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좋은 일자리 창출과 기업의 지식투자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좋은 일자리 창출과 기업의 지식투자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Copied!
4
0
0

Teks penuh

(1)

발행인 이용순 | 발행일 2015년 10월 15일 | 발행처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좋은 일자리 창출과 기업의 지식투자

- 기업의 지식투자가 숙련노동수요에 영향을 미치고, 기업의 숙련노동수요는 기업의 좋은 일자리에 긍정 적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남.

- 즉, 연구개발과 교육훈련 등 기업의 지식투자는 기업이 숙련노동 중심 고용구조를 가져갈 때, 좋은 일자리 창출로 이어짐.

- 좋은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기업의 지식투자가 연구개발과 설비 투자와 같은 기술관련 분야뿐만 아니라 교육훈련 등 인적자원개발 분야에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것이 필요함.

| 기업의 지식투자가 좋은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는지에 대한 분석이 필요

기업의 지식투자1), 좋은 일자리 HRM2), 숙련노동 중심 고용구조 간의 관련성 파악을 위해 기업 현황을 조사한 자료들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효과적인 일자리 정책 대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

-

기업의 지식투자, 숙련노동수요 및 좋은 일자리의 관련성을 기업 수준에서 살펴보고, 좋은 일자리 확산 정책 수립에 필요한 근거 자료를 제시하고자 함.

-

기업의 지식투자가 좋은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기업의 경영방식을 숙련중심 고용 구조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연구결과를 통해 제시하고자 함.

| 한국노동연구원의 「사업체패널조사(WPS)」

분석 자료: 한국노동연구원의 「사업체패널조사(WPS: Workplace Panel Survey)」

-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체를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종단면 조사로, 사업체에서의 고용구조 및 노동수요 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인적자원관리체계를 평가할 수 있음.

-

총 7,147개 기업을 조사하였으며, 그중 중소기업은 4,842개(67.7%), 대기업은 2,305개(32.3%)임. 기업 연령별로는 10년 미만 기업이 40개(0.6%), 10년 이상 30년 미만이 4,106개(57.4%), 30년 이상이 3,001 개(42.0%)임

-

이 연구에서는 2005년, 2007년, 2009년, 2011년 사업체패널조사 결합 데이터를 사용함.

창조 교육훈련ㆍ고용 CEO를 위한

KRIVET Issue Brief

01 연구의 필요성 및 분석 자료

2015

85

I

I

연구는반가운

(2014),

「기업

지식과좋은일자리」

,

『한국직 업능력개발원』보고서를수정

·

완한것임

.

I

I

중소기업은종사자

300

미만

,

대기업은종사자

300

이상으 구분

I 각주

I

1)

기업의지식투자는기술에

투자

,

인적자본에대한투자

,

지식의활용률을높이는조직문 화로구성됨

.

2)

기업의좋은일자리

HRM

일터를만들기위한경영관 행으로서

,

고용기회

,

임금 득분배

,

적절한노동시간

,

일과 가정의조화

,

노동인권

,

노사관

,

안전한직장

,

자율성확보 도를의미함

.

<표 1> 기업 특성 (단위: 명, 년)

기업 규모 평균 근로자 수 평균 기업 연령

중소기업

105 28

대기업

1,061 37

전체

413 30

(2)

| 대기업의 정규직 채용 비율은 중소기업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남.

전체 근로자 중 신규 채용된 정규직 근로자의 비율은 대기업이 12.4%로, 중소기업 16.9%보다 낮음.

전체 근로자 중 비정규직 근로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대기업이 11.5%로, 중소기업 7.5%에 비해 높음.

-

대기업들이 비용절감과 노무관리 차원에서 정규직을 줄이고 비정규직 활용을 확대해 왔음을 알 수 있음.

| 신입사원 채용 시 대기업은 학력(학벌), 중소기업은 숙련 및 경력을 중시함.

신입사원 채용 시, 중소기업에 비해 대기업이 학력(학벌)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남.

-

신입사원 채용 시 학력(학벌)을 중시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대기업이 12.7%로, 중소기업 9.6%보다 높음.

-

기업들이 스펙보다는 ‘능력’ 중심의 인력 채용을 강조하고 있으나, 오히려 중소기업에 비해 대기업이

‘학력(학벌)=능력’의 선발기준이 상대적으로 강하게 작동하는 것으로 판단됨.

신입사원 채용 시, 중소기업은 대기업에 비해 구성원의 숙련 및 경력을 중시함.

-

신입사원 지원자의 숙력 및 경력을 고려한다는 비율은 중소기업이 45.4%로 대기업 31.5%보다 13.9%p 높음.

-

대기업은 입사 후 직무교육을 통해 직원을 개발·육성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 있지만, 중소기업은 대 기업에 비해 능력개발 여건이 열악하여 현업에 바로 투입할 수 있는 인력이 필요하기 때문으로 판단됨.

| 중소기업의 복지제도는 대기업에 비해 열악한 상황임.

