법 사항이 관련법령에 따라 적의 조치되도록 조치하시기 바랍니다.
[ 일련번호 : 03 ]
감사결과 처분요구서
[부서․기관명] 인천광역시 계양구(00과) [행정상 조치] 시정
[재정상 조치] 없음 [신분상 조치] 문책 3명
[제 목] 「건설산업기본법」위반자에 대한 행정처분 부적정 [지 적 사 항]
○「건설산업기본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9조, 제83조제1호 및 제96조제1호 규정에 의하면 부정한 방법으로 건설업을 등록한 경우에는 해당 건설업의 등록을 말소하고,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하여야 하며, 법 제10조 및 같은 법시행령 제13조 [별표2]에 따르면 토공사업의 기술능력 기 준은「건설기술 진흥법」에 따른 토목·광업 분야 초급 이상의 건설기술자 또는「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관련 종목의 기술자격취득자 2명 이상을 보유 하여야 건설업 등록을 할 수 있다.
○ 계양구(00과)에서는 2013년 8월 19일 ㈜00엔지니어링(대표 : 000)으로 부터 기술인력 보유기준 2명중 000(73년 11월 8일 생)이 굴삭기운전 기능사 자격 보유자로 2013년 8월 13일 입사하여 근무하고 있어 기술능력 기준을 충족 하고 있다는 건설업 등록 신청서(토공사업)를 제출받아, 법 제10조 등에 따른 건설업의 등록기준을 충족한다고 판단, 2013년 8월 21일 건설업(토공사업) 신규 등록 처리하고, 건설업(토공사업) 등록증과 수첩을 교부하였다.
○ 2014년 8월 20일 00경찰서(수사과-4851호)로 부터 통보된 “인허가 범죄입건 및 처리 결과 통보(국가기술자격증)”에 따르면, (주)00엔지니어링의 건설업 등록 신청서 제출 당시에 기술자격보유자로 재직 중으로 제출한 000(73년 11월 8일
굴삭기운전 기능사 자격증을 우편으로 보내주는 방법으로 빌려주고, 대여료 명목으로 400,000원을 지급 받았고, (주)00엔지니어링의 대표자인 000은 건설업(토공사업) 등록을 신청하기 위해 계양구 계양대로 ***, 201호(계산동, 00000상가) 자신이 운영하는 ㈜00엔지니어링 사무실에서 자격증 알선 업자인 000로 부터 000의 굴삭기운전 기능사 자격증을 2013년 8월 13일 부터 2013년 12월 12일 까지 대여 받고, 000에게 사용료 명목으로 100만원을 지급 하였고, 위의 피의자들이 자격증 대여 및 차용한 사실을 자백하였고, 금융거 래정보 및 건강보험 가입내역, 국가기술자격증 보유 현황 등 자료를 보아도 혐의사실이 인정되어 불기소 의견으로 수원지방 검찰청 평택지청으로 사건 송치8)하였다는 통보를 받았으며,
○ 2014년 8월 28일 (주)00엔지니어링에게 2014년 9월 15일 14:00에 00과내 상황실에서 청문을 실시한다는「건설산업기본법」위반 청문통지를 하면서, 법 제83 조제1호에 의한 건설업 등록 말소 처분이 아니라, 등록기준 미달시 적용하는 법 제83조제3호 등을 적용하여 영업정지 6개월의 처분을 사전 통지하였고,「건설업 관리규정」9)제7장(법 위반자에 대한 제재기준) 제6호 나목 “건설업자가 정당한 사유를 들어 서면으로 청문 등을 연기 요청하는 경우에는 2회 까지 청문 등을 연기할 수 있다”는 규정을 적용, ㈜00엔지니어링으로 부터 토공사업 관련 입찰을 위하여 청문을 연기하여 달라는 의견서를 제출 받아, 2014년 10월 17일과 같은 해 11월 3일 등 2회에 걸쳐 청문을 연기, 2014년 12월 12일 청문을 실시 하였는바, 행정처분 대상인 건설업(토공사) 관련 입찰 참여를 위하여 청문을 연기 신청하는 것은 정당한 사유라 볼 수 없음에도, 이에 대한 면밀한 검토 절차 없이 수용하여 부당하게 청문을 2회 걸쳐 연기 처리하였다.
○ 또한, 2014년 12월 12일 실제로 청문 절차를 진행한 사실이 없으며, ㈜00엔 지니어링에서 같은 날 제출한 의견서에서는 굴삭기운전 기능사 자격 보유자인 000이 2013년 8월 13일 입사하여 개인사정으로 퇴사를 요구해와 2013년 8월 20일 퇴사처리하고, 다음 날인 8월 21일 대체 인력을 확보하여, 토공사업 신규등록 신청서류 접수 후 등록일(8월 21일)에 기술자가 퇴사, 입사가 이루어
8) 추후 청문절차 진행을 위하여 확인 결과 벌금 150만원 납부하였고, 항소 사실 없음을 확인 9) 국토교통부 예규 제85호, 2014. 9.29 시행
져 등록기준은 충족하였다고 주장하나, 2014년 8월 20일 00경찰서로부터 통보 받은 내용과 검찰의 벌금부과에 항소하지 않고, 벌금150만원을 납부한 사실 과 (주)00엔지니어링의 건설업 등록 신청서 제출 서류 등을 확인하여 보면, 재직 중이라고 제출하였던 000의 경우 경기도 파주시 동패동 거주자로 ㈜ 00엔지니어링에 재직한 사실이 없고, 2013년 8월 19일 건설업(토공사업) 등 록 신청 당시부터 부정한 방법으로 건설업을 등록한 것이 명백하고, 건설업 등록 신청 시 등록기준 충족에 변경이 있었다면, 서류 보완 등을 통하여 변 경절차가 이루어져야 했음에도 이러한 절차를 밟지 않은 것은 명백함에도, 계양구(00과)에서는 2014년 12월 12일 청문절차 진행 및 의견서 제출내용 에 대한 면밀한 검토· 조사절차 없이 ㈜00엔지니어링이 제출한 의견을 그 대로 인정하여, 같은 해 12월 24일 법 제83조제1호 및 제96조제1호 규정을 적 용하여 건설업 등록말소 처분 및 고발조치를 취하지 아니하고, 법 제82조제1항 제2호를 적용, 국가기술자격증을 차용하여 영업정지 2개월의 행정처분 대상으 로 판단하여 처분일 현재 기술자 충족으로 시정되었고, 최근 3년 이내 동일 한 처분을 받은 사실이 없다는 이유로 1/2을 감경한 영업정지 1개월로 행정 처분한 사실이 있다.
