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11.1 기계 제도의 의의 기계 제도의 의의
1) 1) 제도의 목적 제도의 목적
제도 (drawing): 도면을 작성하는 작업
작성자의 의도를 사용자 ( 제작자, 설계자) 에게 확실하고 쉽게 전달
2) 2) 도면의 요건 도면의 요건
1. 정보 포함: 도형 , 크기 , 모양 , 자세, 위치 , 표면 , 재료 , 가공 방법
2. 정보 표현: 이해하기 쉽게
3. 명확한 뜻: 모호하지 않게, 누구나 같은 해석
4. 내용과 양식 구비: 보존 , 검색 , 이용을 위하여
3) 3) 도면의 기능 도면의 기능
1. 정보의 전달
2. 정보의 보존
1.2
21.2 제도의 역사 제도의 역사
B.C. 1000 B.C. 1000 년경 년경 - Solomon - Solomon 의 석조신전 의 석조신전 , , 고대 고대 Greece Greece 의 유명한 건물의 건축 의 유명한 건물의 건축 : : 도면 도면 사용된 것으로 추측
사용된 것으로 추측
15 15 세기 초경 세기 초경 - Italy - Italy 의 건축가들 사이에 투상의 원리 알려짐 의 건축가들 사이에 투상의 원리 알려짐
15 15 세기 말경 세기 말경 - - 정면도 정면도 , , 평면도 그려짐 평면도 그려짐
Italy 의 유명한 예술가이며, 탁월한 기술자였던 레오나르도 다빈치 (Leonardo da Vinci,
1452~1519) 는 각종 기계를 고안하였으며, 이 기계들을 종래에 사용된 투시도법보다 좀더 진
보된 화법으로 표현
1500 년경 Leonardo da Vinci에 의해 그려진 스케치( 안전장치 )
우리나라에서도 15 세기경 측우기와 각종 화포 , 거북선 등을 제작할 때 상당히 진보된 화법이 사용되었으며 , 이러한 화법들은 그 훨씬 이전부터 사용되었으리라고 추측
1.2
31.2 제도의 역사 제도의 역사
18 18 세기 말경 세기 말경 - - 제 제 1 1 각법으로 요새도 그림 각법으로 요새도 그림 (France (France 의 수학자 의 수학자 , , 도법 기하학의 시조 도법 기하학의 시조 Gaspard Monge (1746 ~ 1818))
Gaspard Monge (1746 ~ 1818))
오늘날의 제도원리의 기원 . 제1각법은 유럽 여러 나라에 퍼짐
19 19 세기 말 세기 말 - - 제 제 3 3 각법 미국에서 연구 개발되어 각법 미국에서 연구 개발되어 , , 미국 국가규격으로 채용 미국 국가규격으로 채용
1.3
41.3 제도 규격 제도 규격
규격의 필요성 규격의 필요성
도면을 보고 제작하는 경우, 설계자( 제도자 ) 가 말로 설명을 하지 않더라도 각 작업자 (독도 자) 가 의문을 일으키거나 오독함이 없이 설계자의 의사를 완전히 이해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 도에 관한 규약 ( 제도규격 )이 필요
각 공장마다 규격 제작 각 공장마다 규격 제작 표준화 작업 표준화 작업 국가 규격 국가 규격
각국의 주요 공업 규격 각국의 주요 공업 규격
나 라 별 규 격 기 호 제정 연도
영국 공업규격 BS British Standards 1901
독일 공업규격 DIN Deutsche Industrie Normen 1917 스위스 공업규격 VSM Normen des Vereins Schweizerischer
Machinenindustrieller 1918
미국 공업규격 ANSI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1918
일본 공업규격 JES-JIS Japanese Industrial Standards 1921(1952) 국제표준화기구 ISA-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1928(1947) 한국공업규격 KS Korean Industrial Standards 1966
