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국립공원연구원 기간제근로자(한시적업무) 채용공고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국립공원연구원 기간제근로자(한시적업무) 채용공고"

Copied!
12
0
0

Teks penuh

(1)

국립공원연구원 공고 제2017-43호

국립공원연구원 기간제근로자(한시적업무) 채용공고

1.

모집분야 및 인원

,

수행업무

모집분야 모집인원 수행업무

기간제근로자

(

한시적업무

) 1

조류생태 및 이동연구 업무

기타 조류 조사연구업무에 있어 연구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등

2.

응시 직무자격 및 우대사항

분야 모집인원 응시자격 관련전공

조류

1

관련 분야 석사학위 이상 소지자

생물학

,

환경학

,

산림환경학

,

생명과학

,

동물생명자원학 등

우대사항

취업취약계층

(

장애인

,

저소득층 등 해당분야

)

대상자

○ 「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

29

조에 의한 취업지원대상자

해당분야 유경험자

(

해당분야 학술논문

,

프로젝트 참여

,

학회 등 발표

,

저서 및 특허출원 실적자

,

수상 경력

)

3.

근무여건 및 고용기간

근무여건

근무조건

:

40

시간 근무

-

주말근무를 원칙으로 하나

,

연구원 근무계획에 따라 탄력적 운영

휴일

·

휴가

:

공단 내규에 따름

근무장소

:

국립공원연구원 철새연구센터

(

전남 신안군

)

※ 근무지는 국립공원연구원 철새연구센터 형편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보수수준

:

공단 보수규정에 의함

-

채용예정자의 능력

,

자격

,

경력 등을 고려하여 최종결정하며

,

공단

계약직원관리 규칙

및 보수규정 등에 따라 지급

고용기간

근로계약일

~ 2017. 12. 31.

까지

(2018. 12. 18.

까지 연장 가능

) -

계약기간 내에서만 채용하는 기간제 근로자로서 차기년도 고용은

보장하지 않음

(2)

4.

응시원서 접수

.

기 간

: 2017. 12. 4.(

) ~ 2017. 12. 11.(

) 18:00

까지

.

접수방법

:

방문 및 우편접수

(

기간 내 직접 제출하거나 등기우편으로 발송

)

※ 우편접수는 접수마감 시간 내 도착분에 한해 유효

.

접 수 처

:

국립공원연구원 연구기획부

-

강원도 원주시 단구로

171(

26441),

전화

033-769-1613

.

원서교부

:

국립공원관리공단 홈페이지

(www.knps.or.kr)

에서 다운받아 작성

5.

전형일정

구 분 일 정 내 용

서류전형 합격자 발표

2017. 12. 12.(

)

홈페이지 게시 및 합격자 개별통보

면접전형

2017. 12. 14.(

)

세부시간 및 면접장소 개별통보

최종합격자 발표

2017.

012. 15.(금

)

홈페이지 게시 및 합격자 개별통보 근무 시작일

(

예정

) 2017. 12. 19.(

)

채용 후 협의하여 결정

※ 상기 전형일정은 시스템 입력 및 연구원 사정 등에 의거 변경될 수 있습니다.

6.

제출서류

필수

응시원서

자기소개서

학위증명서

학위논문목록 사본 및 학위논문요약서

선택

(

해당자에 한해 제출

)

기타연구실적

- 연구논문 목록 사본 - 프로젝트

.

학회 등 발표

자격증

,

면허증 사본

(

응시원서에 본인이 기재한 사항에 한함

)

경력증명서

(

대학

,

연구원

,

기관

,

업체 등

)

취업보호대상자 증명서

(

보훈지청에서 발행하는 증명서

)

장애인 증명서

(3)

취업취약계층

저소득층

,

장애인

, 6

개월 이상 장기 실직자

,

결혼이민자

,

북한이탈주민

,

위기청소년

,

여성가장

,

성 매매피해자

,

한부모가족지원법에 의한 보호대상자

,

갱생보호대상자

,

수형자로서 출소 후

6

개월 미만자

,

노숙인

,

55

세 이상 고령자

7.

기타사항

.

응시원서 접수를 제외한 모든 일정은 국립공원연구원 업무형편상 변경될 수 있습니다

.

변경이 있을 경우 국립공원관리공단 홈페이지 혹은 개별연락을 통해 사전에 안내

(

공지

)

할 예정입니다

.

.

