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회 교양기초교육 보직교수 공동숙의 프로그램
52❘한국교양기초교육원
한국교양기초교육원❘53
제1회 교양기초교육 보직교수 공동숙의 프로그램
54❘한국교양기초교육원
한국교양기초교육원❘55
제1회 교양기초교육 보직교수 공동숙의 프로그램
56❘한국교양기초교육원
한국교양기초교육원❘57
0 5
Chapter
손 동 현
(교기원장, 성균관대 철학)
교양기초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방안
한국교양기초교육원❘61
제1회 교양기초교육 보직교수 공동숙의 프로그램
62❘한국교양기초교육원
한국교양기초교육원❘63
제1회 교양기초교육 보직교수 공동숙의 프로그램
64❘한국교양기초교육원
한국교양기초교육원❘65
제1회 교양기초교육 보직교수 공동숙의 프로그램
66❘한국교양기초교육원
한국교양기초교육원❘67
제1회 교양기초교육 보직교수 공동숙의 프로그램
68❘한국교양기초교육원
한국교양기초교육원❘69 부록 : 교양기초교육 영역 구분
가. 기초교육 영역
1. 사고교육(논리학/ 수리적 사고/ 통계적 사고/ 비판적 사고등) 2. 정보기술교육(컴퓨터 교육 등)
3. 어문교육(1) : 한국어 의사소통교육 (읽기/ 글쓰기/ 말하기 등)
4. 어문교육(2) : 국제어 의사소통교육(A) 영어 (읽기/ 글쓰기/ 말하기 등)
5. 어문교육(3) : 국제어 의사소통교육(B) 기타 외국어 (읽기/ 글쓰기/ 말하기 등) 6. 어문교육(4) : 동서 고전어교육(한문, 희랍어, 라틴어 등)
7. 과학교육(수학/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등)
나. 심화교양교육 영역
1. 자연 및 과학에 관한 탐구 2. 기술의 본성 및 성과 탐구 3. 인간의 본성과 조건 탐구 4. 문화현상과 현대문명의 탐구 5. 사회적 현실의 탐구
6. 역사적 현실의 탐구
7. 인륜성의 탐구와 도덕적 추론 8. 종교적 가치의 탐구
9. 미적 가치의 탐구
10. 기타 융복합적 주제의 탐구
다. 비학술적 체험교육 영역
1. 신체적 체험교육 2. 정서적 체험교육 3. 사회적 체험교육
라. 도구적 실용지식교육
1. 경제생활 분야(경영학 등)
2. 시민생활 분야(사회복지학, 신문방송학 등) 3. 공공생활 분야(행정학 등)
4. 법률생활 분야(법학 등) 5. 기술생활 분야(공학 등) 6. 기타
0 6
Chapter
이 희 용
(서울신대 교수)
융복합 교육의 취지와 방안
한국교양기초교육원❘73
제1회 교양기초교육 보직교수 공동숙의 프로그램
74❘한국교양기초교육원
한국교양기초교육원❘75
제1회 교양기초교육 보직교수 공동숙의 프로그램
76❘한국교양기초교육원
한국교양기초교육원❘77
제1회 교양기초교육 보직교수 공동숙의 프로그램
78❘한국교양기초교육원
한국교양기초교육원❘79
제1회 교양기초교육 보직교수 공동숙의 프로그램
80❘한국교양기초교육원
한국교양기초교육원❘81
제1회 교양기초교육 보직교수 공동숙의 프로그램
82❘한국교양기초교육원
한국교양기초교육원❘83
제1회 교양기초교육 보직교수 공동숙의 프로그램
84❘한국교양기초교육원
한국교양기초교육원❘85
제1회 교양기초교육 보직교수 공동숙의 프로그램
86❘한국교양기초교육원
0 7
Chapter
최 종 철
(교기원 사무국장)
선진국가 대학 교양교육의 현황
한국교양기초교육원❘89
0 7 ❘ 선진국가 대학 교양교육의 현황 1)
최 종 철 ❙ 교기원 사무국장 제1회 교양기초교육 공동숙의(컨설팅) 프로그램
Ⅰ
프랑스의 교양교육 ✻✻✻1. 프랑스 교양교육의 이념
프랑스에서 교양교육은 논리적이고 비판적인 사고력과 표현력을 지닌 건강한 시민을 육 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것을 위해 초중등 교육과정에서 프랑스어, 철학, 수학이 중시되 고 있다. 디드로, 콩도르세 등 계몽주의자들의 교육이념에 따라 프랑스혁명 이후 정착되기 시작한, 국가가 관장하는 공교육, 모두를 위한 일반교육, 무료로 제공하는 무상교육의 전통 이 오늘날까지 강하게 유지되고 있다.
2. 프랑스 교양교육 모델
프랑스의 교양교육은 주로 중등교육과정에서 이루어지며, 고등교육에는 체육 및 스포츠 과정, 외국인을 위한 프랑스어 과정,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제외하면 한국에서 교양과정이라 고 부를만한 과정 따로 개설되어 있지 않다. 고등교육에서 각 학과별로 개설된 기초과목은 한국의 전공기초에 상응한다.
3. 중등과정 최종학위 ‘바칼로레아’를 통해 본 교육방향
1) 일반(문과, 경제사회, 이과 3계열), 기술(8계열), 직업 3부문으로 분리 2) 필기(계열별로 6-9과목, 논술식), 구술, 체육시험으로 구성
1) 이 자료의 내용은 한국교양기초교육원 위탁연구들 중의 하나인, 정연교 외, <교양교육의 위상 및 교육과정-학 사구조 선진화 방안> 중간보고서(미간행)의 내용을 요약한 것이다.
제1회 교양기초교육 보직교수 공동숙의 프로그램
90❘한국교양기초교육원
3) 프랑스어, 철학, 역사-지리는 모든 부문에 필수 4) Pass or Fail (20점 만점에 10점 이상)
➜ 국어, 철학, 역사, 지리를 모두에게 필수적인 교양으로 간주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단순 암기가 아니라 주체적인 사유를 필요로 하는 논술시험 위주이고, 평가방식은 일반교육/교양교육의 원칙에 부합하는 Pass or Fail로 한다.