○ 이러한 결과, 건설업을 등록말소 하여야 할 법 위반 업체를 영업정지 1개월로 부당하게 행정처분 하였고, 1개월의 영업정지 또한 부적정한 청문연기를 통하여 건설업(토공사업)의 비수기인 동절기에 처분하는 등 업체 측에 부당한 특혜를 제공하였고, 부당한 행정처분으로 인하여 등록말소를 위한 행정처분을 다시 할 수 없게 만드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붙임 “「건설산업기본법」위반자 행정처분 부적정 현황” 참조)
[처 분 요 구] 계양구청장(00과장)께서는
① ㈜00엔지니어링에 대하여「건설산업기본법」제96조 제1호 등 관계법령에 따라 고발조치하고, 동일한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계자에 대하여 엄중 주의조치하시고, 관리감독에 철저를 기하시기 바랍니다.
「건설산업기본법」위반자 행정처분 부적정 현황
□ 업체 현황
업체명 대표자 소재지 등록업종 처분내역
(처분일)
처분사유
(처분근거) 비고 (주)00
엔지니어링
000 계양대로 ***,
201호(계산동, 00000)
토공사업 (인천계양 203-02-02)
영업정지 1월
(‘14. 12. 24) 국가기술자격증 차용
「건설산업기본법」
제82조제1항제2호
□ 처분 경위
○ ‘13. 8. 19. ㈜00엔지니어링의 건설업(토공사업) 등록신청
- 기술인력 보유기준 2명중 000(73.11.08.) 굴삭기운전 기능사 ‘13. 8. 13일 입사
○ ‘13. 8. 21. 전문건설업(토공사업) 신규 등록 처리
○ ‘14. 8. 20. 00경찰서(수사과-4851호)로 부터 “인허가 범죄입건 및 처리결과 통보 (국가기술자격증)”
통보내용
○ 피의자 000(73. 11. 08.)은 불상의 일시 및 장소에서 자격증 알선업자 000 에게 국가기술자격인 굴삭기운전기능사 자격증을 우편으로 보내주는 방법으로 빌려주고 대여료 명목으로 400,000원을 지급 받았다.
○ 피의자 000은 토공사업 등록을 하기 위해 ‘13. 8. 13.부터 ‘013. 12. 12까 지 계양구 계양대로 ***, 201(계산동, 00000상가) 자신이 운영하는 ㈜00 엔지니어링 사무실에서 자격증 알선업자인 000로부터 피의자 000의 굴삭기 운전 기능사 자격증을 대여받고, 000에게 사용료 명목으로 100만원을 지급
○ 피의자들이 자격증 대여 및 차용한 사실 자백하고, 금융거래정보 및 건강보험 가입내역, 국가기술자격증 보유 현황 등 자료를 보아도 혐의사실 인정 불기소 의견으로 수원지방검찰청 평택지청으로 사건 송치
※ 벌금 150만원 납부, 항소사실 없음
○ ‘14. 8. 28. 「건설산업기본법」 위반 청문통지
- 청문일 : ’14. 9. 15 14:00 영업정지 6월(법 제83조 제3호, 제11호 적용)
○ ‘14. 9. 5. ㈜00엔지니어링 청문 연기 신청 - 연기 신청사유 : 9월중 토공사업 관련 입찰참여
○ ‘14. 10. 7. 「건설산업기본법」위반 청문일 변경통지(1차) - 청문일 : ’14. 10. 17 14:00 영업정지 6월
○ ‘14. 10. 17. ㈜00엔지니어링 청문 2차 연기 신청
- 연기신청 사유 : 9월중 토공사업 관련 입찰 11월로 연기)
○ ‘14. 11. 3. 「건설산업기본법」위반 청문일 변경 통지(2차) - 청문일 : ’14. 12. 12 14:00 영업정지 6월
○ ‘14. 12. 12. 「건설산업기본법」위반 청문 실시 - ㈜00엔지니어링 의견서 제출 제출의견
○ ‘13. 8. 21일자 건설업등록증(토공사업)를 취득하기 위하여 자격증소지자(000) 채용
○ 000의 개인사정으로 퇴사를 요구, ‘13. 8. 20일자 퇴사처리하고, 다음날 000 가 입사하여 현재 근무 중
○ 토공사업 신규(추가)등록신청서류 접수 후 등록일에 기술자가 퇴사, 입사가 이루어져 등록 기준은 충족. 국가기술자격증을 등록신청시부터 등록전일까지 빌려서 신청한 것은 인정
○ ‘14. 12. 24. ㈜00엔지니어링에 대한 행정처분 검토조서 보고(내부결재) - 최종결재권자 : 00과장
- 청문자 : 지방 00 6급 000
- 처분내역 : 영업정지 2월중 1개월 감경 영업정지 1개월 - 처분사유 : 국가기술증 차용
- 처분근거 :「건설산업기본법」제82조 제1항 제2호10)
- 검토결과 : ‘13년 건설업 등록시 등록일에 기술자 교체 보고를 하지 않은 사실 이 있으나 등록시 허위등록으로 보기 어려움. 현재기술자 충족한 점, 최근 3년 이내 동일한 처분 받은 사실이 없음- 영업정지 1개월 감경
○ ‘14. 12. 24. ㈜00엔지니어링에 행정처분 통보( 토공사업 영업정지 1월)
10) 국가기술자격증 또는 건설기술경력증을 다른 자에게 빌리거나 빌려 준 경우
감사결과 처분요구서
[부서․기관명] 인천광역시 계양구(0000과) [행정상 조치] 시정