제출서류상 주민등록번호 뒷번호는 마킹후

(

삭제

)

제출하기 바라며

,

제출된 서류에 기재 된 내용이 사실과 다를 경우 임용을 취소할 수 있으며

,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 률 제

11

(

채용서류의 반환 등

)

」에 의거 합격자를 제외한 구직자는 채용 여부가 확정 된 이후 채용서류

(

전자서류 제외

)

의 반환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

입사지원서에 반드시 연락처

(

휴대폰 등

)

를 기재하시기 바라며

,

입사지원서상의 기재착오 또는 누락이나 연락불능으로 인한 불이익은 응시자의 책임임을 양지하시기 바랍니다

.

.

최종 합격자가 임용을 포기하는 등의 사정으로 결원을 보충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임용

예정일로 부터

3

월 이내인 경우 최종 점수 우수자 순으로 추가 합격자를 결정할 수 있 습니다

. (

공무원 임용시험령 제

30

3

항 준용

)

.

기타 자세한 문의는 국립공원연구원 연구기획부

(033-769-1613

채용담당 김주원

)

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2017. 12. 4.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장

(4)

기 간 제 근 로 자 (한 시 적 업 무 ) 응시원서

1. 인적사항

지원구분 신입 ( ), 경력 ( ) 지원직무 조사연구(조류) 접수번호 성 명 (한글)

현 주 소 * 필요 시

연 락 처 (본인휴대폰) 이메일

주 소 (비상연락처)

추가항목 □취업지원대상 □취업취약계층

2. 직무관련 주요내용

3. 자격사항

* 지원직무 관련 국가기술/전문자격, 국가공인민간자격을 기입해 주십시오.

자격증명 발 급 기 관 취득일자 자격증명 발 급 기 관 취득일자

4. 경력활동

활동단체 기간 수행업무

위 사항은 사실과 다름이 없음을 확인합니다.

2017 년 월 일 지 원 자 : (인)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장 귀하

(5)

자기소개서

채용분야

조사연구

(

조류

) 지 원 자

작성요령

-

위 양식에 따라 자유롭게 기술하되

,

성장과정

,

지원동기

,

향후 포부

(

업무수행계획 등

)

와 관련분야 활동

업적 등이 있으면 나타나도록 작성

-

분량

: A4

용지

2

매 이내

(

상벌사항이 있을 경우 반드시 기재

)

(6)

학위 논문 목록

학위명 취득대학 논문제목 취득년월일

(7)

학위 논문 요약서

Ⅰ. 논문제목 : ( 한 )

( 영 ) *

필요시 기재

Ⅱ. 발표자 성명 ( 공동연구자 포함 ):

Ⅲ. 대학원명 ( 지도교수 성명 ):

Ⅳ. 논문심사년월일 :

Ⅴ. 논문내용

1. 연구목적

2. 연구내용

3. 연구결과의 활용도 ( 구체적으로 작성 )

(8)

기타 연구실적

【 연구논문 목록 】

연번 논문 제목 발표일자 게재지명

( 발표기관 )

등재 구분

논문 기여도

1

한글영문:: SCI 1저자

2

한글영문::

3 :

한글:

영문:

※ SCI, SCIE, SCOPUS 및 KCI에 게재(예정)된 논문에 한함(등재 구분란에 구분 기재)

※ 논문표지 및 제목, 발표자, VOLUME(발행 연, 월)이 표시된 페이지 사본 별도 첨부

※ 논문 기여도는 교신저자, 제1저자, 제2저자, 제3저자 등으로 표시

【 프로젝트 】

연번 프로젝트명 사업기간

( 참여기간 ) 담당업무 직위 , 역할 비고

1 2 3 :

※ 보고서 표지, 참여 연구인력 현황(응시자 명기)을 확인할 수 있는 페이지 사본 첨부

(9)

【 학회 등 발표 】

번 발표 제목 학회 ( 행사 ) 명 발표년월 발표방식

( 구두 , 포스터 등 ) 발표자수 1

2 3 :

※ 증빙자료 첨부(표지, 발표자, 제목이 기재된 페이지 사본)

【 저서 및 특허 등 】

연 번

제목 ( 저서 , 특허 등 )

발행일 , 취득일

출판사 ,

특허출원국가

저자 , 발명자명

ISBN 여부 , 등록번호

1 '00.00.00.