* 종합하면, 프랑스의 교양교육은 중등교육과정에서만 이루어지고 있으며, 한국이나 미국 의 일부 대학에서 시행되고 있는 것과 같은 고등교육과정의 교양교육은 없다. 프랑스 중 등교육과정에서는 공통적으로 프랑스어, 철학, 수학, 역사·지리, 외국어, 과학, 공민·법 률·사회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우리식으로 말하면 국어, 수학, 철학, 역사, 지리, 영어, 과학, 시민교육을 강조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형식적으로는 한국의 중등교육과정과 크게 다르지 않지만 실질적인 목표와 운영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도표 : 프랑스 중등 및 고등교육 과정>
[고등교육과정]
한국교양기초교육원❘91
[중등교육과정]
Ⅱ
독일의 교양교육 ✻✻✻1. 교양교육의 이념
가. 개념
우리말에서 쓰이는 ‘교양’이라는 말의 원래 기원은 독일어의 Bildung으로 일본어번역을 통 해 한국에 소개되어 쓰이고 있는 말이다. 독일에서 ‘교양’의 의미는 가장 넓은 의미에서의
‘교육’ 일반을 지칭한다. 즉, 교육의 일부분으로서 특정한 교육 분야를 지칭하는 ‘교양 교육’
의 개념이라기보다는 인간을 더 나은 상태의 인간으로 발전시키는 전 과정을 통틀어 교양 (교육·Bildung)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특정 목적 하에 이루어지는 직업교육 이나 실용교육과는 대비되는 전인적 교육을 의미하기도 한다.
나. 이념
“인간성의 구현”
독일에서 교양(Bildung) 개념이 교육 이념으로 정착된 것은 교육사상가인 훔볼트에 의해서 이다. 그에 따르면, Blidung 개념을 통해 드러나는 인간의 교육이란 각각의 인간들이 자신에 게 주어진 힘을 조화롭고 균형있게 계발함으로써 개별성(Individualtät)을 점진적으로 드러내 는 것이며 그 개별성이 곧 하나의 인간성의 구체적 형상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제1회 교양기초교육 보직교수 공동숙의 프로그램
92❘한국교양기초교육원
2. 보편교육으로서의 교양교육
이러한 교양교육은 주로 대학 이전의 중등교육까지의 의무교육 단계에서 이루어지며, 보 통교육과 직업교육 단계 모두에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는 성인단계의 평생교육과정이 있 다. 대표적인 것이 ‘시민대학 Volkshochschule’으로 이 과정에서의 프로그램과 교육내용들 역 시 교양교육의 성격을 갖는다.
독일에서 대학의 위상은 교육(Bildung)보다는 연구(Forschung)에 있으므로 미국이나 한국 의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일반교육(general education) 으로서의 교양교육 모델은 독일의 경우 에는 대학보다는 김나지움 상급반(oberstufe)에서 이루어지고, 시민대학에 개설된 강좌들도 대학에서 개설되는 교양교육 과목들과 유사함을 보인다.
3. 김나지움에서의 교양교육
독일의 교육 이념과 체제 속에서 ‘교양 교육’은 모든 교육단계에서 전 과정을 통해 이루어 진다. 하지만 보다 좁은 의미에서의 교양교육의 모델은 김나지움에서 찾을 수 있다. 김나지 움의 기원 자체가 그리스의 중등학교라 할 수 있는 김나지움에서 온 것으로 본격적인 토론 과 논쟁에 들어가기 전의 교양기초단계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김나지움의 교육은 ① 언어, 인문학, ② 사회과학, ③ 수학, 자연과학, 기술의 세 범주를 기본으로 하여 체육과 종교가 필 수과목으로 추가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사실상 한국 대학의 교양학부과정, 영미권의 general education으로서의 교양교육과정을 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반면 대학 진학 후에는 보다 심화된 자신의 전공과정을 개인적 목표에 맞게 수립하고 밟아나가게 된다. 대학은 연 구를 수행하는 전문적인 고등학문기관으로서 자리매김한다.
이상과 같이 한국과 판이하게 다른 독일의 학제상 대학에서의 교양교육을 비교하여 논하 기에는 여러 모로 맞지 않는 면이 있다. 독일의 교육시스템에서 한국의 대학에 시사점을 주 는 교양교육 모델이 있다면 그것은 독일의 ‘시민대학’ 이다.
4. 시민대학에서의 교양교육
독일에서는 일찍부터 성인에 대한 교육이 하나의 독립적인 교육제도로 발전해왔다. 성인 교육은 초중등교육이나 대학교육의 보조기관이나 수단이 아니라, 이들과 동등한 자격을 갖 춘 국민교육의 일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주로 시와 같은 지방자치단체와 교회와 같은 종교 단체가 성인교육을 담당하는 데 그 대표적인 것이 바로 시민대학이다.
시민대학은 시민교육을 통해 개인의 지적, 정서적, 사회적 능력의 향상과 촉진에 기여하고 이를 통해서 그의 삶을 좀더 인간적이고 풍요롭게 하며, 더 나아가서는 다른 사람들 및 이 세상과의 관계를 좀 더 원활하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독일의 시민대학은 계몽주의 적 일반교육을 실현하는 곳이라 할 수 있다.
한국교양기초교육원❘93
1948년 당시 시민대학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다섯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① 역사, 정치, 경제 및 법 ② 세계관과 교육
③ 자연의 세계 ④ 예술의 세계 ⑤ 에스페란토어.
➜ 1980년대에 이르면 ①정치, 사회, 환경, ② 건강, ③ 문화와 창작, ④ 직업학교 졸업준비, 및 대학입 학준비, ⑤ 외국인을 위한 독일어, ⑥ 외국어, ⑦ 노동, 직업 등으로 세분화된다.
현재 독일 시민대학의 중점사업은, ① 여성교육, ② 외국어교육, ③ 광범위한 의미에 있어서의 문화 적 교양 및 다문화적 교양이다.
<참고> 독일의 교육 과정
제1회 교양기초교육 보직교수 공동숙의 프로그램
94❘한국교양기초교육원
Ⅲ
볼로냐 프로세스와 독일 대학의 제도 개혁✻✻✻
1. 볼로냐 프로세스 (Bologna Process)
▪ 볼로냐 선언 (Bologna Declaration)
1999년 6월, 이탈리아 볼로냐에서 당시 EU 회원국 15개국을 포함한 29개국 교육부 장관들 이 모여 이전의 ‘소르본 선언’ 계승 및 ‘유럽고등교육권역(European Higher Education Area : EHEA)’의 구축을 목표로 ‘볼로냐 선언’을 채택.
