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명 :
“위드-코로나시대” 지역 경제 살리기 프로젝트국립공원 맞춤형 사회적경제기업 육성
부서 담당자
1 추진배경 및 목적
∙ 코로나19, 지역 자영업 줄줄이 도산
→실업, 지역경제 침체 장기화 상황분석 지역주민 사회적기업가 창업(UP)·육성
지역기반 사회적기업 성장(UP)-프로젝트 여
건 과
∙ 국정운영의 핵심: 사회적가치 5대 분야 제
→<➊일자리,➍지역상생>과제 추진 필요 소상공인“힘내세요(Cheer-UP)”프로그램
지역경제를 살리고, 좋은 일자리 창출을 위한 국립공원 맞춤형 사회적경제기업 육성 UP-프로젝트
2 추진내용
스타트
업(UP)-
지역주민 사회적기업가 창업·육성구분 ① (환경문제 해결형) 지역주민 사회적기업가 창업·육성
추진 체계
대상 업체 선정 업체 육성 예비사회적기업 진입 매출성장
도산위기 지역주민 영세업
자원증식모델개발 공모사업 발굴, 일자리창출지원, 홍보
컨설팅, 교육지원
사업계획서 작성 등 성장 분석
추진 내용 및 실적
·(대상업체 선정) 도산위기 지역주민 영세업 중 환경 문제 해결 및 일자리창출 효과가 큰 기업 선정→(주)계룡치유농업
·(대상업체 육성) 정부 지원 사업 공모, 일자리창출 지원, 자원증식모델 마련 등 -공모사업 발굴(2.6억원 지원금 확보): 환경부 사회적경제조직(1,100만원), 충남 도민참여예산(2.3억원)등 -홍보 다각화(1억 매출증대):세종수목원(3,900만원), 초·중학교(4,000만원), 유튜브, TV광고등 -일자리창출 지원(10명): 제품 기술에 관심 있는 지역 실직자 대상 특허기술전수 교육 :상반기 10명 교육 수료 (1명 정규직, 7명 단기 고용, 2명 창업 준비)/하반기 창업 반 20명 모집 중(11월) -자원증식모델 마련(전 공원 사례 전파 가능): 계룡산 자생식물원 설치, 멸종위기 및 특정식물실험 재배→자원자원에 대한 효율적 관리 및 증식확대 모델 마련
·(예비사회적기업 진입) 사회적기업 관련 컨설팅, 교육지원, 사업계획서 작성 등 -부처형(산림) 예비사회적기업 신청 완료(9월) ※ 발표: 11월 중
자연급수시스템과 주머니 재배로 친환경정원시스템 특허기술 보유업체. 에너지, 물 낭비가 전혀 없고 공기 정화식물 생육으로 기후 변화, 미세먼지등 환경문제 해결
업체: 계룡치유농업(주)
자연급수시스템
총2.6억원 지원금 확보 KBS2-TV광고 제작·방영 실직자 일자리 기술전수교육 주머니재배법
장애 극복
장애요인① 1인 영세업 연매출 3,000만원 이하, 코로나 여파
도산위기에 따른 대표자 의욕 상실 장애요인② 환경형 예비사회적기업의 진입 난관
극복노력
-공모 지원사업 발굴, 홍보 등 매출성장 지원
극복노력
-20.5.환경형 예비사회적기업 공모도전 :실적(매출) 부족으로 진입 실패 -(5월~9월) 매출 및 고용실적 반영,재도전 -충남사회적경제네트워크 협업으로 사회적기
업 관련 지속적인 컨설팅으로 설득완료
▷사업수입(3.6억원 확보)+적극행정지원: 사회적기업 재창업 도전 ▷산림형 예비사회적기업 진입 신청(11월 발표)
구분 ② 지역주민 친환경 도시락서비스 업체 사회적기업가 육성사업 도전!!