대기업에 비해 중소기업은 복지제도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임.

-

육아휴직, 배우자 출산휴가, 직장보육시설, 보육료 지원 등의 제도를 가지고 있는 중소기업은 대기업에 비해 적은 것으로 나타남.

-

일반적으로 대기업의 평균 근속 기간이 중소기업보다 길다는 점을 고려할 때,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복 지 격차가 중소기업의 인력난과 이직 증가와 관련있는 것으로 판단됨.

-

구성원의 이직 증가는 기업의 생산성 저하로 연결될 수 있으며,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근무여건 개선이 필요함.

KRIVET Issue Brief

I

I

1)

중소기업은종사자

300

,

대기업은종사자

300

이상으로구분

2)

정규직채용비율

=

정규직신규

채용근로자÷전체근로자 수×

100

비정규직근로자비율

=(

기간제

근로자

+

단시간근로자

)

÷ 전체근로자수×

100

I

I

중소기업은종사자

300

,

대기업은종사자

300

상으로구분

<표 2> 기업 규모별 정규직 채용 비율 및 비정규직 근로자 비율

(단위: %) 정규직 채용 비율 비정규직 근로자 비율

중소기업

16.9 7.5

대기업

12.4 11.5

전체

15.5 8.7

<표 3> 기업 규모별 신입사원 채용 시 학력(학벌) 및 숙련수준을 고려하는 사업체 비율

(단위: %)

학력(학벌) 숙련 · 경력

중소기업

9.6 45.4

대기업

12.7 31.5

전체

10.6 41.0

I

I

중소기업은종사자

300

,

대기업은종사자

300

상으로구분

<표 4> 기업 규모별 복지제도 실행 정도

(단위: %) 육아휴직 배우자 출산휴가(남성) 직장보육시설 보육료 지원

중소기업

77.7 55.6 3.7 10.6

대기업

92.8 72.9 16.9 28.1

전체

82.6 61.2 7.9 16.2

02 기업 규모별 현황

(3)

| 기업의 좋은 일자리 HRM, 지식투자, 숙련노동수요는 긍정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음.

기업의 숙련노동수요가 좋은 일자리 창출3)에 긍정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음.

-

숙련노동을 채용, 유지, 보상하기 위해서는 기업이 좋은 일자리 HRM을 도입하고 적용해야 함.

기업의 좋은 일자리 HRM이 기업의 지식투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

기업의 지식투자와 숙련노동수요는 약한 관계를 보임.

-

연립방정식 모델을 사용하여 보다 엄밀하게 분석하면, 기업의 지식투자가 기술·기계와 관련된 경우에 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부정적인 영향을 줌. 그러나 인적자본 투자와 관련된 경우에는 통계적 유의 성은 없으나 모든 추정식에 양의 값이 나타남.

-

이는 기업의 지식 중 인적자본에 대한 투자와 기술·기계에 대한 투자의 성격이 확연이 다르기 때문으로 판단됨.

2015. 10. 15

03 기업의 지식투자, 숙련노동수요, 좋은 일자리 HRM의 관련성

[그림 1] 기업의 숙련노동수요가 좋은 일자리 창출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