▪ 볼로냐 협약 (Bologna Conference)
EU 국가들이 2010년까지 투명하고 비교 가능한 고등교육 시스템을 구축하여 교육 및 학술 교류의 확대, 그리고 나아가 미래의 단일 유럽 고등교육권역을 완성하자는 내용의 협약
▪ 볼로냐 프로세스 (Bologna Process)
협약에 따라 서명한 각국 교육부 장관은 협약서의 이행에 대한 점검을 위해 2년에 한 번 씩 회의를 갖는 것을 포함하여, 볼로냐 선언의 과제를 해결하고 ‘유럽 고등교육권역’을 구축 하기 위한 일련의 세부 대책을 추진하는 과정을 ‘볼로냐 프로세스’라고 함.
▪ 볼로냐 협약의 목표
① 유럽 국가 내 학술 교류의 증대
② 고등교육의 경쟁력 강화 (미국, 아시아권과 비교해서)
③ 고용증대
▪ 볼로냐 협약의 세부 내용
- 쉽게 이해되고 비교 가능한 졸업제도를 도입하여 유럽 내 동질적인 고등교육제도 확립 - 학점교류시스템(ECTS: European Credit Transfer System)의 도입으로 유럽 내 표준적 학
점제도 확립
- 학술교류의 제반 장벽 철폐
- 학생선발의 인증을 통한 고등교육의 질 제고
- 유럽 전체 국가 차원에서의 고등교육의 발전을 도모 - 평생교육 체제 확립과 학생 참여 보장
- 유럽 고등교육 기관의 매력 증진 방안 마련 - 유럽 고등교육 기관의 유기적 결합
한국교양기초교육원❘95 2. 볼로냐 선언에 대응한 독일 대학의 주요 제도 개혁 내용
특히 이 볼로냐 선언은 다른 유럽 국가들 및 미국, 그로부터 도입된 표준화된 세계의 다른 대학들과 그 형식과 내용 면에서 매우 다른 방식으로 12세기부터 이어져온 대학 전통을 고 수해온 독일 대학의 제도에 급격한 변화를 가져왔다. 그 핵심적 대학 제도 개혁의 내용은 다 음과 같은 것들이다.
▪ 학·석사 제도 (2단계 수학체제 zweistufige Studuensystem) 도입
▪ 교육인증제도
▪ 유럽학점이전 체제 ECTS (European Credit Transfer System)
▪ 모듈제도
1) 학·석사 제도 (2단계 수학체제 zweistufige Studuensystem) 도입
학·석사 제도는 우리에게는 매우 익숙하지만, 독일의 전통적인 대학제도와는 많이 다르 다. 전통적인 구제도에서는 디플롬Diplom, 마기스터Magister, 박사 Doktor 학위를 따거나 국 가자격시험에 합격함으로써 대학을 졸업한다. 이 중 어느 것을 택할 지는 전공분야나 주의 규정에 의하기도 하지만, 많은 경우 학생 자신의 선택에 달려 있었다. 특히 이론중심의 일반 대학 (Universität) 특히 인문·사회 분야에서는 전공은 물론이고 참석할 강의나 세미나를 모 두 학생 자신이 결정하고 선택한다.
- 독일의 인문사회계열의 학위인 마기스터는 한국의 석사에 해당하고, 학석사 과정을 따 로 운영하지 않았다. 다만 3-4학기에 해당하는 기초예비과정과 본과정으로 나누어져 있 고, 기초과정 단계는 중간시험(Zwischenprüfung)을 통과해야 마칠 수 있다. 이후에는 본 세미나 과정을 자유롭게 들으면서 논문 제출에 필요한 일정한 수의 ‘본세미나 수료증 Seminarschein’을 모으면 된다. 학교간 이동이 자유롭기 때문에 이러한 ‘증명서’는 학생 자신이 개인적으로 관리하여 자신이 공부한 내용을 증명하는 수단으로 삼는다.
▪ 학·석사 제도의 주요 내용
- 1단계 학사 과정을 마치면 일단 대학을 졸업한 것이며 2단계 석사과정에 입학하려면 학 사학위나 그에 상응하는 자격이 있어야 한다.
- 학사과정은 전공과 관련된 직업에 필수적인 기본지식과 그 직업을 수행하는 방법 등 직 업과 관련된 능력을 길러준다.
- 석사과정은 크게 연구중심 유형인 일반대학(Uni)과 응용중심 유형의 전문대학 (Hochschule) 과정을 구분하고 그 성격에 맞게 교육한다.
- 학사과정의 수학기간은 3-4년이며, 석사과정은 1-2년이고 학·석사과정을 연이어 다닐
제1회 교양기초교육 보직교수 공동숙의 프로그램
96❘한국교양기초교육원
경우 수학기간은 최고 5년이다. 학사과정은 최소 180학점을 이수해야 하고 연속과정은 300학점을 이수해야 한다.
- 학사학위(bachelor)는 원칙적으로 구제도의 전문대학(Hochschule) 디플롬과 같은 자격을 갖는다. 연속석사학위는 구제도의 일반대학(Uni)의 디플롬 또는 마기스터와 동등한 자 격이다. 박사과정은 개별 대학의 독자적인 박사과정 규정에 따라 입학자격을 정한다.
- 학부나 석사과정의 설치는 반드시 인증을 받아야 한다.
2) 교육인증제도
2단계 학석사 제도의 도입은 각 대학이 독자적으로 학생을 선발할 수 있는 방안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지금까지 독일 대학은 대학별로 독자적인 학생선발 제도를 갖고 있지 않았는 데, 볼로냐 프로세스에 기반하여 연방주교육부장관회의와 대학총장협의회는 학생선발의 엄 격한 관리 방안과 표준화된 인증제도 (Akkreditierung)를 도입할 것을 의결했다. 여기서 인증 제도란 각 대학들의 위임 하에 독자적인 대학 인증기관(Akkreditierungsagentur)의 제반활동 을 말한다. 이 기관은 각 대학의 전공 교육과정 운영을 직업 적합성에 입각하여 평가하고 그 최소 요건을 결정하는 권한을 가진다. 2005년 설립된 독일대학인증재단(Stiftung zur Akkreditierung von Studiengängen in Deutschland)이 공식적 인증기관으로 되어 있다. d인증 재단 내 인증위원회는 대학, 주정부, 직능단체, 학생, 외국전문가 대표로 구성된다. 2009년 기준 독일 내에는 총 6개 인증기관이 있었는데, 이 인증기관들을 총괄 관리하는 곳이 독일대 학인증재단이다.