[재정상 조치] 추징 137,954천원 [신분상 조치] 없음
[제 목] 교통유발부담금 부과 부적정 [지 적 사 항]
1. 대형마트·쇼핑센터 등에 대한 교통유발부담금 착오 부과에 대하여
「도시교통정비촉진법」제36조 제1항은 도시교통정비지역(인구 10만명 이상의 도시)에서 교통 혼잡의 원인이 되는 시설물의 소유자로부터 매년 교통유발부담 금11)을 부과·징수할 수 있고, 제2항은 부담금의 부과대상은 대통령령에 따라 각 층 바닥면적을 합한 면적이 1천제곱미터 이상인 시설물로 규정되어 있으며,
「같은 법 시행령」제19조(교통유발계수) 및 제20조(복합용도 시설물의 바닥면 적)는 시설물의 사용 용도가 건축물 관리대장상의 용도와 다른 경우 시설물에 대 한 교통유발계수는 시설물이 실제 사용되는 용도의 교통유발계수를 적용하고, 복 합용도 시설물의 바닥면적은 시설물의 용도별 각층 바닥면적을 합한 면적으로 하되 부담금이 면제되는 시설물에 해당하는 면적은 각층 바닥면적을 합한 면적 에서 제외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인천광역시 「교통유발부담금 업무처리지침」에는 복합용도 시설물의 부 담금 산정시 “주된 용도가 다수인 복합용도 시설물은 용도별 각 층 바닥면적 합 한 면적으로 하되, 면제시설물에 해당하는 면적은 각 층 바닥면적을 합한 면적에 서 제외”하며, “주된 용도를 위하여 필요한 부속시설물(공용계단, 기계실 등)은
11) 교통유발부담금 = 시설물의 각 층 바닥면적의 합계×단위부담금×교통유발계수
○ 판매시설에 대한 교통유발계수(인천광역시 교통유발부담금 경감 등에 관한 조례 제4조의2 “별첨”) - 백화점, 쇼핑센터(대규모 소매점), 할인점, 전문점 : 6.52,
- 대형마트 : 9.00
주된 용도의 유발계수를 적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계양구 0000과에서는 00마트, 0000(계산점, 작전점), 00공항 아울렛 등 에 대한 교통유발 부담금을 부과 하면서 주된 용도를 위하여 필요한 부속시설물 (창고, 기계실, 사무실 등)은 주된 용도의 유발계수를 적용하도록 되어 있으나 2013년도 및 2014년도의 교통유발 부담금을 부과하면서 [표 1]과 같이 창고, 기 계실, 사무실 등에 대하여 주된 용도의 교통유발계수를 적용하지 않고 각각 다른 용도로 사용하고 있을 때 적용하는 시설물의 교통유발계수를 적용함으로써 부담 금 총135,238,060원을 부족하게 부과하였다.
[표 1] 교통유발 부담금 착오 부과현황(2013년~2014년)
(단위 : 원)
시설명 시설구분 면적(㎡) 당초금액
(가)
재산정금액 (나)
오차금액
(나-가) 비고
계 32,838,910 168,076,970 135,238,060
00마트 기계실 1703.22 1,062,790 7,572,930 6,510,140 0000
(계산)
기계실
(지1,지2) 653.59 1,098,020 8,235,220 7,137,200 0000
(작전)
각 층 기계실,
창고, 사무실 7093.26 6,226,890 57,730,790 51,503,900 00공항
아울렛
의류매장,
소매점 등 10571.67 24,451,210 94,538,030 70,086,820
2. 연접대지 시설물의 교통유발부담금 부과누락에 대하여
「도시교통정비촉진법 시행령」제16조 제1항은 “법 제36조 제2항에 따른 교통 유발부담금의 부과대상 시설물은 해당 시설물의 각층 바닥면적이 1천 제곱미터 이상인 시설물로 한다“라고 되어 있고, 제3항은 ”제1항에도 불구하고 연접대지에 있는 소유자가 같은 두 동 이상의 시설물은 동일한 시설물로 본다“라고 되어 있다.
따라서 계양구 0000과에서는 연접대지 위의 소유자가 같은 2동 이상의 시설 물 바닥면적을 합쳐서 부과대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부과하여야 함에도 [표 2]
와 같이 교통유발부담금 총2,715,960원의 부과를 누락하였다.
(단위 : 원)
시설명 시설구분 건축물
면적(㎡)
가설건축물
면적(㎡) 산정금액(나) 비고
계 1294.64 2,715,960
000리테일 (병방)
소매점,
부속창고 997.98 296.66 1,957,480 2013년
2014년 00000
리테일(작전)
소매점,
부속창고 924.85 78.44 758,480 2014년
[처분요구] 계양구청장께서는
① 감사에 지적된 대형마트, 상점, 할인점(아울렛) 등 교통유발부담금의 부과가 누 락되거나 착오부과 된 곳에 대해서는 현장조사를 통하여 정확한 부과자료를 확인 한 후 교통유발부담금을 추징하여 주시고,
② 향후 유사 사례가 재발되지 않도록 관련 공무원들에게 관련법규 준수 등 업무에 철저를 기할 수 있도록 주의를 촉구하시기 바랍니다.