2

3

:

※ 실적에 대한 기간 제한 없음

※ 증빙자료 제출(저서 표지, 저자, 특허증서 등이 명기된 페이지 사본)

(10)

취업지원대상자 배점기준

대상별 10%가점 5%가점

독립유공자

◦애국지사 본인

◦순국선열의 유족

◦애국지사가 등록신청일 전에 사망한 경우의 그 유족

◦애국지사의 가족

◦등록신청일 이후에 사망한 경우의 그 유족

◦독립유공자의 유족 중 장손인 손자녀가 지정하는 그 손자녀의 자녀 중 1인

국가유공자 등

◦국가유공자 본인

◦전몰군경,순직군경, 4․19혁명사망자, 순직공무원, 특별공로순직자의 유족

◦국가유공자에 준하는 군경등(지원대상자)본인

◦국가유공자에 준하는 순직군경등(지원 대상자)의 유족

◦국가유공자의 가족

◦국가유공자가 사망한 경우의 그 유족

◦사망한 국가유공자에게 배우자 및 자녀가 없고 부모만 있는 경우에 그 부 또는 모가 지정하는 사망한 국가유공자의 제매 중 1인

◦6․25전몰군경 및 6․25순직군경의 자녀가 지정한 그의 자녀 중 1인

◦국가유공자에 준하는 군경 등(지원 대상자)의 가족

◦국가유공자에 준하는 군경 등(지원 대상자)이 사망한 경우의 그 유족

◦사망한 국가유공자에 준하는 군경 등 (지원대상자)에게 배우자 및 자녀가 없고 부모만 있는 경우에 그 부 또는 모가 지정하는 사망한 국가유공자에 준하는 군경 등(지원대상자)의 제매중 1인

5.18민주유공자

◦5․18민주화운동부상자 본인

◦기타5․18민주화운동희생자 본인

◦5․18민주화운동사망자의 유족, 5․18 민주화운동행방불명자의 가족

◦5․18민주화운동부상자의 가족, 기타5․18 민주화운동희생자의 가족

◦5․18민주화운동부상자 또는 기타5․18 민주화운동희생자가 사망한 경우의 그 유족

◦사망한 5․18민주유공자에게 배우자 및 자녀가 없고 부모만 있는 경우에 그 부 또는 모가 지정하는 사망한 5․18민주 유공자의 제매 중 1인

특수임무유공자

◦특수임무부상자․특수임무공로자 본인

◦특수임무부상자의 유족, 특수임무행방 불명자의 가족

◦특수임무부상자․특수임무공로자의 가족

◦특수임무부상자․특수임무공로자가 사망한 경우의 그 유족

◦특수임마사망자․행방불명자에게 배우자 및 자녀가 없고 부모만 있는 경우에 그 부 또는 모가 지정하는 특수임무사망자․

행방불명자의 제매 중 1인

고엽제후유의증 ◦장애등급을 받은 고엽제후유의증환자 본인 ◦장애등급을 받은 고엽제후유의증환자의 가족 보훈보상대상자 ◦재해부상 군경․공무원

◦재해사망 군경․공무원의 배우자

◦재해부상 군경 및 재해부상 공무원의 배우자

(11)

취업 취약계층 범주 및 확인방법 (고용노동부 기준) 구 분 대상자 확인 시 참고할 수 있는 자료

저소득층

• 기준 중위소득 60% 건강보험료 부과액 ( 납입액 ) 한도 (’16 년 )

가구원 수 소득 기준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노인장기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혼합 보험료

1

975,000 30,590 7,688 30,600

미포함

32,594 8,170 32,604

포함

2

1,660,000 51,189 30,611 51,846

미포함

54,542 32,616 55,242

포함

3

2,147,000 65,705 54,190 66,479

미포함

70,009 57,739 70,833

포함

4

2,635,000 81,149 80,277 82,114

미포함

86,464 85,535 87,492

포함

5

3,122,000 95,782 101,257 96,971

미포함

102,056 107,889 103,323

포함

6

3,610,000 111,270 123,024 112,669

미포함

118,558 131,082 120,081

포함

7

4,097,000 126,118 141,839 127,956

미포함

134,379 151,129 136,337

포함

8

4,585,000 141,452 158,148 143,510

미포함

150,717 168,507 152,910

포함

9

5,072,000 156,154 174,528 158,610

미포함

166,382 185,960 168,999

포함

10

5,560,000 172,491 191,252 175,489

미포함

183,789 203,779 186,984

포함

장애인 • 장애인증명서 , 복지카드 , 상이군경회원증 , 장애진단서 ( 전문의 )