3) 유럽학점이전 체제 ECTS (European Credit Transfer System)
ECTS는 학생들이 이미 달성한 학업 성과를 쉽게 비교할 수 있게 하여, 자국이나 타국의 어느 대학에서나 인정받을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한 학업성과를 달성했을 때 소정 의 ‘학점 Leistungs-punkte(LP)/ credit point(CP)’를 주는 제도이다.2) (이 역시 우리에게는 익숙 하지만 독일에서는 완전히 새로운 제도이다.) 더 나아가 학점을 적립하기도 하는 ‘유럽학 점이전 및 누적 제도 European Credit Transfer and Accumulation System’로 발전하게 되었다.
▪ 상대평가제도 도입
FCTS를 도입함으로써 나타난 또 한가지 큰 변화는 상대평가제도의 도입이다. 성공적으로
2) 학점은 학업을 수행하는 데 요구되는 공부양으로 정해지는데, 예컨대 한 학생이 하나의 모듈을 성공적으로 마 쳤을 때 대학은 학생의 ‘공부량 Arbeitlast’에 합당한 학점을 주는 것이다. 한 학년도에 학생이 필요한 공부의 양을 1500-1800시간으로 가정하고 이를 60학점으로 계산한다. 따라서 1학점을 따는데 필요한 공부량은 25-30시간이 되는데, 보통 학점당 기준 시간을 30시간으로 잡는다. 따라서 180학점을 이수해야 하는 학사과 정을 ‘기준수학기간’인 3년에 마치려면 매학기 30학점을 따야 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하지만 이 학점은 한국 의 대학처럼 수업시간으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습, 복습, 과제 처리 시간까지 모두 합해 시간의 총량을 계산하여 부여되는 것이다. 따라서 강의 출석 시간은 동일해도 학점은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한국교양기초교육원❘97
강좌를 마친 사람들 중 A는 상위부터 10%가, B는 그다음 25%, C는 30%, D는 25%, E는 10%
가 받게 된다.
4) 모듈제도
학석사과정의 모든 학업활동을 모듈 형식으로 구조화되고 학점은 이 모듈을 기준으로 주 어진다. 모듈은 하나 또는 동일한 목표를 가진 여러 방식의 수업으로 구성된 강좌단위이다.
하나의 모듈을 강의, 세미나, 실험, 실습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모듈이 끝날 때 필기나 구술로 보는 ‘모듈시험Modulabschlussprüfung)도 포함된다.
ex) 한 학기 단위 모듈이 3학점의 강의, 2학점의 연습, 1학점의 시험으로 구성되었다면 학 생은 이것을 모듈단위로 이수해야 하고, 수료할 경우 모두 6학점을 따게 된다.
모듈화된 과정은 학생 스스로 학교를 정하고 강의나 세미나를 선택하던 종전의 디플롬이 나마기스터 과정과 비교해서 미리 내용적으로 연관이 깊은 여러 형식의 수업을 체계있게 조 직한 모듈 단위로 수강하게 됨으로서 시간적으로 짧은 기간에 집중적으로 공부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3. 새로운 제도 하에서의 전공과 교양 이수 : 브레멘 대학 문화학과의 예
문화학 학사과정은 문화서비스 분야의 직업에서 활동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기 위해서 전 공 지식뿐 아니라 문화적 사회적 활동을 위한 기본능력을 폭넓게 배양하는 것을 목표로 함.
▪ 학사학위를 위한 필수이수학점 a) 문화학 전공 90학점(CP) b) 교양 General Studies 45CP
c) 부전공 클러스터에서 하나를 골라 45CP
è 총 180CP
▪ 교양과목 이수 기준
교양 45CP 중 21CP는 전공인 문화학과 관련된 강좌를 필수적으로 이수
그 중 15CP는 전공의 필수(교양) 영역에서, 6CP는 전공의 필수선택영역에 개설된 교양강 좌를 이수해야 함 --> 전공교양
나머지 교양 24CP는 전 대학 차원의 교양과목 모듈에서 자유롭게 선택 --> 자유선택 결론적으로 전공교양에서 21CP, 다른 학과 교양과목에서 24CP를 수강하도록 함.
교양학부나 교양과목이 따로 개설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각 학과 차원에서 전공교양과목 (ex. 문화란 무엇인가?)이 개설되고, 이를 수강하여 교양학점을(CP GS)을 이수하는 ‘자유이 수’ 방식.
제1회 교양기초교육 보직교수 공동숙의 프로그램
98❘한국교양기초교육원
▶ 한국 대학이 전반적으로 전공학점수를 줄이고 필수과목을 없애는 등 학생의 자율을 강 화하는 반면, 독일의 대학개혁 방안은 학점제를 새로이 도입하고 선택한 전공에서 이수 할 모듈을 필수화하는 등 전공공부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Ⅳ
일본의 교양교육 ✻✻✻1. 교양교육의 이념
- 2002년 정부 중앙교육심의회 보고서(별첨2)에서 교양교육의 개념규정
“교양이란 개인이 사회와 연관되며 경험을 쌓고, 체계적인 지식과 지혜를 획득하는 과정 에서 배우는 사물을 보는 관점, 사고법, 가치관의 총체이다.” (2002년 정부 보고서 -별첨2) ① 사회와의 연관 속에서 자기를 자리매김하여, 향상심과 의지를 갖고 살며, 보다 좋은
새로운 시대를 창조하기 위해 행동하는 힘.
② 우리나라 전통의 문화, 역사 등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이(異)문화와 그 배경에 있 는 종교를 이해하는 자질 및 태도.
③ 과학기술의 발전과 정보화의 진전에 대응하여 이론적으로 대처하는 능력과 이들이 초래하는 공죄(功罪) 양면에 대한 정확한 이해력과 판단력.
④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언어기술, 이론적 사고력과 표현력의 근원, 일본인으로서 의 아이덴티티, 풍부한 정서와 감성, 모든 지적 활동의 기반으로서의 국어 능력.
⑤ 예의, 예의범절 등의 형태로 나타난 신체감각으로서 몸에 익히는 수양적 교양.