[붙임]
○ 2013년 교통유발 부담금 착오 및 부과누락 현황
(단위 : 원)
시설명 시설구분 당초금액(가) 재산정금액(나) 오차금액
(나-가) 비 고
총계 18,526,030 105,227,190 86,701,160
00마트
계 1,062,790 7,572,930 6,510,140
지하2층 기계실
1.20×700×
1703.22×
0.1178×0.8
1,062,79 6
9.00×700×
1703.22×
0.1178×0.8 7,572,936 6,510,140
(계산)0000
계 549,010 4,117,610 3,568,600
지하1층 기계실 1.20×700×
70.39×1.0 59,128 9.00×700×
70.39×1.0 443,457 384,329 지하2층 기계실 1.20×700×
583.2×1.0 489,888 9.00×700×
583.2×1.0 3,674,160 3,184,272
(작전)0000
계 4,487,790 44,687,530 40,199,740
1층 기계실 1.20×700×
138.28×1.0 116,155 9.00×700×
138.28×1.0 871,164 755,009 1층 창고 0.61×700×
1935.8×1.0 826,587 9.00×700×
1935.8×1.0 12,195,54
0 11,368,953 1층 하역창고 0.61×700×
89.6×1.0 38,259 9.00×700×
89.6×1.0 564,480 526,221 2층 기계실 1.20×700×
146.03×1.0 122,665 9.00×700×
146.03×1.0 919,989 797,324 2층 사무실 1.20×700×
992.7×1.0 833,868 9.00×700×
992.7×1.0 6,254,010 5,420,142 2층 창고 0.61×700×
1289.87×1.0 550,774 9.00×700×
1289.87×1.0 8,126,181 7,575,407 3층 기계실 1.20×700×
474.02×1.0 398,177 9.00×700×
474.02×1.0 2,986,326 2,588,149 3층 창고 0.61×700×
245.36×1.0 104,769 9.00×700×
245.36×1.0 1,545,768 1,440,999 4층 기계실 1.20×700×
105.22×1.0 88,385 9.00×700×
105.22×1.0 662,886 574,501 4층 사무실 1.20×700×
43.54×1.0 36,574 9.00×700×
43.54×1.0 274,302 237,728 지하 기계실 1.20×700×
1596.34×1.0 1,340,92
6 9.00×700×
1596.34×1.0 10,056,94
2 8,716,016 지하 사무실 1.20×700×
36.5×1.0 30,660 9.00×700×
36.5×1.0 229,950 199,290
00공항아울렛
계 12,426,420 47,870,360 35,443,940
의류매장 1.68×700×
55.82×1.0 65,644 6.52×700×
55.82×1.0 254,762 189,118
의류매장 1.68×700×
27.91×1.0 32,822 6.52×700×
27.91×1.0 127,381 94,559 의류매장(5개) 1.68×700×
29.57×1.0×5 173,870 6.52×700×
29.57×1.0×5 674,785 500,915 쇼핑상가 1.68×700×1
0077.32×1.0 11,850,92
8 6.52×700×1
0077.32×1.0 45,992,88
8 34,141,960 영화관 매점 1.68×700×
83.51×1.0 98,208 3.55×700×
83.51×1.0 207,522 109,314 영화관 사무실 1.20×700×
17.43×1.0 14,641 3.55×700×
17.43×1.0 43,314 28,673 영화관 매점 1.68×700×
81.23×1.0 95,526 3.55×700×
81.23×1.0 201,857 106,331
의류상가 1.68×700×
25.52×1.0 30,012 6.52×700×
25.52×1.0 116,473 86,461
의류상가 1.68×700×
55.08×1.0 64,774 6.52×700×
55.08×1.0 251,385 186,611
(병방) 부속창고 1.68×450×
296.66×1.0 224,275 224,275
○ 2014년 교통유발 부담금 착오 및 부과누락 현황
시설명 시설구분 당초금액(가) 재산정금액(나) 오차금액
(나-가) 비 고
총계 14,312,910 65,565,760 51,252,840
(계산)0000
계 549,010 4,117,610 3,568,600
지하1층 기계실 1.20×700×
70.39×1.0 59,128 9.00×700×
70.39×1.0 443,457 384,329 지하2층 기계실 1.20×700×
583.2×1.0 489,888 9.00×700×
583.2×1.0 3,674,160 3,184,272
(작전)0000 테스코
계 705,170 5,288,770 4,583,600
3층 기계실 1.20×700×
474.02×
0.405479 161,453 9.00×700×
474.02×
0.405479 1,210,894 1,049,441 지하 기계실
1.20×700×
1596.34×
0.405479 543,718
9.00×700×
1596.34×
0.405479 4,077,883 3,534,165
(작전)0000 국민은
계 1,033,930 7,754,490 6,720,560
3층 기계실
1.20×700×
474.02×
0.594521 236,724
9.00×700×
474.02×
0.594521 1,775,432 1,538,708 지하 기계실
1.20×700×
1596.34×
0.594521 797,208
9.00×700×
1596.34×
0.594521 5,979,059 5,181,851
00공항아울렛
계 12,024,790 46,667,670 34,642,880
의류매장(5개) 1.68×700×
29.57×1.0×
5
173,870 6.52×700×
29.57×1.0×
5
674,785 500,915
쇼핑상가 1.68×700×1
0077.32×1.0 11,850,928 6.52×700×1
0077.32×1.0 45,992,88
8 34,141,960
리테일000 (병방)
계 978,740 978,740
누락
1층 소매점 1.68×450×
997.98×1.0 754,473 754,473
부속창고 1.68×450×
296.66×1.0 224,275 224,275
리테일000 (작전)
계 758,487 758,487
1-1층 소매점 1.68×450×
832.95×1.0 629,710 629,710
1-2층 제과점 1.68×450×
33.5×1.0 25,326 25,326
2층 소매점 1.68×450×
58.4×1.0 44,150 44,150
A동 부속창고 1.68×450×
71.24×1.0 53,857 53,857
B동 부속창고 1.68×450×
7.2×1.0 5,443 5,443
※ 산출산식 : 교통유발계수×단위부담금면적×사용면적×사용일수(365)×(경감율)
[ 일련번호 : 05 ]
감사결과 처분요구서
[부서․기관명] 인천광역시(000000관), 인천광역시 계양구(0000과) [행정상 조치] 권고
[재정상 조치] 없음 [신분상 조치] 없음
[제 목] 계양구 어린이 교통교육관 시설 및 운영 개선 [지 적 사 항]
「교통안전법」 제23조는 국가 등은 교통안전에 관한 지식을 보급하고 교통안전에 관한 의식을 제고하기 위하여 학교 그 밖의 교육기관을 통하여 교통안전교육의 진흥 과 교통안전에 관한 홍보활동의 충실을 기하는 등 필요한 시책을 강구하여야 하며, 어린이 교통안전의 체험을 위한 교육시설을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동법 시행 령 제19조의2는 어린이 교통안전 체험시설의 설치 기준 등을 규정하고 있으며, 「인 천광역시 어린이 통학로 교통안전을 위한 조례」 제6조는 시장은 교통안전에 관한 의식을 제고하기 위하여 어린이 교통안전 체험을 위한 교육시설의 설치 및 지원을 적극 추진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인천광역시에서는 다음 [표1]과 같이 어린이 교통안전 체험을 위한 교육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표1] 어린이 교통교육관 시설 현황
구 별 계양구 남구 동구 부평구
명 칭 어린이교통교육관 중앙어린이교통공원 어린이교통회관 꿈나무교통나라 면 적
(건축물)
21,092㎡
(296㎡)
13,233㎡
(321㎡)
24,980㎡
(165㎡)
24,077㎡
(1,504㎡) 시 설 물 <8종 100개> <9종 243개> <10종 121개> <10종 84개>
개 관 일 2001.5월
(1997.5월 화장실준공) 1993. 4월 1998. 12월 2013. 4월 교육인원 2013년 : 10,357명2014년 : 9,224명 2013년 : 8,180명
2014년 : 8,186명 2013년 : 3,244명
2014년 : 2,875명 2013년 : 8,882명 2014년 : 9,250명
예방 대책을 스스로 깨닫게 하는 교통안전 실천교육의 장으로 어린이들에게 실제 발생한 사고사례에 입각한 교통안전 실습교육을 실시함으로써 교통사고로부터 자신 을 지킬 수 있는 방어능력을 길러주기 위하여,
어린이들의 눈높이에 맞는 교육모형을 활용한 교통안전 체험관, 영상물 시청실, 실제 도로시설물을 축소하여 조성한 실외 체험교육장 등을 통해 안전한 교통생활을 자연스럽게 터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어린이 전문 교통광장인 계양구 어린이 교 통교육관을 운영하고 있다.