1.3
51.3 제도 규격 제도 규격
KS KS 규격 규격 : www.ksa.or.kr : www.ksa.or.kr
KS 의 부분별 기호
KS 기계 부분의 분류
KS 제도 관련 규격
공업제도일반에 적용되는 제도통칙 (KS A 0005 : 1966년 12월 22일 상 공부고시 제 2999 호, 1972년 12월 30일 제 9706 호로 개정)
공업전반에 적용할 수 있게 공통적이고 기본적인 사항에 관하여 규정
기계요소의 제도법에 대하여서는 기 계제도규격(KS B 0001)에 별도로 도 면의 크기, 투상법, 도형의 표시방법 등에 대하여 상세히 규정
규격 번호 분류 규격 번호 분류
KS A 0005 제도 통칙 KS B 0002 기어 제도
KS A 0106 도면의 크기 및 양식 KS B 0003 나사 제도 KS A 0107 제도에 사용되는 문자 KS B 0004 구름 베어링 제도 KS A 0108 제도 치수의 허용 한계 기입 방법 KS B 0005 스프링 제도 KS A 0l09 제도에 사용되는 선 KS B 0052 용접 기호
KS A 0110 제도에 사용되는 척도 KS B 0242 최대 실체 공차 방식 KS A 0111 제도에 사용되는 촬영법 KS B 0243 기하 공차를 위한 데이텀 KS A 0112 제도에서 도형의 표시 방법 KS B 0608 기하 공차의 도시 방법 KS A 0113 제도에서 치수기입 방법 KS B 0610 표면 파상도
KS A 3007 제도용어 KS B 0617 표면의 결 도시 방법
분류기호 부 문 분류기호 부 문 KS A
KS B KS C KS D KS E KS F KS G KS H
기 본 부 문 기 계 부 문 전 기 부 문 금 속 부 문 광 산 부 문 토 건 부 문 일 용 품 부 문 식 료 품 부 문
KS K KS L KS M KS P KS R KS V KS W KS X
섬 유 부 문 요 업 부 문 화 학 부 문 의 료 부 문 수 송 기 계 조 선 부 문 항 공 부 문 정 보 산 업
1.4
61.4 도면의 종류 도면의 종류
도면의 분류 도면의 분류
성질에 따른 분류 : 원도 (original drawing), 트레이스도(traced drawing), 복사도(copy drawing) 등
내용 및 사용에 따른 분류
도 면 의 종 류 설 명
조 립 도 (assembly
drawing) 기계나 구조물의 전체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부분조립도
(partial assembly
drawing) 규모가 크고 복잡한 기계를 몇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서 조립 상태를 표시한 도면
부품도 (part drawing) 제작 과정에 있어 가장 중요한 도면으로 부분품에 대해 아주 상세하게 그린 도면 상세도 (detail drawing) 필요한 부분을 부분적으로 상세하게 표시한 도면
공정도 (process drawing) 제작도에 쓰이는 공작 공정도, 제조 공정도, 설비 공정도 등의 계통도 스케치도 (sketch drawing) 기계나 장치 등을 스케치하여 그린 도면
배 치 도 (arrangement
drawing) 공장 안에 많은 기계를 설치할 때 각 기계의 위치를 명시한 도면
계획도 (scheme drawing) 제작도의 기초가 되는 것으로, 설계자가 제품을 어떻게 만들겠다는 계획의 뜻을 담은 도면 제 작 도 (manufacture
drawing) 제품을 만들 때 사용되는 것으로, 설계자의 의도를 공장에서 작업자에게 충분히 전달시키는 도
면 견 적 도 (estimation
drawing) 견적서에 첨부하여 주문품의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기계 제작비의 개요가 알려질 정도로
그려진 것
1.5
