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PDF 과제명 : 명품마을 관광서비스 일자리 창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PDF 과제명 : 명품마을 관광서비스 일자리 창출"

Copied!
2
0
0

Teks penuh

(1)

과제명 : 명품마을 관광서비스 일자리 창출

부서 담당자

1. 추진 배경 및 목적

□ 주민 스스로 참여하는 지속가능형 국립공원 명품마을 조성

□ 명품마을 생산성 향상 및 전통적 마을공동체 회복을 통한 일자리 창출

2. 추진내용

□ 명품마을 소득 증대 지원을 통한 일자리 창출

○ 특산품 야외 공동판매장 설치 지원 및 운영 활성화 노력: 1개소 ○ 식당, 민박 등 시설 개선을 통한 소득 증대 노력: 2개소

○ 코디네이터 지원 및 주민교육 ․ 간담회 등을 통한 자가 경영 기반 구축: 24회

○ 마을 환경 개선을 통한 탐방객 증대 노력

- 긴꼬리투구새우 전시관 리뉴얼 및 보수: 1개소

- 동고지마을 자발적 주민 참여를 통한 공동시설 도색 작업 : 3개소

- 마을진입부(평촌, 동고지 마을) 랜드마크, 안내표지판 정비 : 2개소

- 덕포마을 살기좋은마을(에너지마을 구축) 대용량 태양광 시설 구축완료 : 가구당 연간 300천원 요금 절감

- 마을 주변 환경 및 시설 정비: 지자체 유치 25,000천원

특산물판매장

설치

자발적 주민참여

도색작업 전시관 리뉴얼 태양광시설 교육 및 간담회

□ 완도 및 청산도 명품마을 방문 탐방객 대상 친환경 도시락 판매 ○ 사회적기업(완도네시아) 협업을 통한 친환경 도시락 판매

- 체류 시간이 길지 않고, 주로 차량이나 선박을 이용하는 탐방형태를 감안 식사의 개념이 아닌 디저트 개념의 샐러드 도시락 판매

(2)

사회적기업 업무협약 친환경도시락(항아리 샐러드) 사회적 기업 홍보

3. 추진성과

구 분 내 용

계량성과

∙ 명품마을 및 사회적기업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 : 3.14명

구 분 소득액 비 고

명품마을 운영(3개마을) 138,299,000원 마을공동소득, 특산품판매, 민박소득 등

사회적기업 친환경도시락 판매 492,000원

138,791,000원

※ 일자리 창출인원 계산 근거

- 취업 및 고용 유발계수(한국은행): 단위(명/10억원)

· 농림수산품(25.5), 음식점 및 숙박서비스(20.5) 계수의 평균 적용(23.0)

비계량성과 ∙ 주민 스스로 참여하는 지속가능형 국립공원 명품마을 조성

∙ 마을 환경 개선을 통한 탐방객 유치 및 고객만족도 제고

Referensi

Dokumen terkait

| 기업의 지식투자가 좋은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는지에 대한 분석이 필요 기업의 지식투자1, 좋은 일자리 HRM2, 숙련노동 중심 고용구조 간의 관련성 파악을 위해 기업 현황을 조사한 자료들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효과적인 일자리 정책 대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 - 기업의 지식투자, 숙련노동수요 및 좋은

활용계획 국립공원 명소 홍보 ­온라인 홍보국내 및 영문일간지 언론 홍보, 외국인 커뮤니티 등 ­ MOU체결 외국공원청, 국제기구, 외국인 관련 공공기관 등 지도 배포 및 홍보 ­유관기관한국관광공사 등과 협업하여 국내·외 홍보 ­탐방안내소 등 외국인 탐방객 대상 홍보... │국제협력증진을 위한 외국인 특화 홍보콘텐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