1. 어린이 교통교육관에 대하여
계양구 어린이 교통교육관은 1997년 5월에 준공한 공원내 화장실을 2001년 5월에 2층으로 증축하여 어린이 교통교육관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어린이들의 교통안전을 위하여 2013년에는 10,357명을 교육하였고 2014년에는 9,224명을 교육하였다.
○ 계양구 어린이 교통교육관
그런데 어린이 교통교육관에서 안전교육을 받는 대상들을 살펴보면 초등학교, 유 치원, 어린이집 어린이들로 ①교육장이 2층에 소재하여 계단을 이용하다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고, ②화장실의 윗 층을 교육장으로 사용하고 있어 어린이들의 위 생을 위협하고 있으며, ③교통안전법 제23조에 따른 교통안전체험 교육교실 운영에 대한 타 시·도의 경우 2층을 교육장으로 운영하고 있는 사례가 없고, 인천광역시 어 린이 교통교육관의 이미지를 저해하고 있다.
2. 어린이 교통교육관 시설에 대하여
인천광역시 자전거 교통사고는 다음 [표2]와 같이 2013년에 총 503건이 발생하여 사망자는 12명, 부상자는 505명이며, 이중 계양구에서 73건이 발생하여 사망자 1명, 부상자 76명으로 인천시 자전거 교통사고의 14.5%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2013년도 자전거 연령별 사고 현황을 살펴보면 65세 이상의 경우, 사망 3명, 부상 112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14세 이하의 경우 부상 94명으로 전체 사망·부상의 18.1%를 차지하고 있어 어린이들의 자전거 교통사고가 다수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2] 자전거 교통사고 현황
○ 인천광역시 사고 현황
(단위 : 건, 명)
구 분 2011년 2012년 2013년
발생 사망 부상 발생 사망 부상 발생 사망 부상 비고 인천시 513 11 514 509 16 510 503 12 505
14.5%
계양구 58 1 57 52 3 50 73 1 76
○ 연령별 사고 현황 (2013년)
(단위 : 건)
구 분 계 14세
이하 15~
24세 25~
34세 35~
44세 45~
54세 55~
64세 65세
이상 비고
사 망 12 0 0 2 2 2 3 3
18.1%
부 상 505 94 66 40 52 58 83 112
자전거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타 시·도의 어린이 교통교육관 시설을 살펴보면 서 울시 송파구에서는 어린이들이 위기 상황에 대처하는 능력을 길러주고, 어린이들이 보다 흥미있고 즐겁게 안전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자전거를 탈 때 꼭 안전모와 안 전보호 장구를 착용하고 자전거의 올바를 명칭도 배울 수 있도록 안전 교육관에 자 전거 안전관을 추가로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경남 창원시에서는 어린이교통공 원에 어린이들이 자전거의 이용 방법 및 교통안전 의식을 고취하기 위하여 어린이 자전거 운전면허 시험장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서울 송파구 어린이 안전교육관 창원시 대원동 어린이교통공원 (자전거운전면허시험장)
그러나, 인천광역시 계양구에서는 자전거 교통사고가 인천시 전체의 14.5%이고 어 린이 자전거 교통사고율이 18.1%로 자전거 교통사고가 다수 발생하고 있음에도 자 전거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자전거 안전교육관이나 자전거 교육시설을 운영하지 않 고 있다.
[처분요구]
계양구청장께서는,
○ 어린이 교통공원 교육관에 자전거 교육관 등을 설치하여 어린이들이 자전거 이 용 방법 및 교통안전 의식을 고취하여 교통사고 위기 상황에 대처함으로써 자전거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개선대책을 강구하시고,
시 000000관께서는,
○ 가용한 재원조달 방안을 강구하여 어린이 교통공원 2층에 설치된 어린이 교통교 육관을 1층에 설치하여 어린이들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안전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개선하시기 바랍니다.
[ 일련번호 : 06 ]
감사결과 처분요구서
[부서․기관명] 인천광역시 계양구(0000과) [행정상 조치] 주의
[재정상 조치] 없음 [신분상 조치] 없음
[제 목] 시간선택제 임기제공무원 근무운영 부적정 [지 적 사 항]
○「지방공무원 임용령」 제3조의2제2호에 따르면, 시간선택제공무원이란 예산 의 범위에서 법 제25조의312)에 따라 통상적인 근무시간보다 짧은 주당 15시 간 이상 35시간 이하의 범위에서 임용권자가 정한 시간을 근무하는 공무원으로 임용되는 임기제공무원이라고 규정하고 있으며,
○ 또한, 「지방공무원 인사분야 통합지침(안전행정부 예규109호)에 의하면, 시간 선택제근무공무원의 근무형태는 매일 특정시간대 근무, 격일제근무, 요일별 근무시간을 달리 적용 등 자율적으로 정하되, 격주제 또는 격월제 근무로는 지정 불가하며, 근무시간은 지정된 근무시간을 초과하여 근무하지 아니하도록 하되, 부득이한 사유로 부서장의 승인을 거친 경우에는 초과하여 근무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 계양구(0000과)에서는 불법 주ㆍ정차 단속을 위하여 시간선택제 임기제공 무원 7명을 임용하였으며, 2014년도 근무현황은 [표]와 같다.