- 일본에서 교양 개념의 변천
20세기 초기 소개된 독일어 bildung의 번역어로서의 ‘교양’ 개념과 토속적인 ‘수양(修養)’
개념이 혼합된 형태로 교양 개념이 발전. 1950년대 이후 미국의 영향을 받아 획일적으로 기초과목을 가르치는 ‘일반교육(general education)’ 혹은 ‘종합교육’ 개념이 확산되며, 1990년대에 들어 대학의 커리큘럼 자율화에 따라 교과내용 또한 다양화했음.
한국교양기초교육원❘99 2. 교양교육 모델 *2002년 정부 중앙교육심의회 보고서에서 규정된 교양교육
모델
3단계 : 성인기
- 부모로서의 마음가짐, 노후와 죽음, 지역활동 등에 대한 학습 - ‘완성’을 목표로 일생 동안 연구를 해가는 생애학습
2단계 : 청년기(14, 15 세부터 사회에 나오기 전까지)
대학의 교양교육
- 전문 기초교육을 중심으로 종합적인 지식 기반을 배양
- 국내․외에서 자원봉사 활동, 인턴십 등의 직업체험, 유학과 장기여행을 통한 문화 경험 장려
대학입학자 선발 방법
- 대학에서 배우는 자세와 의욕을 끌어내는 방향으로 개선 - 사회인으로서 배양해 온 능력과 의욕을 적절하게 평가 고등학교의 교양교육
- 다양한 진로를 전제로 한 특색 있는 교육 추진
- 지식 및 기능과 스스로의 인생을 마주하는 태도와 능력 함양 1단계 : 유아·청소년기(12, 13세까지)
- 가정, 지역 공동체 등에서 각종 체험 활동
- 확실한 기초 학력의 배양과 독서, 문화예술, 스포츠 활동 등
3. 대학 교양교육 과정: 와세대(早稻田) 대학 상학부의 사례
1) 대학 개요 *2006년 데이터
창립 : 1882년. 4년제 사립대학.
위치 : 도쿄(4개 캠퍼스), 총학생수 : 12개 학부(46,031명), 대학원(18개 연구과: 8,459명).
건학 이념
- 학문의 독립 : 자유롭고 독창적인 학문으로 세계의 학문에 이바지 한다.
- 학문의 활용 : 학리를 학리로서 연구하며 이를 실질적으로 응용할 수 있는 길을 닦아 시대의 발전에 기여한다.
- 모범국민의 육성 : 개성을 존중하고 널리 세계에서 활약하는 인재를 양성한다.
2) 상학부(School of Commerce) 개요 *경영학부/학과에 해당
입학정원 : 535명, 총학생수 : 4,947명.
전공 코스 : 경영 코스, 회계 코스, 상업·무역·금융 코스, 경제·산업 코스(입학 후 3학년 시에 결정) 교육방침
- 전문적 지식과 함께 폭넓은 교양을 익힘으로써 윤리관, 정확한 분석력, 행동력에 근거한 기업가 정신을 기른다.
- ‘국제화’ ‘정보화’ ‘학제화’를 받아들며 차세대 산업계를 이끄는 비즈니스 리더를 육성한다.
제1회 교양기초교육 보직교수 공동숙의 프로그램
100❘한국교양기초교육원
3) 과목 이수와 교양 관련 과목
졸업학점: 130학점, 1학기 이수제한: 20학점. 전공과목은 과목별로 1군(1학년 권장), 2군(2 학년 권장), 3군(3학년 이상 권장) 지정이 있음.
12학점 24학점 12학점 64학점 20학점
종합교육과목 외국어과목 전문기초과목 전문교육과목 자유이수과목 기초수학, 기초회계학, 코스별 전공과목, 타학부 과목, *오픈과목, 기초경제학, 컴퓨터 등 종합·학제 과목 전공 초과 학점 등 * 오픈교육센터가 운영하여 학부제한 없이
이수 가능한 기초과목
4. ‘종합교육과목’ 개설 과목 (이수 학년 지정 없음)
총론적·기초적 과목 각론적·응용적 과목
4학점 2학점 4학점 2학점
사상과 예술 철학의 역사 비교종교
문학의 기층 근대문학의 달성 윤리사상의 역사
현대의 철학 인간과 자연 현대윤리학의 제문제 삶의 보람 탐구 민족과 종교
환경과 생명의 윤리학 말과 논리
문학의 관점 문장 레토릭
인간과 환경 심리학 문화인류학 청년 심리학
건강 심리학
지리학 도시론 음악과 사회
사회와 역사
사회학의 시점 현대의 사회구조 역사의 탐구 방법 사회과학입문
헌법, 법과 인권 법학, 법의 기본적 틀 정치 시스템론 일본사, 서양사, 동양 사
일본의 문화와 사회 대중사회와 정치
자기와 사회 국제사회와 법 국제관계론, 정치행동론 현대사회와 언론 서양의 역사, 현대사(일본)
과학과 기술 해석입문
화학탐구, 물리학탐구 생명과학, 생물학개설 자연과 인간A, 생물과 환경, 자연과학사
경제수학
과학·기술의 발달사(세계) 과학·기술의 발달사(일본) 생명과학, 자연과 인간B 환경문제와 생태계 컴퓨터 과학, 정보의 수리
종합교육 세미나 (10-20명)
현대문명연구, 현대와 종교, 현대자본주의 시스템론, 다문화에 대한 생각 현대영어연구, 실용영어연습, 영미연극연구, 구어영어연습,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프레젠테이션 기법, 인터넷 연구, 인터넷으로 보는 현대사회
독일연구, 프랑스 연구, 서양고전입문, 현대 중국의 사회와 경제, 중국의 사회와 사회 시스템 경제를 위한 수학, 수학연구 등
한국교양기초교육원❘101
Ⅴ
미국의 교양교육 ✻✻✻1. 미국 대학의 교양교육 교과구조에 대한 분석: 콜롬비아와 하버드
1) 미국 교양교육의 이념
미국에서 '교양교육'은 크게 두 가지 서로 다른 것을 지칭할 수 있다. 첫째 유럽과 마찬가 지로 시민이라면 가져야 마땅한 비판적인 사고력과 표현력 그리고 기초적인 지식이다. 이를 위해 미국은 유럽과 마찬가지로 초중등 교육과정을 영어, 수학, 자연과학, 사회과학, 예술, 체육 등의 다양한 과목을 단계별로 교육하고 있다. 반면 교양의 두 번째 의미로서의 '교양교 육'은 유럽과는 매우 다른 의미를 갖고 있다. 그것은 다민족, 다인종, 다문화 국가인 미국에 서 같은 학교 학생을 하나로 만들어주는 "공유된 체험"을 가능케 하는 교육을 의미한다.