71.5 도면의 형식 도면의 형식
1. 1. 도면 크기의 종류 및 윤곽의 치수 도면 크기의 종류 및 윤곽의 치수 (KS B 0001, (KS B 0001, 표 표 1) 1)
A열 사이즈 연장 사이즈
호칭방법 치수 a×b
c ( 최
소 )
d ( 최소)
호칭방법 치수
a×b c
( 최소)
d ( 최소)
철하지않을때 철할때 철하지
않을때 철할때
― ― ― ― ― A0×2 1189×1682
20 20
25 A0 841×1189
20 20
25
A1×3 841×1783
A1 594×841 A2×3
A2×4 594×1261 594×1682 A2 420×594
10 10
A3×3
A3×4 420×891 420×1189
10 10
A3 297×420 A4×3
A4×4 A4×5
297×630 297×841 297×1051
A4 210×297 ― ― ― ― ―
) 2 : 1 : (a b
단위: mm
1.5
81.5 도면의 형식 도면의 형식
2. 2. 윤 곽 윤 곽
도면에는 테두리를 그려서 도면이 파손되거나 더럽혀져서 문자 또는 그림이 어지러워지는 것 을 피하기 위해 KS A 0106( 또는 A 5201) 에 규정
윤곽에는 원칙적으로 굵기 0.5mm 이상의 실선으로 윤곽선 . 생략하는 경우도 있음
3. 3. 도면의 위치 도면의 위치
긴 쪽을 좌우 방향 , A4 는 짧은 쪽 좌우 방향 허용
4. 4. 표제란 표제란
도면의 오른쪽 아래 구석에 위치
일반적으로 도면번호 , 도명, 기업 (단체 ) 명, 책임자서명 (도장 ), 도면의 척도 , 작성 년 월 일 및 투상법 등을 기입
5. 5. 중심마크 중심마크
도면의 마이크로필름 촬영 , 복사 등의 편의를 위하여
용지 네 변의 중앙에 각각 굵기 0.5mm 의 직선으로 그림
1.6
91.6 척도 및 기입법 척도 및 기입법 (KS B 0001 5) (KS B 0001 5)
제도의 척도 제도의 척도
현척 , 축척 , 배척
A B∶ 로 표시 , A 는 그린 도형의 길이 , B 는 대상물의 실제 길이
도면에는 그 척도를 표제란에 기입
만일 한 도면에 서로 다른 척도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각 그림마다 척도를 부품번호 옆에 기입
축척 및 배척을 하였을 지라도 도면의 치수는 실제치수를 기입
Not to Scale (N/S): 척도에 관계 없이 그린 경우
축척‧ 축척 ‧ 현척 및 배척의 값 현척 및 배척의 값 (KS B 0001, (KS B 0001, 표 표 2) 2)
1란의 척도를 우선으로 사용한다.
척도의 종류 란 값
축 적 1 1:2 1:5 1:10 1:20 1:50 1:100 1:200
2 1: 1:2.5 1: 1:3 1:4 1: 1:25 1:250 현 척 1:1
배 척 1 2:1 5:1 10:1 20:1 50:1 2 :1 :1 100:1
2 2 2 5 2
2 2.5 2
10
2.1 2.1 선의 종류 선의 종류
1. 1. 모양에 의한 선의 종류 모양에 의한 선의 종류
① 실선 연속된 선
② 파선 짧은 선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선
③ 1 점 쇄선 짧은 선과 1 개의 점이 번갈아 반복되는 선
④ 2 점 쇄선 짧은 선과 2 개의 점이 서로 섞여서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선
▶ 1 점 쇄선 및 2점 쇄선은 긴쪽 선의 요소에서 시작하고 끝나도록 한다 .
2. 2. 굵기에 따른 종류 굵기에 따른 종류
가는 선 , 굵은 선 , 아주 굵은 선 ,
굵기의 비율은 각각 1 2 4∶ ∶
선 굵기의 기준은 0.18, 0.25, 0.35, 0.5, 0.7, 1, 1.4, 2mm
같은 도면에 있어서는 선의 종류마다 굵기를 같이해야 한다.
▶0.18mm 의 선은 도면을 복제, 복사하였을 때 보기 힘든 경우가 있으므로 되도록 사용하지 않는다.