12)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업무의 특성 또는 기관의 사정 등을 고려하여 신규임용되는 공무원 또는 소속 공무원을 대통령령 또는 조례로 정하는 바에 따라 통상적인 근무시간보다 짧게 근무하는 공무원으로 임 용할 수 있다
소 속 직 급 주당
근무시간 성 명 담당업무 월평균
초과근무시간 비고
0000과 시간제 0급 21시간
000
주차단속반장
000 24시간24시간
000 23시간
000 23시간
000 25시간
000 26시간
000 28시간
■ 자료 : 계양구 종합감사자료 제출자료 재구성
○ 0000과에서 기간제근로자 2명을 포함하여 3인 1조로 운영하는 주차단속반의 반장으로 근무하는 시간선택제 임기제공무원인 000 외 7명은 2014. 1. 1.부터 임용되었으며, 근무시간은 임용약정서 의하면, 주당 21시간 근무하도록 하였 다.
○ 그러나, [표]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임용약정서상 근로시간인 주당 21시간 이외에 특별한 사유 없이 월평균 25시간을 초과하여 근무토록 하였으며 초 과근무수당을 지급한 사실이 있다.
* 서울시 사례(교통지도과)
- 근무형태 : 격일제 근무(주말 등에 휴일조 근무 운영)
- 근무시간 : 주 20시간 근무(1일 8시간 근무), 주 2 ~ 3일 근무
- 단속반 편성 : 1조당 2명을 원칙으로 하며 4명까지 시간, 장소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
[처 분 요 구] 계양구청장께서는,
① 향후 시간선택제 임기제공무원 근무시간과 관련하여 임용약정서상 근로시간을 준수하도록 조치하여 주시기 바라며, 필요시 근무시간을 조정하여 운영하시기 바랍니다.
[ 일련번호 : 07 ]
감사결과 처분요구서
[부서․기관명] 인천광역시 계양구(00실) [행정상 조치] 시정
[재정상 조치] 없음 [신분상 조치] 없음
[제 목] 공무원 범죄사건 통보에 따른 업무처리 부적정 [지 적 사 항]
○「지방공무원 징계 및 소청규정」제2조제3항에 따르면, 징계등 사유를 통보 받은 기관의 장은 타당한 이유가 없으면 1개월 이내에 관할 위원회에 해당 공무원에 대한 징계의결 등을 요구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인천광역시 계양구 지방공무원 징계양정에 관한 규칙」제2조(징계 또는 징계 부가금의 기준)에 따르면, 인천광역시 계양구 인사위원회(이하 “인사위원회”
라 한다)는 징계 또는 징계부가금(이하 “징계등”이라 한다) 혐의자에 대한 비위의 유형, 비위의 정도 및 과실의 경중과 평소의 소행, 근무성적, 공적, 규제개혁 및 국정과제 등 관련 업무 처리의 적극성, 뉘우치는 정도, 그 밖에 정상 등을 참작하여 별표 1의2의 음주운전사건 징계기준 및 별표 1의3의 징계 부가금 부과기준에 따라 사건을 의결하여야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 감사원에서 2012. 2. 6.부터 3. 6. 까지 인천경제자유구역청 경제자유구역개 발사업 추진실태에 대한 감사를 하면서, 2009. 3. 19. 토지이용계획확인서 발급 근거가 되는 한국토지정보시스템의 용도지역 전자도면을 무단 삭제하여 공용 전자기록 손상하는 등 행위가 발생하였음을 확인하여, 당시 담당자인 최 지영을 「형법」 제141조(공용서류 등의 무효, 공용물의 파괴) 및 「국가공 간정보에 관한 법률」제32조의 규정에 해당하는 범죄 혐의가 있다는 사유로, 2012. 3. 29. 수사요청13)만 이루어졌다.
13) 감사원 감사결과 처분요구시 징계요구는 없었음.
급 000이 공전자기록등 위작 등으로 인천지방법원에 불구속 기소된 사실을 통 보받았다.
○ 00실에서는 이에 따라, 관련자에게 경위서 제출 요구 및 문답실시 등 징계에 필요한 관련 증빙서류를 첨부하여 「인천광역시 계양구 지방공무원 징계양정에 관한 규칙」에서 정하고 있는 기준에 따라 타당한 이유가 없으면 법령에서 정한 1개월 이내에 관할 위원회에 징계의결 등의 요구를 하여야 하나 이에 대한 검토를 하지 않았다.
○ 이후 006급 000은 2014. 9. 18. 인천지방법원에서 징역 1년 6월의 실형처 분을 받으면서 초범이고 항소하는 경우 충분한 변소 기회를 부여하는 한편, 범행을 뉘우치고 반성할 수 있는 시간을 부여하기 위하여 법정 구속하지 아니 한다.고 선고받았다.
○ 00실에서는 인천지방법원 판결문에 따라 지방공무원법 제65조의3(직위해제) 및 2013년도 지방공무원 인사실무(안전행정부)상 직위해제요건에 해당한다 고 판단하여, 형사사건 판결선고 공무원 알림(00실-7109호, 2014. 9. 30.)으 로 0000과에 통보하여, 0000과에서는 근무중인 000에 대해 2014. 10. 2.자 로 직위해제 처리를 하였다.
※ 이에 대하여, 계양구 00실에서는 형사사건으로 기소된 000에 대하여, 징계 시효기간이 경과한 다음 검찰 수사결과 범죄사실이 밝혀져 그 후 신문에 게 재되었더라도 그때에 새로운 징계사유가 발생한 것이라고 볼 수 없으므로 징 계책임도 물을 수 없고(2009년도 감사업무편람, 인천광역시), 000이 범행사 실을 강력하게 부인하고 있는 상황에서 징계사유 자체가 재판이 진행 중이라 는 이유로, 징계의결 요구여부에 관한 내부검토 절차없이 징계요구 등을 하지 않아 인천지방검찰청에서 공무원범죄 통보일로부터 20개월이 지난 2015. 4.
9. 까지 관련 규정에 의한 징계의결 등 요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사실이 있다.
[처 분 요 구] 계양구청장께서는,
① (시정) 공무원의 징계의결 요구는 해당 사건이 형사입건 되어 재판이 계속 중인 때에도 유죄여부가 판명될 때 까지 기다려야 하는 형사소추선행의 원칙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인천지방법원의 당연퇴직에 해당하는 1심 판결 결과에 따라
빠른 시일 내에 징계의결 요구를 하시기 바라며,
② (주의) 향후 수사기관에서 공무원 범죄처분결과 통보시에는 충분한 조사를 통하여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관련 규정에 따라 지체없이 징계의결 요구를 하시기 바랍니다.