미국에서 교양교육을 뜻하는 "일반교육(general education)"의 교육과정 중 첫 번째 유형은 초중등과정을 거쳐 대학까지 이어진다. 유럽에 비해 초중등 교육기간을 축소하는 대신 대학 수학 연한을 연장하고 일반교육을 대학 교육 과정에 포함시킨 것은 미국이 유럽과 달리 성 년기에 있어 첫 번째 유형의 "교양"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했다고 이해해도 무방할 것이다.
미국에서 대학교육과정에 '일반교육'이 생기게 된 이유는 크게 두 가지이다. 일반교육의 유형이 두 가지이다 보니 원인도 두 가지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우선 유럽과 유사한 의 미에서의 "교양"을 위한 교육이 대학 교육과정에 필요하다고 생각하게 된 계기는 미국의 대 학이 남북전쟁 이후 급속하게 연구중심대학 체제로 전환함에 따라 학부교육이 지나치게 세 분화, 전문화, 직능화하는 것에 따른 반대급부로서 나타나게 된 것이다. 반면 공유된 체험으 로서의 일반교육이 필요하다는 생각은 1,2차 세계대전과 냉전 등 국가위기상황을 맞아 시민 사회의 내부결속력을 제고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증대함에 따라 만들어지게 되었다고 보는 것이 정설이다.
따라서 미국의 '교양교육이념'은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1) 시민이 갖추어야 하는 기본적인 사유능력, 지식 및 소양 육성 (2) 사회 지도층이 될 장래 리더의 애국심과 상호유 대감 증진이 그것이다.
2) 대학교의 "일반교육" 모델
미국대학교의 "일반교육 모델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배분이수모델(the Distribution Model)이고 다른 하나는 중핵모델(the Core Model)이다. 전자는 일반교육의 목적 중 첫 번째, 즉 "시민이 갖추어야 하는 기본적인 사유능력, 지식 및 소양 육성"을 고등교육 차원에서 지속하려는 취지에서 채택되었다. 후자는 일반교육의 두 번째 목적 즉 "사회 지도 층이 될 장래 리더의 애국심과 상호유대감 증진"을 위해 채택한 경우이다.
배분이수모델과 중핵모델을 교육과정의 측면에서 구분할 수 있는 가장 근본적인 차이는
“학과나 전공에서 제공할 수 없는 과목의 필요성”에 대한 입장이다. 배분이수모델을 채택하
제1회 교양기초교육 보직교수 공동숙의 프로그램
102❘한국교양기초교육원
는 대학은 소위 ‘융․복합적’ 과목이나 교육이 교양과정에 필요치 않거나 설치 불가능하다고 생각한다. 학부에서 육성해야 하는 지적 능력은 다양한 학문 분야를 섭렵함으로써 성취가능 하다고 생각하는 입장이다. 예를 들어, 자연과학 전공자는 인문, 예술, 사회과학 등에서, 인 문학 전공자는 거꾸로 자연과학, 사회과학, 예술 등에서 1-2개의 과목을 수강함으로써 학부 교육이 요구하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학부교육의 목표는 약간의 전공지식과
배분이수모델 중핵모델
“비판적 사고능력의 육성”에 있으며, 후자를 이루는데 왕도, 즉 ‘교양’이라 불리는 특별한 교과내용이나 교육방법이 따로 있을 수 없다고 보는 입장이다.
이에 비해 ‘중핵교과모델’은 대학생이면 반드시 배워야 하지만 학과나 전공에서 제공할 수 없는 고유한 교육내용이 존재한다고 믿는 입장이다. 더 나아가 이를 제대로 교육하기 위해 서는 두 명 이상의 전공자가 같은 주제를 다루거나(multi-disciplinary), 한 명의 전공자라도 학과에서 통상 다루지 않는 범상한 주제를 다루거나(cross-disciplinary) 혹은 아예 전공을 무 시하고 범학문적 접근을 시도하는(trans-disciplinary)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면, 시민/공민 교육을 위한 전공 외 교육과정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이를 위해 앞서 거론한
‘융․복합적 접근’ 중 하나를 채택하여 교과목으로 운영하는 대학을 떠올리면 된다.
현재 미국의 대학 대부분은 배분이수모델을 채택하고 있다. 하지만 중핵모델을 채택하는 대학도 상대적으로 소수이기는 하지만 없지 않으며, 대부분의 유명 대학들이 한때, 특히 60 년 대 이전에는 중핵모델을 채택하여 운영한 적이 있으며 최근 다시 중핵모델로 복귀하는 대학이 생기고 있다는 사실을 감안할 때 결코 과거의 유물이라고 간과하기 어렵다.