6 개월 이상 장기 실직자

• 고용센터 , 지방자치단체 또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고용 촉진을 위한 사업을 위탁한 민간 취업알선기관에 구직을 신청한 날부터 기산하여 6 개월 이상 실업상태에 있는 자

• 구직등록 여부 및 고용보험가입 이력조회

• 만 20 세 ∼ 만 35 세 청년으로서 최근 6 개월 이내에 대학 등 교육 기관 재학생이 아니고 , 사업장에 고용된 사실이 없으며 , 구직등록을 마친 자

결혼이민자 • 국적 취득 전 : 외국인등록증 (F2 또는 F-5, F-6 비자 )

• 국적 취득 후 : 가족관계등록부의 혼인관계증명서 북한이탈주민 • 북한이탈주민 등록확인서

위기 청소년

• 소년원 퇴원 후 6 개월 미만인 자로 소년원이 발급한 수용증명서가 있는 자

• 보호관찰청소년으로서 보호관찰 기관이 인정한 자

(12)

• 보육원 만기 퇴소 예정자 (6 개월 이내 만기 퇴소 ) 및 만기 퇴소한지 6 개월 미만인 자

•15∼20 세인 청소년으로서 고등학교 · 대학 등 교육기관 재학생이 아니고 동시에 사업장에 고용되지 않은 자

여성가장

구 분 첨 부 서 류 배우자

無 •

가족관계등록부

부모가 근로능력 없음을 증명하는 서류

(

해당자에 한

)

배우자

가출

행방불명 실종신고서

장애 장애인등록증

,

국가유공자증명서

,

장해급여지급통지서 중

1

질병 의사의 진단서

군복무 복무확인서

학교 재학 재학증명서

교도소 입소 수용증명서

,

형확정판결문 구직등록후

6

개월

이상 실업상태에 있 는 배우자

직업안정기관

(

고용센터

)

또는 자치 단체 장의 확인서

이혼소송 제기 이혼소송확인서

기타 가족 생계 부양 통

반장의 확인서

(

검토

)

성매매피해자 • 성매매피해여성 쉼터 ․ 보호시설 이용자 또는 상담 및 심리 치료기관 등의 확인서

한부모가족 지원법에 의한

보호대상자

• 한부모가족 증명서 ( 읍면동 발급 ) 갱생보호

대상자

•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 갱생보호법인 ( 민간법인 7 개소 ) 이 지원하였다는 확인서

수형자로서 출소 후 6 개월

미만자

• 교정시설 ( 교도소 , 구치소 ) 에서 발급한 수용증명서 노숙인 • 관련시설 ( 노숙인 쉼터 , 상담보호센터 등 ) 에서 받은 추천서 만 55 세 이상

고령자 • 참여시작 ( 예정 ) 일 시점 만 55 세 이상인 자

Referensi

Dokumen terkait

응시자 제출서류는 채용여부가 확정된 이후 응시자확정된 채용대상자는 제 외는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제11조채용서류의 반환 등에 따라 제출된 서류의 반환을 청구할 수 있으며, 천재지변이나 그 밖에 기관에게 책임 없는 사유로 채용서류가 멸실된 경우에는 반환한 것으로 봅니다.. 응시원서나 각종 증명서의 기재내용이 사실과

유의사항 ❍ 서류제출 시 지원 자격미달분야 및 자격조건 및 구비서류가 미비 된 것은 접수하지 않음 ❍ 접수된 서류는 응시자가 반환을 청구하는 경우 본인임을 확인한 후“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제11조채용서류의 반환 등에 따라 반환함.. 개인정보제공 동의서

채용전형 시 제출한 서류는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에 따라, 최종합격자를 제외한 구직자를 대상으로 기 제출한 서류를 반환할 수 있으며, 최종합격자 발표일로 부터 15일 이내 제출한 채용서류의 반환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해당분야에 적격자가 없을 경우 채용하지 않을 수 있으며, 신원조회조사결과 결격 사유가 발견될 경우

채용전형 시 제출한 서류는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에 따라, 최종합격자를 제외한 구직자를 대상으로 기 제출한 서류를 반환할 수 있으며, 최종합격자 발표일로부터 15일 이내 제출한 채용서류의 반환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단, 홈페이지를 통한 제출자료 등은 제외

채용전형 시 제출한 서류는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에 따라, 최종합격자를 제외한 구직자를 대상으로 기 제출한 서류를 반환할 수 있으며, 최종합격자 발표일로부터 15일 이내 제출한 채용서류의 반환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단, 홈페이지를 통한 제출자료 등은 제외