감사결과 처분요구서
[부서․기관명] 인천광역시 계양구(00과 외 10개 부서) [행정상 조치] 주의
[재정상 조치] 없음 [신분상 조치] 없음
[제 목] 근무성적평정 부적정 [지 적 사 항]
○「지방공무원 임용령」제31조의(근무성적평정)에 따르면, 소속 공무원에 대 해서는 정기 또는 수시로 근무성적을 평정하여야 하며, 근무성적평정의 결과는 승진임용, 특별승급, 성과상여금 지급, 교육훈련, 보직관리 등 각종 인사관리 에 반영하여야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 직무수행태도를 평가할 때에는 직무수행능력에 포함하여 평정하되, 임용권자는 평정 대상기간이 시작되기 전에 감점의 사유와 기준 등을 정하여 평정대상공 무원에게 공개한 후 평정 대상기간 중 감점사유에 해당하는 사실이 있으면 해당 기준에 따라 만점에서 감하여 평가하도록 「지방공무원 임용령」제32 조(승진후보자 명부의 작성)와 「지방공무원 평정규칙」제8조(5급 이하 공무 원 등의 근무성적 평정)에서 각각 규정하고 있다.
○ 계양구청장은 승진임용 및 성과상여금 지급, 보직관리 등 인사관리의 기초자 료로 활용하고 실적주의에 근거한 운영체계를 확립하여 행정의 능력성과 생 산을 높여 효율적인 인사관리를 하고자 매년 6. 30. 및 12. 31. 기준 5급 이 하 공무원 근무성적 평정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하고 있다.
○ 근무성적평정부서에서 수립한 근무성적 평정계획에 따르면, 근무성적 평정은 근무실적평정과 직무수행능력을 각각 50점으로 하되, 평정자는〔표1〕에 따른 징계 등 인사부서에서 통보한 개인별 감점항목별 배점을 직무수행태도에 반영 하도록 하고 있다.
[표1] 직무수행능력의 성실성 감점항목 및 항목별 배점
감점항목 배 점(회당) 감점항목 배 점 비 고
중징계(정직) 3.0
복무 태도
무단결근(1일) 0.5
복무태도는 1차 평정자가 판단한 복무태도 감점임.
(복무태도 감점은 총 3점 이내) 경징계(감봉) 2.5
경징계(견책) 2.0 장기간 무단이석 및 무단외출(1회당) 0.2 직위해제 2.0
불문경고 1.0 지각 및 무단조퇴
(1회당) 0.1 훈계․주의 0.5
○ 그러나, 계양구 0000과 등 9개 부서에서는 2012년도부터 2014년도 상반기까지 감사실에서 통보한 주의ㆍ훈계를 받은 13명에 대하여 개인별로 0.5점 감점을 근 무성적에 반영하지 아니하고 근무평정을 실시한 사실이 있으며, 징계에 따른 감점 을 적용하여 평정기초단위인 부서의 순위대로 근무성적평정을 실시한 결과 (표 1~표5) 근무성적평정표상 14명이 순위와 점수가 바뀌는 사례가 발생하였다.
[표1] 2012년도 상반기 징계 등 처분자 평정단위 순위 현황
부서명 직 성 명
평정단위별 평정점 평정단위별 서열 근무성적평정위원회 감점전 감점후 감점전 감점후 감점전 감점후 비 고 점수 순위 점수 순위 순위 순위 점수 순위 점수 순위
0000과
006급 000 99.9 2 99.4
(△0.5) 2 8 3 61.5
(우) 31 61.5 (우) 31
순위,점수 006급 000 100. 변동없음
0 1 100.0 1 3 8 69.2
(수) 5 69.2 (수) 5
0 0 과
007급 000 99.7 4 99.2
(△0.5) 5 6 8 59.4
(우) 7 54.9
(우) 10 순위,점 변동수 007급 000 99.6 5 99.6 4 8 6 54.9
(우) 10 59.4 (우) 7
■ 자료 : 계양구 종합감사 제출자료 재구성
부서명 직 성 명
평정단위별 평정점 평정단위별 서열 근무성적평정위원회 감점전 감점후 감점전 감점후 감점전 감점후 비 고 점수 순위 점수 순위 순위 순위 점수 순위 점수 순위 0000과 006급 000 97.9 1 97.4
(△0.5) 1 3 3 68.8
(수) 8 68.8
(수) 8 순위,점수 006급 000 96.8 2 96.8 2 9 9 61.1 변동없음
(우) 33 61.1 (우) 33 00000과 006급 000 97.1 3 96.6
(△0.5) 3 3 3 52.9
(양) 3 52.9
(양) 3 순위,점수 006급 000 98.6 2 98.6 2 2 2 63.9 변동없음
(우) 2 63.9 (우) 2
00000과
007급 000 99.4 4 98.9
(△0.5) 6 4 6 60.9
(우) 4 52.6 (양) 6
순위,점수 변동 007급 000 99.2 5 99.2 4 5 4 52.9
(양) 5 60.9 (우) 4 007급 000 99.0 6 99.0 5 6 5 52.6
(양) 6 52.9 (양) 5 0000과 006급 000 100 1 99.5
(△0.5) 1 1 1 52.9
(양) 1 52.9
(양) 1 순위,점수 00000과 005급 000 100 1 99.5 변동없음
(△0.5) 1 1 1 52.9
(양) 1 52.9 (양) 1
■ 자료 : 계양구 종합감사 제출자료 재구성
[표3] 2013년도 상반기 징계 등 처분자 평정단위 순위 현황
부서명 직 성 명
평정단위별 평정점 평정단위별 서열 근무성적평정위원회 감점전 감점후 감점전 감점후 감점전 감점후 비 고 점수 순위 점수 순위 순위 순위 점수 순위 점수 순위 001동 007급 000 98.8 2 98.3
(△0.5) 3 8 22 57.0
(우) 53 48.7
(양) 81 순위,점수 007급 000 98.4 3 98.4 2 22 8 48.7 변동
(양) 81 57.0 (우) 53 00000과 006급 000 94.4 1 93.9
(△0.5) 1 2 2 65.5
(수) 16 65.5
(수) 16 순위,점수 006급 000 93.7 2 93.7 2 7 7 61.5 변동없음
(우) 32 61.5 (우) 32 00000과 005급 000 99.5 3 99.0
(△0.5) 4 8 8 63.9
(우) 8 63.9