11
2.2 2.2 선의 용도별 분류 선의 용도별 분류
선의 용도에 따른 분류 선의 용도에 따른 분류 (KS B 0001, (KS B 0001, 표 표 3) -1/2 3) -1/2
(1) ISO 128(Technical drawings-General principles of presentation)에는 규정되어 있지 않다. 용도에 의한
명 칭 선의 종류 용 도 그림 3-1의
선 사용 예 외 형 선 굵 은 실 선
대상물의 보이는 부분의 모양을 표시하는 선 1.1
치 수 선
가 는 실 선
치수를 기입하기 위한 선 2.1
치 수 보 조 선 치수를 기입하기 위하여 도형으로부터 끌어내는 데 쓰는 선 2.2
지 시 선 기술․기호 등을 표시하기 위하여 끌어내는 선 2.3
회 전 단 면 선 도형내에 그 부분의 끊은 곳을 90°회전하여 표시하는 선 2.4
중 심 선 도형의 중심선 (4.1)을 간략하게 표시하는 선 2.5
수 준 면 선(1) 수면, 유면 등의 위치를 표시하는 선 2.6
숨 은 선 가는 파선또는
굵은 파선
대상물의 보이지 않는 부분의 모양을 표시하는 선 3.1 중 심 선
가는 1 점 쇄선
(1) 도형의 중심을 표시하는 선
(2) 중심이 이동한 중심궤적을 표시하는 선 4.1 4.2
기 준 선 특히 위치 결정의 근거가 된다는 것을 명시할 때 쓰는 선 4.3
피 치 선 되풀이 하는 도형의 피치를 취하는 기준을 표시하는 선 4.4
특 수 지 정 선 굵은 1 점 쇄선
특수한 가공을 하는 부분 등 특별한 요구사항을 적용할 수 있는 범위
를 표시하는 선 5.1
12
2.2 2.2 선의 용도별 분류 선의 용도별 분류
(2) 가상선은 투상법상에서는 도형에 나타나지 않으나, 편의상 필요한 모양을 나타내는데 사용한다. 또 기능상‧공작상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형을 보조적으로 나타내기 위해서도 사용한다.
(3) 다른 용도와 혼용할 염려가 없을 때는 끝 부분 및 방향이 변하는 부분을 굵게 할 필요는 없다. 용도에 의한
명 칭 선의 종류 용 도 그림 3-1의
선 사용 예
가 상 선(2)
가는 2 점 쇄선
(1) 인접부분을 참고로 표시하는 선
(2) 공구, 지그 등의 위치를 참고로 나타내는 선
(3) 가동부분을 이동 중의 특정한 위치 또는 이동한계의 위치로 표 시하는 선
(4) 가공 전 또는 가공 후의 모양을 표시하는 선 (5) 되풀이하는 것을 나타내는 선
(6) 도시된 단면의 앞쪽에 있는 부분을 표시하는 선
6.1 6.26.3 6.4 6.5 6.6
무게중심선 단면의 무게 중심을 연결한 선을 표시하는 선 6.7
파 단 선 불규칙한 파형의 가 는 실선 또는 지그재 그 선
대상물의 일부를 파단한 경계 또는 일부를 떼어낸 경계를 표시하는
선 7.1
절 단 선
가는 1 점 쇄선으로 끝부분 및 방향이 변 하는 부분을 굵게 한 것(3)
단면도를 그리는 경우, 그 절단 위치를 대응하는 그림에 표시하는
선 8.1
해 칭 가는 실선으로 규칙 적으로 줄을 늘어놓
은 것 도형의 한정된 특정 부분을 다른 부분과 구별하는데 사용한다.