추진 내용 및 실적
·(대상업체) 현재 친환경도시락서비스 운영 업체(동학사 낙원식당)
·(사전준비) 사회적경제 사회 서비스분야 창업 입문 기초 과정 수료(19h) 사회적경제 사회 서비스분야 심화과정 교육 수료(26h)
·(사회적기업가 입문) 사회적기업가 육성사업 사전 선발 참여 신청서 제출(9월)
→서면통과 →대면심사진행(10월) ※ 발표:11월/창업팀명(공주자연만찬) 지역특산물알밤도시락
창업과정교육 수료증
성장
업
1)(UP)
- 지역기반 (예비· 인증)사회적기업 성장(up) 프로젝트 추진구분 추 진 내 용
∙국립공원과 유사 업(業) 지역 (예비·인증)사회적기업 현황(9곳) -자연체험, 치유형(6곳): 주)비채문화연구소, 주)감성숲길, 초록임담뿍, 다물등 -기타(3곳): 주)하나살림(드론방제), 주)열린부뚜막(친환경도시락), 채종원(유전자원)
∙간담회 개최(3회)→소통, 협업 및 지원과제 발굴
∙업무협약진행(9.16.)→향후공동연구, 협업 및 일자리창출을 위한 상호협력 지역기반 성장촉진 및 상호 협력을 위한 업무 협약식
장애요인: 코로나19 장기화 탐방프로그램등 중단→ 자연체험형 예비사회적기업(6곳)과 협업의 어려움 극복노력: 소규모 가족 탐방 문화 유도 → 소규모 프로그램 운영 협업, 21년 계획수립에 적극 반영
추진 실적
∙(사회적경제 지원센터 운영) 수통골 체험학습관 무료 대여를 통한 비용절감 지원
∙(프로그램 운영) 하반기 코로나 1단계 조정→프로그램 재개 후 건강나누리 등 탐방 프로그램 협업 운영(4회, 210만원), 사무소 가정친화프로그램 강사(2회, 60만원)
∙친환경도시락: 케이터링, 30만원 ∙드론방제: 공동 산림병해충 예찰, 산불예방 교육,연구
Cheer
(UP)-
<지역경제침체 극복을 위한> 소상공인대상“힘내세요!!”특화프로그램 운영추 진 내 용 추 진 실 적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 소상공인들을 위한
“힘내세요”프로그램 운영▷위로와 힐링의 기회 제공 ∙공주 산성시장 상인회(20.8.17.)등: 2회, 17명
※ 코로나19 상황으로 10명 이내 소그룹 운영
∙이용자 만족도: 매우만족 98점. 호응이 높아 ⇒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업무협약 (20.9.21.)체결 :소상공인들을 위한 지속적인 프로그램 개발·운영
자연생태해설 목공예 체험 나만의 화분만들기 기념사진
3 추진성과
구 분 내 용
계량성과
∙(일자리창출, 10명)상반기 창업 기술 인력 양성 (10명)→ 1명 정규직 고용, 7명 단기 고용, 2명 창업 준비 하반기 창업 기술교육 진행 예정(20명)→11.9,.11,.13,.16,.18(총5회)
∙ (사업성장, 12배) 계룡치유농업(주) 공모, 제안 사업 지원금(2.6억원) 홍보매출(1억)→ 3.6억원 확보 코로나로 폐업 위기에서‘19년 매출(3천만)대비 12배 성장
비계량성과
∙ (자원증식모델 마련) 사무소 자생식물원내 멸종위기 및 특성식물 효율적 관리 및 증식 실험 재배 성공을 통한 전 자생식물원 설치 사무소 사례 전파 가능
∙(지속가능한 일자리 창출) 국립공원형 사회적경제기업 육성으로 환경문제 해결, 소득향상 및 지속가능한 일자리 창출 기반 마련
∙(사회적 가치 구현)침체된 지역경제에 협업 및 지원을 통한 사회적 가치 구현
1) 성장업(UP)-프로젝트란? (예비→인증)사회적기업으로 전환되는 비율 30%이하. (예비→인증) 사회적기업의 성장 비율이 매우 낮음.
성장 할 수 있는 협업·지원책 마련 시급한 실정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