(우) 8 순위,점수 00과 005급 000 99.0 4 99.0 4 15 15 57.9 변동없음
(우) 15 57.9 (우) 15
■ 자료 : 계양구 종합감사 제출자료 재구성
[표4] 2013년도 하반기 징계 등 처분자 평정단위 순위 현황
부서명 직 성 명
평정단위별 평정점 평정단위별 서열 근무성적평정위원회 감점전 감점후 감점전 감점후 감점전 감점후 비 고 점수 순위 점수 순위 순위 순위 점수 순위 점수 순위 0000과 행정*급 000 99.7 4 99.2
(△0.5) 5 9 16 60.3
(우) 36 46.0
(양) 84 순위,점 수 변동 행정*급 000 99.6 5 99.6 4 16 9 46.0
(양) 84 60.3 (우) 36 001동 행정*급 000 100 1 99.5
(△0.5) 1 4 10 62.1
(우) 36 57.0
(우) 53 순위,점 수 변동 행정*급 000 98.8 2 98.8 2 10 4 57.0
(우) 53 62.1 (우) 36
■ 자료 : 계양구 종합감사 제출자료 재구성
[표5] 2014년도 상반기 징계 등 처분자 평정단위 순위 현황
부서명 직 성 명
평정단위별 평정점 평정단위별 서열 근무성적평정위원회 감점전 감점후 감점전 감점후 감점전 감점후 비 고 점수 순위 점수 순위 순위 순위 점수 순위 점수 순위
0000과
행정*급 0 0 99.5 1 99.0
(△0.5) 3 4 29 66.7
(수) 13 41.5
(양) 107 순위,점 수 변동 행정*급 000 99.4 2 99.4 1 9 4 61.5
(우) 36 66.7 (수) 13 행정*급 000 99.2 3 99.2 2 29 9 41.5
(양) 107 61.5 (우) 36
■ 자료 : 계양구 종합감사 제출자료 재구성
[처 분 요 구] 계양구청장께서는,
① 근무성적평정시 개인별 감점항목별 배점이 원활히 부여될 수 있도록 해당 부 서와 인사부서에 통보하여 주시기 바라며,(00실)
② 근무성적평정시 개인별 감점항목의 누락여부 등을 관련부서에 확인하여 동 일한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개인별 인사관리에 철저를 기하여 주시기 바라 며,(0000과)
③ 근무성적평정시 개인별 감점항목에 대해서는 감사실에 확인하여 평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0000과 외 9개 부서)
감사결과 처분요구서
[부서․기관명] 인천광역시 계양구(00과) [행정상 조치] 시정
[재정상 조치] 없음 [신분상 조치] 없음
[제 목] 건설기계사업자 등록 부적정 [지 적 사 항]
○「건설기계관리법」제21조에 따라 건설기계대여·매매업을 하려는 자는 같은 법 시행규칙 제59조 및 제62조, 별표 14 및 별표 16의 기준에 적합한 주기장을 확보하여 사무소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구청장에게 등록을 신청하여야 하고 등록신청을 받은 구청장은 등록기준에의 적합여부를 확인한 후 등록증을 교 부하여야 한다.
○ 이에 따라 건설기계사업자의 주기장은「농지법」,「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그 밖의 다른 법령에 저촉되지 아니하는 지역으로서 주기장의 건축이 허용되는 지역에 위치하여야 하고,
○ 건설기계대여업을 위한 주기장은 건설기계 대수에 따라 산정한 면적 이상, 건설기계매매업을 위한 주기장은 165㎡ 이상(2 이상의 건설기계매매업자가 공동으로 설치할 경우 1업자가 초과될 때 마다 85㎡ 추가)에 대한 소유권 또는 사용권이 확보되어야 한다.
《건설기계대여업 주기장 면적 산정식》
24㎡ × (타워크레인 외의 건설기계대수)0.815 + 80㎡ × (타워크레인대수)0.815
○ 한편,「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별표 18(보전관리지역 안 에서 건축할 수 있는 건축물) 및「인천광역시 도시계획조례」제47조(보전관리 지역 안에서 건축할 수 있는 건축물)에 의하면 보전관리지역에는「건축법시행령」
별표 1 제20호(자동차 관련 시설) 아목의 주기장은 건축이 허용되지 않는다.
○ 아울러,「건설기계관리법」제39조의2에 따라 건설기계사업자 등록·변경, 주기장 관리업무 등은 ‘건설기계관리정보시스템14)’을 이용하여 처리하므로 구청장은 다수의 건설기계사업자가 동일한 토지를 주기장으로 등록 신청하는 경우에는
‘건설기계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기 등록된 주기장의 건설기계 대수를 확인하고 추가적으로 수용 가능한 한도 내에서 사업자 등록을 처리하여야 한다.
○ 그러나 계양구청(00과)에서는 위와 같은 주기장 확보의 적정여부 검토를 소홀 히 하여 2013.10.8. 보전관리지역 안의 토지를 주기장으로 1건, 2014.6.20. 이 미 다른 건설기계사업자의 주기장으로 등록되어 추가적인 건설기계를 수용할 수 있는 여유면적이 없는 토지를 주기장으로 1건 등 등록기준에 맞지 않는 토 지를 주기장으로 총 6건의 건설기계사업자 등록증을 교부한 사실이 있다.
〔표1. 건설기계사업자 등록 현황〕
연번 사업
종류 등록일 상 호 주기장 (단위 : ㎡)
비 고 위 치 지적면적 임대면적
1 매매업 ‘13.10.08 00건설기계 매매상사
강화군 양사면
교산리 ****-8 4,747 85 보전관리지역 2 대여업 ‘14.06.20 00중기
강화군 하점면
부근리 ***-7 3,950
74.28 (4대) - ‘13.8.6. 서울시 양천구의 (주)00 SCM에 대한 건설 기계사업자 등록시 전체면적이 주기장 으로 이미 등록됨
3 대여업 ‘14.07.17 00종합기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