보기를 들면 단면도의 절단된 부분을 나타낸다. 9.1
특 수 한 용 도 의 선
가 는 실 선
(1) 외형선 및 숨은 선의 연장을 표시하는 선 (2) 평면이란 것을 나타내는 선
(3) 위치를 명시하는 선
10.1 10.210.3 아주 굵은 실선
얇은 부분의 단선 도시를 명시하는 선 11.1
13
2.3 2.3 선의 적용 예 선의 적용 예
선의 적용 예 선의 적용 예 1 1
14
2.3 2.3 선의 적용 예 선의 적용 예
선의 적용 예 2
15
2.3 2.3 선의 적용 예 선의 적용 예
선의 적용 예 3
16
2.3 2.3 선의 적용 예 선의 적용 예
선의 적용 예 4
17
2.4 2.4 선의 우선 순위 선의 우선 순위
4. 4. 선의 종류에 따른 우선 순위 선의 종류에 따른 우선 순위
도면에서 두 종류 이상의 선이 같은 장소에 겹치게 될 경우에는 다음에 나타낸 순위에 따라 우 선되는 종류의 선으로 그린다
① 외형선 ② 숨은선 ③ 절단선 ④ 중심선 ⑤ 무게중심선 ⑥ 치수보조선
18
2.5 2.5 글자 글자
도면 정보 전달을 위하여 혼동되지 않고 명료하게 도면 정보 전달을 위하여 혼동되지 않고 명료하게
크기
2.24, 3.15, 4.5, 6.3, 9, 12.5, 18mm 의 7종 (KS B 0001에는 12.5, 18mm 미포함)
필요한 경우 다른 치수 사용 가능
CAD CAD 사용으로 손 제도시보다 용이하게 표현 가능 사용으로 손 제도시보다 용이하게 표현 가능
19
4.0 4.0 서론 서론
도형의 표시법 도형의 표시법
공간에 있는 물체를 평면에 도시
평면상에 그려진 도형을 보고 입체를 상상하여 그리는 법
도면에 표시될 내용 도면에 표시될 내용
1. 물품 각 부의 실제 모양
2. 물품의 가로 (W)× 세로(L)× 높이(H) 세 방향의 치수
투상법 투상법 (KS B 0001 8) (KS B 0001 8) 이 공업 제도에 널리 사용 이 공업 제도에 널리 사용
20
4.1 4.1 투상법 투상법
투상법 투상법 (projection) (projection)
어떤 물체에 광선을 비춰 이웃한 평면에 찍혀지는 그림자로서 그 형상을 표시하는 화법
투사선(projection line): 광선을 나타내는 선
투상면(plane of projection): 그림이 찍혀지는 평면
투상도(projection drawing): 그려진 그림
투상도는 눈의 위치나 물체의 놓는 방법에 따라 그림의 형태나 크기가 달라짐
21
4.2 4.2 투상도의 선 표시 방법 투상도의 선 표시 방법
투상도로 물체의 모양을 표시하는 데는 외형선 , 숨은선 및 중심선이 사용
1. 1. 외형선 외형선
물체의 겉에서 보이는 모양을 표시하는 선
(1) 면의 끝 그림 4-3 의 (1) 의 a
(2) 두 면의 만나는 선 그림 4-3 의 (2) 의 b
(3) 곡면의 한계 그림 4-3 의 (3) 의 c
22
4.2 4.2 투상도의 선 표시 방법 투상도의 선 표시 방법
2. 2. 숨은선숨은선
물체의 구멍이나 홈과 같이 겉에서 보이지 않는 부분의 모양을 표시
주의 사항 (잘못 그리면 혼동 야기).
(1) 숨은선이 외형선에서 끝나는 경우에는 간격을 두지 않는다 [그림 4-4의 (1)].
(2) 숨은선이 외형선에 접속할 때에는 간격을 둔다 [그림 4-4의 (2)].
(3) 다른 숨은선과의 교점에서는 간격을 두지 않는다 [그림 4-4의 (3)].
(4) 숨은선과 외형선과의 교점에는 간격을 둔다 [그림 4-4의 (4)].
(5) 숨은선의 호와 직선 또는 호가 접속할 때에는 접점에 간격을 둔다 [그림 4-4의 (5)].
(6) 근접하고 있는 평행한 숨은선은 띄운 부분의 위치를 서로 엇갈리게 한다 [그림 4-4의 (6)].