아마 중핵모델의 전범이라고 할 수 있는 대학은 콜롬비아 대학일 것이다. 콜롬비아 대학 의 중핵교육과정은 이미 90년의 장구한 역사를 자랑하며 오늘날에도 콜로비아의 학부대학 에서 가장 특징적인 것으로 자타가 공인하는 것이 중핵교육과정이기 때문이다. 반면 완전하 게 방임적인 배분이수모델이라고 하기는 어렵지만, 적어도 자체 평가에 따르면, 어느 정도 중핵모델의 요소를 가미한 가운데 배분이수모델의 장점만을 취합하여 재구성한 모델이 하 버드 “일반교육과정”이다. 하버드와 콜롬비아 모델의 기본 틀을 개관함으로써 미국의 대학 이 운용하고 있는 대표적인 교양교육과정의 유형을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교양기초교육원❘103
2-1) 콜롬비아 대학의 중핵교육모델 ㄱ) 콜롬비아 일반교육과정의 특징
1919년 시작하여 90여년을 지속한 중핵교육모델의 전범
공통학습(communal learning: 동일과목, 동일교재, 동일교수) 체제 운영
ㄴ) 중핵교육과정의 구성
- 인문저술(Literature Humanities) : 2 필수과목 (HUMA C1001, HUMA C1002) - 과학프런티어(Frontiers of Science) : 1 필수과목 (SCNC C1000)
- 대학글쓰기(University Writing) : 1 필수과목 (ENGL C1010) - 인문예술(Arts Humanities) : 1 필수과목 (HUMA W1121) - 인문음악(Music Humanities) : 1 필수과목 (HUMA W1123)
- 현대문명(Contemporary Civilization) : 2 필수과목 (COCI C1101, COCI C1102) - 과학과목(Science Requirement) : 승인된 과학과목 중 2과목 수강
- 글로벌코어(Global Core) : 승인된 글로벌코어 과목 중 2과목 수강 - 외국어(Foreign Language) : 4과목 혹은 그에 상응하는 어학능력 - 체육(Physical Education) : 2과목 + 수영시험
ㄷ) 중핵교육과정 학사관리규정
- 1학년 재학 중 : ‘인문저술’ 2과목, ‘과학프런티어’, ‘글쓰기 이수’
- 2학년 재학 중 : ‘현대문명’ 2과목 - 3학년 재학 중 : ‘인문예술’, ‘인문음악’
ㄹ) <현대문명> 과목
행동하는 지식인 육성을 위해 개발 (1919년)
- 1학기 교재 : 사회계약론(루소), 국부론(스미스), 오성론(흄), 도덕형이상학기초(칸트) 등 - 2학기 교재 : 국가(플라톤), 니코마코스윤리학(아리스토텔레스), 프린스(마키아벨리), 정
부론(로크) 등
ㅁ) <인문저술> 과목
개인과 공동체, 도덕과 진리 등 가장 근본적인 문제에 대한 탐구
- 교재 : 일리어드(호메로스), 향연(플라톤), 성경, 고백(아우구스티누스), 데카메론(보카치 오), 돈키호테(세르반테스), 죄와 벌(도스토예프스키), 리어왕(쉐익스피어) 등
ㅂ) 중핵교육센터 (the Center for the Core Curriculum) - 중핵과목 교수자 행정 지원,
- 각 과목 별 세미나, 학술회의, 강연 지원
제1회 교양기초교육 보직교수 공동숙의 프로그램
104❘한국교양기초교육원
- 중핵도서관 및 온라인 자료실 개발, 운영
ㅅ) 중핵교과 지원방안 - 중핵석좌교수 운영
- 13명의 전임교원에게 중핵 석좌교수직 수여 - 전임교원 인센티브 제도
- 4학기 강의 후, 여름학기 연구비 지급
- 조교수의 경우, 3년 강의 후 1학기 동안 유급 휴가 허용 - 대학원생의 경우 2차례에 걸쳐 $3,000 장학금 지급
2-2) 하버드 대학의 중핵교육모델 ㄱ) 설치목적
학문과 삶(현재와 미래에 봉착할 문제)의 접목 :
“connect a student's liberal education to life beyond college”
전통적인 학문분야를 가로지르는 교육, 학습
참고) “중핵교육과정”(Core Curriculum)의 목표 : 다양한 “학문적 관점” (ways of knowing) 교육
ㄴ) 교육목표
- 적극적인 시민적 참여를 할 수 있도록 교육
- 본인이 전통(예술, 아이디어, 가치)의 산물이며 전통의 일부임을 인식하도록 교육 - 세계의 변화에 비판적이면서도 건설적으로 대응하도록 교육
- 자신의 발언과 행위가 윤리적으로 미칠 영향에 대해 자각하도록 교육
ㄷ) 8개의 영역 중 1과목 이수
- 미학적 이해와 해석적 이해(Aesthetic and Interpretive Understanding) - 문화와 신앙(Culture and Belief)
- 경험적 추론과 수학적 추론(Empirical and Mathematical Reasoning) - 윤리적 추론(Ethical Reasoning)
- 생명계 과학(Science of Living System)
- 물리적 우주의 과학(Science of the Physical Universe) - 세계의 사회(Societies of the World)
- 세계 속의 미국(United States in the World)
* 1학기 1과목 이수 권장. 1과목은 반드시 역사과목으로 이수.
① 미학적 이해와 해석적 이해 (Aesthetic and Interpretive Understanding) 다양한 언어와 매체로 작성된 텍스트 및 전시 공연 등의 맥락적 이해 능력 배양
한국교양기초교육원❘105
비판이론, 미학, 예술철학, 수사학, 언어학 이론, 의미론, 지각론 등 교육 참고) 언어학, 철학, 인지과학, 미학, 문학비평
② 문화와 신앙 (Culture and Belief)
다양한 문화와 종교에 대한 역사, 사회, 정치, 경제, 종교학적 이해 참고) 인류학, 종교학, 사회학
③ 경험적 추론과 수학적 추론 (Empirical and Mathematical Reasoning)
통계, 확률, 수식, 의사결정이론 등에서 사용하는 주요 개념과 이론적 도구 교육 문제 해결 과정과 논리적 추론 등에서 자주 저지르는 오류 및 그 함의 교육 참고) 통계학, 수학, 경제학
④ 윤리적 추론 (Ethical Reasoning)
윤리적 이슈, 정치적 문제 등에 대해 판단하고 평가할 수 있는 윤리학설과 정치철학과 제도 교육
올바른 삶, 책무, 권리, 정의, 자유 등 주요 개념과 이론 학습 참고) 정치학, 윤리학
⑤ 생명계 과학 (Science of Living System)
생명계를 과학적으로 이해하는데 필요한 주요 개념, 사실 및 이론 교육 생명체에 대한 실험 및 유관 과학적 탐구의 역사, 철학, 맥락 및 제도 학습
⑥ 물리적 우주의 과학 (Science of the Physical Universe) 물리과학 공학의 기초적 개념과 사실 및 이론 교육
실험실 교육 및 유관 과학적 탐구의 역사, 철학, 맥락 및 제도 학습
⑦ 세계의 사회 (Societies of the World)
외국의 정치, 경제 및 사법 제도에 대한 "탈민족주의적" 교육 참고) 지역학, 인류학, 역사학, 경제학
⑧ 세계 속의 미국 (United States in the World) 지구화와 국제관계 속에서 바라 본 미국 교육 참고) 국제관계학, 역사학, 경제학
* 나가는 말
⇥ 한국 고유의 교양교육 모델을 정립해나가야
⇥ 고교-대학 연계 교양교육 모델 수립 및 시행이 시급
제1회 교양기초교육 담당 보직교수 공동숙의 참석자 명단
소속 참석자 직책 연락처 휴대폰 E-mail
가 톨 릭 대 1 최선경 교양교육원
교학부장 02-2164-4934 010-4729-8553
강 남 대 2 한동우 교양교육원장 031-280-3828 010-8803-4082 [email protected] 강 원 대 3 김남국 기초교육원장 033-250-7205 011-9058-4948
경남과기대 4 전일주 교수 055-751-3460 010-5223-5579 [email protected]