좋은 일자리 창출

y = 0.1055x + 0.3362 R2 = 0.0314

지식투자

y = 0.3425x + 0.4443 R2 = 0.0343

0.0 0.6 0.4 1.0

0.2 0.8 0.0 0.6 0.4 1.0

0.2 0.8 0.0 0.6 0.4 1.0

0.2 0.8

0.0 0.2 0.4 0.6 0.8 1.0

0.0 0.2 0.4 0.6 0.8 1.0

0.0 0.2 0.4 0.6 0.8 1.0

숙련노동수요

y = 0.0478x + 0.6769 R2 = 0.0027

기업의 지식

기업의 숙련 수요

기업의 좋은 일자리 기계·기술

인적자원

좋은 일자리 HRM 숙련노동수요

지식투자

[그림 2] 기업의 좋은 일자리 HRM이 지식투자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

좋은 일자리 창출

y = 0.1055x + 0.3362 R2 = 0.0314

지식투자

y = 0.3425x + 0.4443 R2 = 0.0343

0.0 0.6 0.4 1.0

0.2 0.8 0.0 0.6 0.4 1.0

0.2 0.8 0.0 0.6 0.4 1.0

0.2 0.8

0.0 0.2 0.4 0.6 0.8 1.0

0.0 0.2 0.4 0.6 0.8 1.0

0.0 0.2 0.4 0.6 0.8 1.0

숙련노동수요

y = 0.0478x + 0.6769 R2 = 0.0027

기업의 지식

기업의 숙련 수요

기업의 좋은 일자리 기계·기술

인적자원

좋은 일자리 HRM 숙련노동수요

지식투자

[그림 3] 기업의 지식투자가 숙련노동수요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

좋은 일자리 창출

y = 0.1055x + 0.3362 R2 = 0.0314

지식투자

y = 0.3425x + 0.4443 R2 = 0.0343

0.0 0.6 0.4 1.0

0.2 0.8 0.0 0.6 0.4 1.0

0.2 0.8 0.0 0.6 0.4 1.0

0.2 0.8

0.0 0.2 0.4 0.6 0.8 1.0

0.0 0.2 0.4 0.6 0.8 1.0

0.0 0.2 0.4 0.6 0.8 1.0

숙련노동수요

y = 0.0478x + 0.6769 R2 = 0.0027

기업의 지식

기업의 숙련 수요

기업의 좋은 일자리 기계·기술

인적자원

좋은 일자리 HRM 숙련노동수요

지식투자

I 각주

I

3)

좋은일자리

HRM

충분히

현되는좋은일터가마련되었음 의미함

.

(4)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숙련노동 중심 고용관행→기업 내 좋은 일자리 창출’에 영향을 주고, ‘기업 내 좋은 일자리 HRM→기업의 지식투자’, ‘기업의 지식투자(인적자원 투자)→기업의 숙련노동 수요’에 긍정적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

대기업이 정규직 채용에 소극적인 상황에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복지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남. 중소기 업 일자리의 질 제고를 위한 노력이 필요함.

국가 고용 정책은 숙련노동 중심의 고용구조가 기업의 지식투자를 통한 좋은 일자리 창출의 선순환을 이 룰 수 있도록 해야 함.

-

이는 기업 또는 산업의 숙련수요에 대한 고려 없이 각종 훈련정책 및 기업정책을 실시할 경우 원하는 정책효과를 얻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정책적 함의를 가짐.

-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국가직무능력표준, 일·학습병행제, 지역·산업 맞춤형 인력양성 사업 등 각종 훈 련정책의 개발 및 개편 과정에서 기업 또는 산업 차원에서 숙련수요에 대한 진지한 고민과 연구가 함께 할 때에만 소기의 정책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임.

기업의 지식투자를 통해 좋은 일자리를 창출하는 정책적 접근을 위해서는 기업 내 생산과정의 숙련 중심 적인 구성 여부와 인력에 대한 숙련수요를 반드시 고려할 필요가 있음.

-

기업의 지식투자 정책이 기업 내에서 충분한 숙련수요를 이끌어 내려면 숙련인력의 채용, 유지, 보상하 기 위한 좋은 일자리 HRM이 중요함.

좋은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최신기술과 장비 위주의 투자에서 전환하여 인적자본에 대한 적극적인 투 자가 중요함.

-

현재 한국 경제는 불안정한 노사관계 등으로 사람에 대한 투자를 꺼리고 설비 및 기술에만 집중투자 하 여 일자리 질이 떨어질 가능성이 우려됨.

-

고용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 정책은 기업의 숙련중시 전략과 사람에 대한 투자를 이끌어 낼 수 있어 야 할 것임.

반 가 운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부연구위원) 김 봄 이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부연구위원)

KRIVET Issue Brief

| 세종특별자치시 시청대로 370 세종국책연구단지 사회정책동 | 전화 :

044-415-5000/5100

www.krivet.re.kr

04 시사점

[그림 4] 기업의 지식, 숙련노동수요, 좋은 일자리의 제도적 상보성

좋은 일자리 창출

y = 0.1055x + 0.3362 R2 = 0.0314

지식투자

y = 0.3425x + 0.4443 R2 = 0.0343

0.0 0.6 0.4 1.0

0.2 0.8 0.0 0.6 0.4 1.0

0.2 0.8 0.0 0.6 0.4 1.0

0.2 0.8

0.0 0.2 0.4 0.6 0.8 1.0

0.0 0.2 0.4 0.6 0.8 1.0

0.0 0.2 0.4 0.6 0.8 1.0

숙련노동수요

y = 0.0478x + 0.6769 R2 = 0.0027

기업의 지식

기업의 숙련 수요

기업의 좋은 일자리 기계·기술

인적자원

좋은 일자리 HRM 숙련노동수요

지식투자

I

I

실선은통계적으로유의미한관계

,

점선은통계적으로유의미하지 않은관계를나타냄

.

괄호안의

+

긍정적관계

, -

부정적관계를 의미함

.

Referensi

Dokumen terkait

본 조사의 결과는 시간선택제 일자리를 양적으로 확대하는 방안 뿐 아 니라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를 발굴하고 시간선택제 일자리의 고용 환경을 질적으로 높이는 방안을 제공하는데 소중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입니다.. 귀하의 의견과 응답내용은 통계법 제33조비밀의 보호에 따라 철저히 비밀 이 보장되며 전적으로 연구 자료로만 활용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