(7) 두 선 사이의 거리가 작은 부분에 있어서는 숨은선의 끊는 길이를 다르게 한다 [그림 4-4의 (7)].
23
4.2 4.2 투상도의 선 표시 방법 투상도의 선 표시 방법
3. 3. 중심선 중심선
중심선은 원 , 원호, 구의 중심선 및 원통 , 원뿔 등의 대칭축을 표시한다.
(1) 대칭축을 가진 물체를 그릴 때는 반드시 중심선을 그린다 .
(2) 원, 구는 직교하는 두 중심선의 교점을 중심으로 하여 그린다.
(3) 중심선은 외형선으로부터 약간( 약 2 ~3mm) 그림 밖으로 연장한다.
24
4.3 4.3 투상도 그리는 방법 투상도 그리는 방법
물체의 표현 물체의 표현
정면도(front view), 우측면도 (right side view), 평면도 (topview)
25
4.3 4.3 투상도 그리는 방법 투상도 그리는 방법
투시 상자 투시 상자
전개도 전개도
① 은 정면도 , ②는 평면도, ③은 우측면도 ④는 좌측면도 , ⑤는 저면도 , ⑥은 배면도
통상 ① , ,② ③ 의 삼면도만으로 대부분의 도면 표현이 가능
26
4.4 4.4 제 제 3 3 각법과 제 각법과 제 1 1 각법 각법
투상각 투상각
수직면 V.P 와 수평면 H.P를 연장하면 이들 두 면은 공간을 4개의 직각으로 구분하는 각
제1 각, 제2 각, 제3 각, 제4 각
물체를 이들 네 개의 투상각 가운데서 어느 한 투상각에 놓고 각면에 투상한다
27
4.4 4.4 제 제 3 3 각법과 제 각법과 제 1 1 각법 각법
제 제 3 3 각법 각법 (third angle projection) (third angle projection)
물체를 제 3각내에 두고 투상하는 방식
투상면의 뒤쪽에 물체 배치
정면도를 중심으로 위쪽에 평면도 , 오 른쪽에 우측면도 배치
제 제 1 1 각법 각법 (first angle projection) (first angle projection)
물체를 제 1각내에 투상하는 방식
투상면의 앞쪽에 물체 배치
정면도를 기준으로 아래쪽에 평면도 , 왼쪽에 우측면도 배치
28
4.5 4.5 제 제 3 3 각법과 제 각법과 제 1 1 각법의 비교 각법의 비교
비교 비교
제3 각법은 투명상자에 넣은 물체가 투명판에 그대로 그림 겉에서 본 모양과 동일
제1 각법은 물체가 제 1 상한에 놓여진 것을 그림 물체를 통과하여 물체의 뒤쪽에 그려짐 .
제 제 3 3 각법과 제 각법과 제 1 1 각법의 도면 배열 각법의 도면 배열
제 3 각법
제 1 각법
29
4.5 4.5 제 제 3 3 각법과 제 각법과 제 1 1 각법의 비교 각법의 비교
제 제 3 3 각법의 장점 각법의 장점 ( ( 제 제 1 1 각법과 비교 각법과 비교 ) )
1. 그림이 물체를 전개한 위치에 배열되 므로 실제로 실물을 보는 것과 같은 위 치에 있다 .
2. 물체를 본 쪽에 그림이 배열되므로 그림을 보기가 쉽다 . 특히 긴 물체나 경 사면인 경우에 관련 그림을 대조하는 데 편리하다
투상법 투상법 (KS (KS 의 제도규격 의 제도규격 ) )
1. 투상법은 제 3각법에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2. 제3 각법과 제1 각법의 구별을 필요 로 할 경우에는 도면내의 적당한 위치에 제3 각법 또는 제 1 각법으로 글자 또는 기호를 사용하여 기입한다 .