경 상 대 5 김성용 교무부처장 019-9147-9332
경 상 대 6 좌용주 기초교육원장 010-2037-9888 [email protected] 관 동 대 7 이윤일 교수 033-649-7285 011-9090-8803 [email protected] 광 운 대 8 김충혁 교양학부장 02-940-5270 010-4633-0701 [email protected] 국 민 대 9 윤종렬 교무처장 02-910-4378 010-4272-4378 [email protected] 그리스도대 10 김태수 교양실용학부장 02-2600-2587 010-4716-0358 [email protected]
단 국 대
11 김보한 (천안)
교육전임교수 041-550-1567 010-8742-6447 [email protected] 12 윤승준 교육대학원
조교수 031-8005-3516 010-8747-6268 [email protected] 대 구 외 대 13 양순창 교학운영처장 053-810-7060 010-3914-3773
대 전 대
14 권도경 교양학부대학 042-280-2849 010-4655-8993 [email protected] 15 김완균 교양학부대학 042-280-2180 010-6750-2432 [email protected] 16 박시용 교양학부대학 042-280-2207 010-3443-3733 [email protected] 17 윤병노 교양학부대학 042-280-2846 010-2766-6964 [email protected] 18 윤치영 교양학부대학장 042-280-2180 010-6750-2432 [email protected] 19 이원빈 교양학부대학 042-280-2306 010-8802-1989 [email protected] 20 나병모 교양교직부장 010-7135-1592 [email protected] 동 양 대 21 이하운 교무처장 054-630-1012 010-9351-1083 [email protected]
22 장경욱 교양학부장 054-630-1130 010-2399-4419 [email protected] 동 의 대 23 김일수 교양교육원장 051-890-2420 010-2545-1015 [email protected]
목 원 대 24 장수찬 교양교육원장 [email protected]
부 산 외 대
25 변기찬 교양교직학부장 051-640-3528 010-9134-6414 [email protected] 26 이정아 교수학습지원센터
연구교수 051-640-3728 010-9319-5504 [email protected] 27 정점석 교수학습지원센터
연구교수 051-640-3673 010-2633-1477 [email protected] 부산장신대 28 박명화 교수 055-320-2532 010-2569-9801 [email protected]
삼 육 대
29 김나미 교양교직학부 02-3399-1877 010-3260-3605
30 박완상 교양교직학부장 02-3399-1965 010-6531-6511 [email protected] 31 이정식 교양교직학부 02-3399-1868 011-9758-7890
서 울 대 32 김남두 교수 010-2484-2819 [email protected] 서 울 신 대 33 김성원 교양학부주임 032-340-9436 010-3488-8713 [email protected]
34 이희용 교수 010-4704-8241 [email protected]
서 울 여 대 35 고을호 교무처
교육운영팀장 02-970-5941 010-8775-8807
성 결 대 36 성기운 부교수 031-467-8187 010-5445-6342 [email protected] 성 균 관 대 37 강용순 교수 02-760-0265 [email protected]
38 손동현 교수 02-6393-5301 010-3019-8485 [email protected] 세 명 대 39 장승구 교양교육원장 043-649-1361 010-3185-8395 [email protected] 안 동 대 40 한경희 교양교육부 010-2302-0933 [email protected]
안 양 대
41 김수연 외국어주임교수 031-467-0783 010-7106-2008 [email protected] 42 심승환 인문사회계열
주임교수 031-467-0233 010-7197-0434 [email protected] 43 임권묵 교양학부대학장 031-467-0875 010-2736-3469 [email protected] 연 세 대 44 정희모 교수 02-2123-5266 [email protected] 영 산 대 45 성호준 교양교육원장 055-380-9511 010-9350-6178 [email protected]
46 이동문 교수 055-380-9511 010-9350-6178 울 산 대 47 이종서 부교수 052-259-2566 011-9927-6134
원 광 대
48 김인철 교수 063-850-6448 011-672-6443 [email protected] 49 이항영 교양교직팀장 063-850-5371 010-6797-8396 [email protected] 50 최한길 교수 063-850-6579 010-9669-6579 [email protected] 51 황진수 교수 063-850-6273 010-2607-7150 [email protected] 이 화 여 대 52 김은실 교양교육원장 02-3277-6977 010-3391-4205 [email protected] 인 제 대 53 박정호 기초대학장 055-320-3734 010-4199-3460 [email protected] 전 북 대 54 김성수 교무과장 063-270-2081 011-670-2170 [email protected] 전 주 대 55 유기선 교양학부장 063-220-2602 010-5319-7298 [email protected] 중 원 대 56 홍영숙 교양학부장 043-830-8660 010-3026-7881 [email protected]
창 원 대 57 최미정 기초교육원
연구원 055-213-2662 010-4158-4652 [email protected] 58 이수현 기초교육원장 055-213-2662 010-9025-3856 [email protected] 충북 영동대 59 신범식 조교수 043-740-1394 019-210-2765 [email protected] 칼 빈 대 60 여인천 교무처장 031-284-4753 010-6410-5799 [email protected]
포 스 텍 61 김진택 인문기술융합
연구소
포 항 공 대 62 이진우 인문사회학부장 054-279-2021 010-6333-0005 [email protected] 한 림 대 63 송승철 교무처장 010-4719-1226 [email protected]
한 양 대 64 권성호 교수 [email protected]
호 남 대 65 이영천 교양학부학장 [email protected]
호 서 대 66 최예정 교양교직학부장 041-540-8176 010-9291-8413 [email protected] 교양기초교
육 원
1 손동현 원장 02-6393-5301 010-3019-8485 [email protected] 2 최종철 사무국장 02-6393-5292 010-6811-4660 [email protected] 3 김소현 전문원 02-6393-5294 010-9950-1327 [email protected]
1. 총론 : 600주년 기념관 첨단강의실 2. 각론 : 호암관 1층 104, 105 강의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