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명 : 명품마을 관광서비스 일자리 창출
부서 담당자
1. 추진 배경 및 목적
□ 주민 스스로 참여하는 지속가능형 국립공원 명품마을 조성
□ 명품마을 생산성 향상 및 전통적 마을공동체 회복을 통한 일자리 창출
2. 추진내용
□ 명품마을 소득 증대 지원을 통한 일자리 창출
○ 특산품 야외 공동판매장 설치 지원 및 운영 활성화 노력: 1개소 ○ 식당, 민박 등 시설 개선을 통한 소득 증대 노력: 2개소
○ 코디네이터 지원 및 주민교육 ․ 간담회 등을 통한 자가 경영 기반 구축: 24회
○ 마을 환경 개선을 통한 탐방객 증대 노력
- 긴꼬리투구새우 전시관 리뉴얼 및 보수: 1개소- 동고지마을 자발적 주민 참여를 통한 공동시설 도색 작업 : 3개소
- 마을진입부(평촌, 동고지 마을) 랜드마크, 안내표지판 정비 : 2개소
- 덕포마을 살기좋은마을(에너지마을 구축) 대용량 태양광 시설 구축완료 : 가구당 연간 300천원 요금 절감
- 마을 주변 환경 및 시설 정비: 지자체 유치 25,000천원
특산물판매장
설치
자발적 주민참여
도색작업 전시관 리뉴얼 태양광시설 교육 및 간담회
□ 완도 및 청산도 명품마을 방문 탐방객 대상 친환경 도시락 판매 ○ 사회적기업(완도네시아) 협업을 통한 친환경 도시락 판매
- 체류 시간이 길지 않고, 주로 차량이나 선박을 이용하는 탐방형태를 감안 식사의 개념이 아닌 디저트 개념의 샐러드 도시락 판매
사회적기업 업무협약 친환경도시락(항아리 샐러드) 사회적 기업 홍보
3. 추진성과
구 분 내 용
계량성과
∙ 명품마을 및 사회적기업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 : 3.14명
구 분 소득액 비 고
명품마을 운영(3개마을) 138,299,000원 마을공동소득, 특산품판매, 민박소득 등
사회적기업 친환경도시락 판매 492,000원
계 138,791,000원
※ 일자리 창출인원 계산 근거
- 취업 및 고용 유발계수(한국은행): 단위(명/10억원)
· 농림수산품(25.5), 음식점 및 숙박서비스(20.5) 계수의 평균 적용(23.0)
비계량성과 ∙ 주민 스스로 참여하는 지속가능형 국립공원 명품마을 조성
∙ 마을 환경 개선을 통한 탐방객 유치 및 고객만족도 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