30
4.6 4.6 투상법의 혼용 투상법의 혼용
원칙적으로 동일 도면에서 제 원칙적으로 동일 도면에서 제 1 1 각법과 제 각법과 제 3 3 각법의 혼용 금지 각법의 혼용 금지
혼용함으로써 도면이 알기 쉽게 될 때에는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예) 전체 제 3 각법, 구멍 부분 제 1각법 투상의 방향을 화살표 또는 글자로 표시
31
5.1 5.1 투상도의 표시 방법 투상도의 표시 방법
1. 1. 투상도의 표시 법칙 투상도의 표시 법칙
도형의 표시는 우선 도면을 보는 사람이 알기 쉽고, 작업이 쉬워야 하며, 제도자에게는 간단 해야 한다 .
(1) 물체는 될 수 있는 대로 자연 , 안정 , 사용의 상태로 표시한다 .
(2) 물체의 중요한 면은 될 수 있는 대로 투상면에 나란하거나 수직이 되도록 표시한다 .
(3) 물체의 모양이나 특징을 가장 뚜렷이 나타내는 면을 정면도로 선택하고, 이것을 기본으로 하여 평면도 , 우측면도, 좌측면도 등을 그린다 [그림 5-1].
32
5.1 5.1 투상도의 표시 방법 투상도의 표시 방법
(4) 서로 관련되는 그림의 배치는 될 수 있는 대로 숨은선을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 그러나 비 교적 대조하기가 불편한 경우는 이에 따르지 않아도 좋다 [그림 5-2~5-4].
33
5.1 5.1 투상도의 표시 방법 투상도의 표시 방법
(5) 제작도에는 그 물체에서 가장 가공량이 많은 공정을 기준으로 하여 , 가공할 때 놓여지는 상태와 같은 방향으로 물체를 놓고, 그리는 것이 좋다 [그림 5-5].
① 원통절삭인 경우에는 그 중심선을 수평으로 하고 , 또한 작업의 중심이 오른쪽으로 위치하도록 한다 [그림 5-5(a)].
② 평면절삭인 경우에는 그 길이 방향을 수평으로 하고 가공면이 그림의 표면에 나타나게 그리는 것이 좋다[그림 5-5(b)].
34
5.1 5.1 투상도의 표시 방법 투상도의 표시 방법
2. 2. 투상도의 선택 투상도의 선택 (KS B 0001 9.1) (KS B 0001 9.1)
6 개 투상도 중 일부는 생략해도 물체 표현 가능
(1) 정면도
① 물체의 특징있는 모양을 가장 잘 표시하는 그림
② 물체의 모양을 판단하기 쉬운 그림
③ 숨은선이 적은 그림[그림 5-6]
(2) 보충도 (좌측면도 , 우측면도, 평면도, 저면도 등 )
① 숨은선이 적은 그림
② 원칙적으로 정면도의 위쪽의 그림 (평면도), 또는 오른쪽의 그림(우측면도) [그림 5-7, 5-8]
35
5.1 5.1 투상도의 표시 방법 투상도의 표시 방법
(3) 2 면도를 택하는 경우
정면도와 평면도 또는 정면도와 측면도 가운데 어느 것을 선택하여도 좋은 경우에는
① 모양을 이해하기 쉬운 그림
② 도면의 균형이나 도면 배치가 좋은 그림
36
5.1 5.1 투상도의 표시 방법 투상도의 표시 방법
(4) 원형의 투상도
벨트차, 롤링베어링, 기어 등의 원형투상도(축방향에서 본 그림 )는 특수한 경우 이외에는 가능하면 정면도로 선택하지 않는다[그림 5-10].
37
5.1 5.1 투상도의 표시 방법 투상도의 표시 방법
3. 3. 필요한 투상도 필요한 투상도
물체를 완전히 표시하는데 필요한 투상도의 수는 물체의 모양에 따라 다름
일반적으로는 세 투상도 이하로서 충분
평면도, 우측면도 , 좌측면도 , 저면도 등 보충도의 수는 가능한 적게 한다 .
(1) 3 면도
세 개의 투상도로 도시할 수 있는 것
일반적으로 정면도, 평면도(또는 저면도) 및 우측면도(또는 좌측면도)를 선택
38
5.1 5.1 투상도의 표시 방법 투상도의 표시 방법
(2) 2 면도
평면형 또는 원통형 등의 간단한 물품은 일반적으로 정면도와 평면도 (또는 저면도 ) 또는 정면도와 우 측면도(또는 좌측면도)의 두 그림으로 표시되는 것이 많다 [그림 5-12].
보충도 가운데 어떤 것을 택할 것인가는 앞서 말한 선택법칙에 따른다[그림 5-9].
(3) 1 면도
원통, 각기둥, 평판 등과 같이 단면 모양이 균일한 모양으로 된 물체는 보충도를 그리지 않고 정면도 하 나만으로 치수숫자에 모양기호를 붙여씀으로써 한 투상도로 표시될 수 있는 것이 많다[그림 5-13, 5- 14].
39
5.1 5.1 투상도의 표시 방법 투상도의 표시 방법
모양기호
치수숫자 앞에 치수숫자와 같은 크기로 표시 [그림 5-15].
1 면도 , 2면도 , 3 면도의 비교
40
5.2 5.2 보조투상도 보조투상도
보조투상도 보조투상도 ( ( 보조도 보조도 , , 기호 기호 A) A)
경사면이 있는 대상물의 경사면
투상도에 물체의 길이와 면이 단축되고 변형
경사면이 있는 대상물의 경사면 실제모양을 표시할 필요가 있는 경우 보조 투상도
경사면에 나란한 별도의 투상면 ( 보조투상면( 보조면, 기호A.P)) 을 설정하여 이 면에 투상하 여 그린 투상도
보조투상도의 종류 보조투상도의 종류
(a) 정면보조도
(b) 평면보조도
(c) 측면보조도
41
5.2 5.2 보조투상도 보조투상도
보조투상도의 배치 보조투상도의 배치
지면에 여유가 없어 보조투상도를 경사면에 맞는 위치에 배치할 수 없는 경우
화살표와 영자의 대문자로 표기[그림 5-19(a)]
구부린 중심선에서 연결 [그림 5-19(b)]
보조투상도( 필요부분의 투상도도 포함) 의 배치관계가 분명하지 않을 경우에는 표시글자의 각각에 상대방 위치의 도면구역의 구분기호를 같이 쓴다[ 그림 5-20].
구분기호(E-7)은 보조투상도가 그려진 도면의 구역 표기
구분기호(B-2)는 화살표가 그려진 도면의 구역 표기
42
5.3 5.3 회전투상도 회전투상도
회전 투상도 회전 투상도
투상면이 어느 각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실제 모양을 표시하지 못할 때 그 부분을 회전하 여 그 실제모양을 도시 [ 그림 5-21]
잘못 볼 우려가 있을 경우에는 작도에 사용한 선을 남김 [ 그림 5-22]
43
5.4 5.4 부분투상도 부분투상도
부분투상도 부분투상도
물체의 일부분만을 도시하는 것으로 충분한 경우에는 그 필요한 부분만을 그림
생략한 부분과의 경계를 파단선으로 표시 [ 그림 5-23]
명확한 경우에는 파단선 생략 가능.
44
5.5 5.5 국부투상도 국부투상도
국부투상도 국부투상도
대상물의 구멍 , 홈등 한 부분만의 모양을 표시하는 것으로 충분한 경우 그 필요부분을 그림
투상 관계를 나타내기 위하여 원칙적으로 주된 그림에 중심선 , 기준선, 치수보조선 등으로 연 결한다[ 그림 5-24].
45
5.6 5.6 부분확대도 부분확대도
부분 확대도 부분 확대도
특정부분의 도형이 작아서 그 부분의 상세한 도시나 치수기입을 할 수 없을 때 그 부분을 가는 실선으로 에워싸고 영문의 대문자로 표시하고 동시에 그 해당 부분을 다른 장소에 확대하여 그 리고 , 표시하는 글자 및 척도를 표기
확대한 척도를 나타낼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척도대신 “확대도”라고 표기 [ 그림 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